• 제목/요약/키워드: Light fiber

검색결과 1,189건 처리시간 0.029초

천연 복분자 추출물의 약리, 화학적 특성 및 분석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Bokbunja Extract)

  • 성기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02-411
    • /
    • 2012
  • 천연 복분자는 나무딸기 또는 산딸기로부터 얻어진 한방재료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천연 복분자 나무딸기 또는 산딸기는 천연의 향기와 맛, 천연의 색상, 그리고 약리,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천연 복분자 추출물을 사용하여, 특성실험으로 미생물에 대한 항균실험과 섬유에 대한 염색실험을 하였다. 본 특성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들이 얻어졌다. 항균실험 결과 ATCC-001(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는 배양시험 후 72hrs 부터 미생물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ATCC-002(aspergillus niger)의 경우 배양시험 후 시간경과에 따라 계속 증식이 나타났다. 역시, 염색실험 결과 복분자 추출물이 천연염료로 매염제($Al_2(SO_4)_3{\cdot}13-14H_2O$)를 사용하여 섬유인 면과 견에서 연한 베이지 색의 방향으로 염색이 나타났다. 기기분석 결과 1CP/OES로 측정한 복분자 성분에서는 K(221.100ppm), Mg(17.920ppm), Ca(5.129ppm), Na(2.940ppm), Si(0.638ppm)등의 무기성분들이 확인되었고, GC/MSD로 측정한 복분자 성분에서는 Boric acic(1.711), Silane(2.142), Propyl isothiocyanate(2.565), Pyrazole(3.481), Furfurole(11.521)등의 유기성분들이 확인되었다.

정어리 지질의 추출속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xtraction Rate of Oil from Sardine, Sardinops melanosticta)

  • 양현석;이근태;변대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0-46
    • /
    • 1984
  • 용매추출법에 의한 정어리 백색육중의 지질을 hexane으로 추출하여 추출속도 이론과의 연관성을 구명하고 또한 추출속도에 미치는 인자중 온도 및 수분함량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어리 지질의 추출은 초기와 후기로 나누어지며 율속단계인 후기에서의 확산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Fick의 비정상 상태 확산이론을 적용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2. $30^{\circ}C,\;45^{\circ}C,\;60^{\circ}C$의 추출온도에서 이론과의 연관성이 가장 좋았던 것은 $30^{\circ}C$의 경우였으며 $45^{\circ}C,\;60^{\circ}C$의 경우에서는 이론보다 빠르게 진행되었으나 오차의 범위내에 있었다. 3. 추출속도의 온도의존성은 추출곡선의 기울기 (K)에 대하여 절대온도(T)의 11승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4. 수분함량이 추출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32.42\%$에서 적을수록 추출속도는 빨랐으며. 추출곡선의 기울기(K)는 수분함량 $1\%$의 감소에 대략 $0.53{\times}10^{-6}cm^2/sec$씩 증가하였다.

  • PDF

볼락, Sebastes inermis 산출 후 초기 성장 및 눈의 조직학적 발달 특성 (Early Growth and Characteristic of Histological Eye Development in Post Parturition Dark 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 박인석;박혜정;길현우;구인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2호
    • /
    • pp.101-106
    • /
    • 2012
  • 어류의 시각 구조와 시각 기능 연구에 있어서 행동적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은 시각생태학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볼락, Sebastes inermis에 관하여는 아직까지 초기 눈의 성장 및 발달에 관한 발생생물학적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음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볼락의 전장, 두장, 두고, 눈의 직경과 수정체 직경은 산출 직후부터 산출 후 60일까지의 단계에서 양성의 상관관계(positive allometry)를 보여주었다. 전장과 관련된 두장과 두고에서의 증가와, 두고와 관련된 눈의 직경과 수정체 직경의 성장은 거의 동형(isometric)성장을 나타내었다. 눈은 산출단계에 완전히 형성되었다. 산출 단계의 눈은 시신경 섬유층, 신경절 세포층, 내망상층, 내과립층, 외망상층, 외과립층, 외경계막, 간체, 추체층 및 상피층을 가지며, 산출 후 60일의 망막 두께는 산출 직후의 망막 두께보다 더 크다. 본 실험기간 동안, 망막의 간체와 추체층의 비율 및 외과립층과 시신경의 비율은 상당히 증가한 반면, 망막의 외망상층과 내과립층, 신경절 세포층의 비율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차후, 본 연구에 사용된 볼락 망막에 대한 빛 민감성과 공간 해상력에 관한 부수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구조용 폼의 조성 및 열 노화에 따른 변형특성 관찰 (Investigation of Properties of Structural Foam with Different Conformation and via Thermal Aging Condition)

