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 curing unit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7초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의 복합레진 중합 평가 (Evaluation of New LED Curing Light on Resin Composite Polymerization)

  • 강지은;전새로미;김종빈;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2-156
    • /
    • 2014
  • 최근 도입된 광범위 스펙트럼의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는 4개의 램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중합 모드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광범위 스펙트럼 발광 다이오드($VALO^{(R)}$, Ultradent, USA) 광중합기와 기존의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 ($Elipar^{TM}$ Freelight 2, 3M ESPE, USA)의 효율을 미세경도 시험을 통해 비교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광중합기는 $VALO^{(R)}$$Elipar^{TM}$ Freelight 2이며 중합 시간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랐다. $37^{\circ}C$의 생리식염수에 중합된 레진 시편을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미세경도 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편 상부와 하부의 복합레진 미세경도는 공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광범위 스펙트럼의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고성능 모드에서 4초, 플라즈마 모드에서 20초 광중합을 실시한 복합레진 시편의 상부는 기존의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에 비해 미세경도가 증가하였으나(p < 0.05), 시편의 하부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광중합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광원의 종류에 따른 복합레진의 중합거동 및 중합률에 관한 연구 (THE POLYMERIZATION RATE AND THE DEGREE OF CONVERSION OF COMPOSITE RESINS BY DIFFERENT LIGHT SOURCES)

  • 류주희;이인복;유현미;김미자;석창인;권혁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4호
    • /
    • pp.386-398
    • /
    • 200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reaction kinetics an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s when cured by different light source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blue Light Emitting Diode Light Curing Units (LED LCUs) compared with conventional halogen LCUs. Materials and Methods: First, thermal analysis was performed by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The LED LCU (Elipar Freelight, $320{\;}mW/\textrm{cm}^2$) and the conventional halogen LCU (XL3000, $400{\;}mV/\textrm{cm}^2$) were used in this study for curing three composite resins (SureFil, Z-250 and AEliteFLO). Second. the degree of conversion was obtained in the composite resins cured according to the above curing mode with a FTIR. Third, the measurements of depth of cure we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ISO 4049 standard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two-way ANOVA test at 95% levels of confidence and Duncan's procedure for multiple comparisons. Results: The heat of cur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he LCUs (p > 0.05). The composites cured by the LED (Exp) LCUs were statistically more slowly polymerized than by the halogen LCU and the LED (Std) LCU (p < 0.05). The composite resin groups cured by the LED (Exp) LCUs had significantly greater degree of conversion value than by the halogen LCU and the LED (Std) LCU (p =0.0002). The composite resin groups cured by the LED (Std) LCU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depth of cure value than by the halogen LCU and the LED (Exp) LCU (p < 0.05).

LIGHT EMITTING DIODE로 광조사한 상아질 접착제의 상아질 전단접착강도와 중합률에 관한 연구 (Dentin bond strength of bonding agents cured with Light Emitting Diode)

  • 김선영;이인복;조병훈;손호현;김미자;석창인;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6호
    • /
    • pp.504-514
    • /
    • 2004
  • LED 광중합기(Elipar FreeLight, 3M-ESPE)와 할로겐 광중합기(VIP Bisco)로 광조사한 수종의 상아질 접착제에 대해서 상아질 전단접착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번 연구의 광학적 근거를 얻기 위해 두 광중합기의 파장에 따른 광강도와 스펙트럼을 비교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상아질 접착제는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Single Bond (3M ESPE). One-Step (Bisco), Clearfil SE Bond (Kuraray), Adper Prompt (3M ESPE) 이다. VIP는 487 nm에서 최대정점을 가지는 넓은 스펙트럼의 분포를 보이는 반면에, Elipar FreeLight는 465 nm에서의 최대정점을 중심으로 좁은 스펙트럼의 분포를 보였다. Clearfil SE bond를 제외하고 할로겐과 LED로 광조사 한 각 상아질 접착제에서 상아질 전단접착강도값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 > 0.05). 이러한 결과는 camphoroquinone의 흡수스펙트럼과 LED의 좁은 영역의 스펙트럼사이에 강한 연관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직접수복용 레진과 기공용 레진으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를 투과한 광중합기의 광강도 (Power density of light curing units through resin inlays fabricated with direct and indirect composites)