  • 최진영;권일준;박성민;권동준
    • Composites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122-127
    • /
    • 2018
  • 섬유강화고분자복합재료(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의 경량화는 자동차 및 항공 분야에서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으며, 구조용 폼과 CFRP를 혼합하여 샌드위치 복합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경화성 소재인 에폭시 폼과 폴리우레탄 폼 및 열가소성 소재인 PET 폼과 PVC 폼의 조성 차이에 따른 폼의 형상 및 열 노화를 통해 변화되는 기계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성형한 에폭시 폼, 폴리우레탄 폼 및 상용화된 PET 폼과 PVC폼을 180도에서 열 노화시켰으며, 30, 60, 120, 180분의 노화시간에 따라 구조용 폼의 변화를 광학 현미경 및 만능시험기로 폼 셀의 형상 및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궁극적으로 에폭시 폼이 가장 높은 2.6 MPa의 압축강도를 가졌으며, 열 노화 조건에서도 물성저하나 형상의 변화가 거의 발생되지 않았다. 이는 에폭시 폼이 타 구조용 폼에 비해 열 노화 조건에서 후경화되어 강직한 조성을 이루며, 타 구조용 폼과는 다르게 내열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고온용 구조용 폼으로 적용하기 적합한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유지함유식품(油脂含有食品)의 보존성(保存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 -보존조건(保存條件)이 인스턴트 Noodle의 산패도(酸敗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Storage of Fat-Containing Foods (I) -Effect of Storage Factors on the Rancidity of Fried Instant Noodle-)

  • 장현기;성낙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8-23
    • /
    • 1972
  • 인스턴트라면을 태양광선군(太陽光線群), 포장지제거군(包裝紙除去群), 실내보존군(室內保存群), 항온기보존군(恒溫器保存群), 골판지상자 포장군등(包裝群等), 각각(各各)의 조건하(條件下)에서 오개월간(五個月間) 저장(貯藏)하고 함유유지(含有油脂)의 경시변화(經時變化)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Orange 색(色)으로 착색(着色)한 polycello 포장지(包裝紙)로 밀봉(密封)하고 골판지상자에 넣어 실온(室溫) 암소(暗所)에서 저장(貯藏)하면 과산화(過酸化) 물가(物價)(P.O.V.), 산가(酸價)는 Fig. 1과 2와 같이 완만하게 증가(增加)하여 150일(日) 경과후(經過後)에도 안정(安定)한 품질(品質)을 보였다. 관능검사(官能檢査)에 있어서의 변패취(變敗臭)도 150일(日) 경과후(經過後)까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태양광선(太陽光線)을 조사(照射)하거나 포장지(包裝紙)를 제거(除去)하고 실내(室內)에서 방치(放置) 저장(貯藏)하면 P.O.V. 및 A.V.는 Fig 1과 2와 같이 급격(急激)한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30일이내(日以內)에 변패취(變敗臭)가 인정(認定)되었다. 3) Polycello 포장지(包裝紙)로 밀봉(密封)하고 실내산광하(室內散光下)에 저장(貯藏)하거나 또는 항온기내(恒溫器內)에서 $30^{\circ}C$ 정도(程度)(하절기(夏節期) 평균기온(平均氣溫)에 상당(相當))로 가온(加溫) 저장(貯藏)하면 P.O.V.의 변화(變化)는 비교적(比較的) 완만하였으나 변패취(變敗臭)는 $90{\sim}120$일경과후(日經過後)에 발생(發生)하였다. 4) P.O.V., A.V. 및 굴절률(屈折率)이 증가(增加)됨에 따라서 iodine value는 Fig. 3과 같이 점차 감소(減少)하였다. 5) 관능검사(官能檢査)에 있어서 변패취(變敗臭)의 발생(發生)은 P.O.V. 함량(含量)과 어느정도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인정되었으나 반드시 일치(一致)하지는 않았다.