  • 장훈상;임영준;김정미;홍성옥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5호
    • /
    • pp.353-358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직접수복용 레진 (Filtek Z350, Supreme XT)과 기공용 레진 (Sinfony)으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를 투과하는 광중합기의 광강도를 측정하고 레진 인레이를 구성하는 색조에 따라 투과되는 광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A3 색조의 레진 인레이를 Z350 A3 한 가지 색조로 제작한 것과 Supreme XT A3B와 A3E 두 가지 색조로 제작한 것을 이용하였으며 Sinfony는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A3, E3, T1 세 가지 색조로 제작하였고 두께는 1.5 mm로 통일하였다. 할로겐 광중합기 (Optilux 360)와 LED 광중합기 (Elipar S10)를 이용하여 레진 인레이를 투과하는 광강도를 휴대용 광강도 측정기 (Cure Rite)로 측정하였다. 각 레진의 색조가 광강도의 투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0.5mm 두께로 레진 시편을 제작하여 광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Z350 A3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를 투과한 광강도가 가장 낮았으며, 다음으로 Supreme XT A3B와 A3E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 그리고 Sinfony A3, E3, T1으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 순으로 광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 0.05). 0.5mm의 레진 시편을 투과한 광강도를 측정한 결과 dentin shade인 Sinfony A3, Z350 A3, Supreme XT A3B가 가장 낮았으며, enamel shade인 Supreme XT A3E, Sinfony E3, 그리고 translucent shade인 Sinfony T1 순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 0.05). 결론: 레진 인레이를 제작할 경우 단색의 직접 수복용 레진을 사용하기 보다는 기공용 레진의 dentin shade, enamel shade, translucent shade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레진 인레이 하방으로 더 많은 중합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양한 광원에 의한 광중합형 수복물질의 미세경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VARIOUS CURING LIGHT SOURCES ON THE MICROHARDNESS OF LIGHT-ACTIVATED RESTORATIVE MATERIALS)

  • 최남기;양규호;김선미;최충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34-643
    • /
    • 2005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청색광을 방출하는 다이오드(LED) 광중합기(FreeLight2, L.E.Demetron I, Ultra-Lume 5)가 3가지의 레진재료들 (Z250, Point 4, Dyract AP)의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그들의 최적 중합시간을 찾는 것이다. 표본들은 각각의 복합체에 대하여 아크릴릭 몰드$(2.0mm{\times}3mm)$를 사용하여 만들었다 모든 표본들은 평평한 유리판위에 Mylar strip을 위치시킨 후 제작되었다. 몰드에 복합체가 위치된 후 또다른 Mylar strip으로 덮고 유리판으로 가볍게 압력을 가하였다 광조사 시간은 Elipar TriLight은 40초, Elipar FreeLight 2, L.E.Demetron I, Ultra-Lume 5는 각각 5, 10, 20, 40초씩으로 하였으며 평균 경도값은 각각의 그룹에서 상층과 하층을 사용하여 계산했다.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위해 ANOVA와 Sheffe's test를 사용하였다. FreeLight 2. Ultra-Lume 5, and L.E. Demetron I는 대조군인 할로겐 광중합 40초에 비교하여 Point 4를 20초에 중합시킬 수 있었다. FreeLight 2 and L.E.Demetron I는 대조군인 20초의 할로겐 광중합에 비교하여 Z250을 10초에 중합시킬 수 있었다. FreeLight 2와 L.E.Demetron I는 대조군인 40초의 할로겐 광중합에 비교하여 Dyract AP를 10초에 중합시킬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LED 광중합기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할로겐 광중합기와 비교시 절반이하의 조사시간으로도 적절한 미세 경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가변 광도 중합에 따른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에 관한 연구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S CURED BY VARIABLE LIGHT INTENSITIES)

  • 임미영;조경모;홍찬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1호
    • /
    • pp.28-36
    • /
    • 2007
  • 본 연구는 광중합형 복합레진 중합 시 기존의 중합법과 가변광도 중합형인 soft start 중합법 및 exponential 중합법 간의 중합수축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3종의 복합레진 (Synergy Duo Shade, Z250, Filtek Supreme) 및 3종의 광조사기 (Spectrum 800, Elipar Highlight, Elipar Trilight)를 사용하였다. 총 중합시간은 40초로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선형 중합수축률의 측정은 linometer를 이용하였으며, 90초간의 선형 수축률을 0.5초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재료별로 각 중합 방법별 시간에 따른 중합수축률을 one-way ANOVA test로 분석하여 최종 중합수축률에 도달하는 시간을 산출하였고, 90초 후 최종 선형 중합수축률을 two-way ANOVA test를 이용하여 재료, 광조사 방법, 재료 및 광조사 방법의 교호작용이 중합수축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90초까지의 선형 중합수축률에 대한 20초까지의 선형 중합수축률의 비를 two-way ANOVA로 비교하고, 각각의 통계치를 95% Scheffe test로 검증하였는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upreme을 제외한 다른 군에서는 재료 및 광조사 방법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중합 수축이 광조사 후 20초 이내에 이루어졌다 (p < 0.05). 2. 90초 후, 최종 중합수축률은 재료 (p = 0.000)와 광조사 방법 (p = 0.003) 모두 유의성 있는 영향을 끼쳤으나, 재료와 광조사 방법 상호간의 작용은 영향이 없었다. 3. 90초 후 최종 중합수축률은 총 광에너지가 가장 낮은 exponential 중합법에서 유의성 있게 낮았다 (p < 0.05). 4. 20초까지의 초기 수축률은 soft start와 exponential중합법 등 가변광도 중합이 conventional 중합법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은 수축률을 보였다 (p < 0.05). 본 실험 결과만을 토대로 볼 때, 가변광도 중합법은 초기 중합수축 속도를 감소시켜 수축응력을 감소시킨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총 조사 광에너지의 차이로 인해 그 물리적 성질에 영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향후 이에 대한 더 많은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구치 I급 와동에서 와동벽 위치와 중합광원에 따른 Microtensile Bond Strength 비교 연구 (MICROTENSILE BOND STRENGTH ACCORDING TO DIFFERENT DENTIN WALL POSITIONS AND CURING LIGHTS IN CLASS I CAVITY OF PRIMARY MOLAR)

  • 이현헌;장철호;김영재;김정욱;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2-72
    • /
    • 2007
  • 이번 실험에서는 중합수축 응력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유구치 I급 와동에서 와동벽의 위치와 중합광원의 변화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는 응력의 차이를 microtensile bond strength (MTBS)를 이용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합면 법랑질을 제거한 하악 제 2유구치 30개를 준비하여 I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 후 3가지 중합광원: 할로겐 램프, 플라즈마,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10개씩 광중합하였다. 복합레진을 한꺼번에 충전 후 각각의 중합기로 광중합하였다. 동일 치아에서 각각 치수벽과 축벽의 MTBS 측정용 시편을 제작하고 각 군을 중합광원과 와동벽 위치에 따라 할로겐 램프 - 축벽군, 할로겐 램프 - 치수벽군, 플라즈마 - 축벽군, 플라즈마 - 치수벽군, 발광다이오드 - 축벽군, 발광다이오드-치수벽군의 6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만능시험기에서 MTBS를 측정하고 파절편과 와동의 단면을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동일 중합광원에서 와동벽 간 비교는 T-test, 동일 와동벽에서 중합광원 간 비교는 One-way ANOVA와 Tukey's post hoc test를 이용하였고 Weibull 분포분석을 하였다. 동일 중합광원 군간 비교에서 모두 치수벽 시편의 접착강도가 축벽 시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동일 와동벽 군간 비교에서 모두 중합광원에 따른 접착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축벽 시편이 치수벽 시편보다 낮은 Weibull 변수(m)를 나타내었고 SEM 관찰 결과 축벽 시편에서 보다 더 불균일한 접착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Hole Transporting Polymer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Jang, Do-Young;Lim, Youn-Hee;Kim, Joo-Hyun;Kim, Jang-Joo;Shin, Jung-Hyu;Yoon, Do-Y.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235-235
    • /
    • 2006
  • Triphenylamine derivatives play important roles as hole transporting materials i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However, low molecular weight triphenylamine derivatives show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aggregation behavior, and the vapor deposition step of low molecular weight materials is incompatible with large area display fabrication. Conventional polymer PEDOT-PSS HTL has serious drawbacks such as the ITO anode corrosion, poor surface energy match with aromatic EMLs. To solve these problems, we introduced crosslinkable units to triphenylamine-based polymers to make insoluble HTL by thermal curing following spin-coating. Electrochem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new hole transport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device characteristics obtained with new hole transporting polymers were investigated in details.

  • PDF

Interfacial ultrastructure of the AQ Bond Plus

  • Haruyama, Chikahiro;Amgai, Tetsuya;Sugiyama, Toshiko;Muto, Yoshitake;Takase, Yasuaki;Hirai, Yoshito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601-601
    • /
    • 2003
  • AQ Bond Plus has the function of self-etching priming adhesive, which can be applied by single coating without second coating, being different from conventional AQ bonds. Moreover, because the absorption range of light became wider, the bond can comply with any visible light curing units. Thus, the bond can produce an unified form between the dentine layer with impregnated resin of good quality and the thin and hard film characteristicall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junctional conditions of AQ Bond Plus,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omitted)

  • PDF

수종의 이장재가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LINERS ON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

  • 최지원;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06-614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이장재의 종류에 따른 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 후 중합수축을 비교함으로써 중합수축 감소를 보이는 좀 더 우수한 재료의 조합을 모색하고자 시행되었다. 이장재로는 유동형 레진, 컴포머, 광중합 글래스아이오노머를 사용하였고 수축응력을 측정하기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였다. 표본은 광원의 종류, 이장재의 종류에 따라 8개의 군으로 나눠졌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아크릴릭 링에 부착하고 strainmeter에 연결한 후 각 군에 따라 이장재 적용 후 광중합 하고 이장재 중합 후 750초간 수축응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Repeated measures ANOVA와 Tukey test를 이용해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장재를 사용하지 않은 군보다 이장재를 사용한 군의 중합수축이 적었으나 Ionosit을 사용한 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2, Tetric flow 또는 Vitrebond를 이장재로 사용하는 것이 Ionosit을 사용하는 것보다 중합 수축이 적었다(p<0.05). 3. Tetric flow 이장재를 한 군은 광원에 따른 수축력의 차이가 적었고 Vitrebond와 Ionosit 이장재를 한 군은 할로겐 광원보다 LED 광원에서 수축응력이 컸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