  • PDF

음향광학 파장선택 필터 기반 파장훑음 레이저를 이용한 시간-인코딩 된 근적외선 흡광도 측정 비교 연구 (Time-encoded Near-infrared (NIR) Spectroscopic Comparison of Absorbance Measurement Using an Acousto-optic NIR Swept Laser Source)

  • 장한솔;김경훈;한가희;조재두;김창석
    • 한국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2-2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음향광학 파장선택 필터(acousto-optic tunable filter) 기반의 파장훑음 레이저(wavelength swept laser)를 이용한 시간-인코딩 근적외선 분광 기술(time-encoded near-infrared spectroscopy)을 제안하였다. 파장훑음 레이저는 800 nm 근처 영역에서 이득 스펙트럼을 가지는 반도체 광 증폭기(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음향광학 파장선택 필터를 공진기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음향광학 파장선택 필터에 인가되는 전기적 라디오주파수에 따라 출력 파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기술인 백색광 분광기 기반의 검출부 분광 근적외선 분광 기술과 제안된 파장훑음 레이저 기반의 광원부 분광 근적외선 분광 기술을 각각 이용하여 근적외선 흡수 염료 샘플의 흡광도를 각기 측정하여 실험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음향광학 파장선택 필터 기반 파장훑음 레이저를 이용한 근적외선 분광 기술의 특성을 증명하였다.

전기자극이 정상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NORMAL PERIODONTIUM)

  • 임경석;권영혁;이만섭;박준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89-112
    • /
    • 2002
  • The earliest reports of the use of electrical energy to directly stimulate bone healing seem to be in 1853 from England, the techniques involved the introduction of direct current into the non-united fracture site percutaneously via metallic needles, with subsequent healing of the defect. One endpoint of the periodontal therapy is to generate structure lost by periodontal diseases. Several procedural advances may support regeneration of attachment, however, regeneration of alveolar bone does not occur consistently. Therefore, factors which stimulate bone repair are areas for research in periodontal reconstructive therapy. Effects of cytokines or growth factors on bone repair are examples of such areas. Another one is electrical current which occurs in bone naturally, so that such bone may b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electrical therap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observe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normal periodontium,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icity is the useful means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or not. Forty rats weighted about 100 gram were used and divided into 4 groups, the first group, there was no electrical stimulation with the connection of electrodes only. In the second group, there was stimulated by the 10 mA during 10 minutes per a day, in the third group was stimulated by the 25 mA , and the fourth by the 50 mA. At 3, 5, 10 and 15 days post-appliance , two rats in each group were serially sacrificed. and the maxillae and the mandible processed to paraffin, and the specimens were prepared with Hematoxylin-Eosin stain for the light microscopic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the distinct reversal line on the lingual alveolar crest, whereas a little changes in the labial alveolarcrest to the duration and amount of currents. 2. In 50 mA group, the cells were highly concentrated at the apex of anterior teeth, and was observed the necrotic tissue. In posterior root apex, the hypercementosis was appeared, and newly formed cementum layer has been increased continuously with the time. 3. The periodontal ligament fiber and Sharpey's fiber were arranged in order, and the bone trabeculae were increased as the experiment proceeded by, relatively the bone marrows were decreased. 4. In the pulp tissue, the blood vessels were increased with blood congestion in the experimetal specimens remarkably, and the dentinal tubules were obstructed . 5. The osteoblasts in alveolar bone proper had been showed highly activity, and also observed the formation of bone trabeculea. In the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electrical stimulation has influence on the periodontium and the pulp tissue. However, there might be the injurious effects.

골형태형성단백질과 흡수성차폐막이 치주조직 재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4 and Resorbable Membrane on the Regeneration of Periodontal Tissues)

  • 임상철;권영혁;이만섭;박준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4호
    • /
    • pp.757-779
    • /
    • 2000
  • The aim of our study is to achieve complete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by the application of BMP and resorbable membrane. Three beagle dogs aged over one and half years and weighed 14 to 16 kg were used in this study. Mandibular 1st, 2nd premolars were extracted bilaterally. Horizontal furcation defects were induced around 3rd, 4th premolars bilaterally. BMP-4 were applied in the right side with resorbable membranes and only resorbable membranes were applied in the left side respectively. Each animal was sacrificed at 2, 4, and 8weeks, after regenerative surgery. Specimens were prepared with Hematoxylin-Eosin stain and Goldner's modified Masson Trichrome stain for light microscopic evalu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t 2 weeks after regenerative surgery, downgrowth of junctional epithelium was observed both in the membraneapplied site and BMP-4-and-membrane-applied site. 2. At 4 weeks after regenerative surgery, resorbable membranes were completely resolved, therefore would not prevent downgrowth of junctional epithelium. New bone formation, new cementum formation and Sharpey's fiber were observed in BMP-4-andmembrane-applied site. 3. At 8 weeks after regenerative surgery, downgrowth of junctional epithelium was observed in the membrane-applied site. But, new cementum formation was observed in the same site. The extensive regeneration of new bone, new cementum and remarkable formation of Shapey's fiber were showed in BMP-4-and-membrane-applied site. 4. Resorbable membranes were resolved via the cell-mediated processes. 5.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were better achieved in the BMP-4-andmembrane-applied site than in the membrane-applied site. Within the above results, BMP-4 may have the strong capability to form the new bone and resorbable membrane may be able to prevent the bony ankylosis. However, resolution rate of resorbable membrane may not be enough to protect rapid epithelial downgrowth for ideal periodontal regeneration. In conclusion, I suggest BMP-4 may have the strong possibility to be utilized in the clinical periodontal treat-

  • PDF

The effects of Two Terpenoids, UA and ONA on Skin Barrier and Its Application

  • S. W. Lim;S. W. Jung;Kim, Bora;H. C. Ryoo;Lee, S. H.;S. K. Ahn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108-109
    • /
    • 2003
  • Ursolic acid (UA) and Oleanolic acid (ONA), known as urson, micromerol, prunol and malol, are pentacyclic triterpenoid compounds which naturally occur in a large number of vegetarian foods, medicinal herbs, and plants. They may occur in their free acid form or as aglycones for triterpenoid saponins, which are comprised of a triterpenoid aglycone, linked to one or more sugar moieties. Therefore UA and ON A are similar in pharmacological activity. Lately scientific research, which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UA and ONA, revealed that several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antitumor, hepatoprotective, anti-inflammatory, antimicrobial, and anti-hyperlipidemic could be attributed to UA and ONA. Here, we introduced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acute barrier disruption and normal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To clarify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skin barrier recovery, both flank skin of 8-12 weeks hairless mice were topically treated with samples (2mg/ml) after tape stripping, then measured recovery rate using TEWL on hairless mice. The recovery rate increased in UA and ONA treated groups at 6h more than 20% compared to vehicle treated group (p <0.05). For verifying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normal epidermal barrier, hydration and TEWL were measured for 1 and 3 weeks after UA and ONA applications (2mg/ml per day). We also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epidermis and dermis using electron microscopy (EM) and light microscopy (LM). Both samples increased hydration compared to Vehicle group from 1 week without TEWL alteration (p<0.005). EM examination using Ru04 and OsO4 fixation revealed that secretion and numbers of lamellar bodies and complete formation of lipid bilayers were most prominent (ONA$\geq$UA>Vehicle). LM finding showed that stratum corneum was slightly increased and especially epidermal thickening and flattening was observed (UA>ONA>Vehicle). Using Masson-trichrome and elastic fiber staining, we observed collagen thickening and elastic fiber increasing by UA and ONA treatments. In vitro results of collagen and elastin synthesis and elastase inhibitory experiments were also confirmed in vivo findings.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UA and ONA related to not only skin barrier but also collagen and elastic fibers. Taken together, UA and ONA can be relevant candidates to improve barrier function and pertinent agents for cosmetic applications.

  • PDF

차세대 자동차 광네트워크 MOST1000 용 광트랜시버 모듈 (Optical Transceiver Module for Next-generation Automotive Optical Network, MOST1000)

  • 김계원;황성환;이우진;김명진;정은주;안종배;김진혁;문종하;노병섭
    • 한국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96-20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자동차용 고속 광네트워크 기술인 MOST1000에 적용이 가능한 1 Gbps 급 광트랜시버 모듈의 설계와 제작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다. 종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 시스템은 10 Mbps ~ 150 M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사용하였으나, 최근 인포테인먼트의 발달로 인해 기기 간 통신 속도를 높여 주는 고속 네트워크 기술이 요구되면서 1 Gbps 급의 광네트워크 시스템이 향후에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 광네트워크 시스템의 핵심 부품인 1 Gbps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광트랜시버 모듈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 Gbps 데이터 전송을 위해 기존 광트랜시버의 광원인 RCLED (resonant cavity light emitting diode)를 VCSEL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로 대체하였으며, 제작된 광트랜시버는 $1{\times}2$ 비대칭 형태의 광도파로를 이용하여 하나의 PCF (plastic optical fiber) 광섬유로 결합되도록 제작하였다. 이때, 수신감도는 -22 dBm @ BER $10^{-12}$ 으로 나타났고, 깨끗한 1 Gbps 데이터 전송 아이다이어그램 (eye diagram)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