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VARIOUS LINERS ON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

수종의 이장재가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에 미치는 영향

  • Choi, Ji-W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Na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최지원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lymerization contraction of composite resin(Tetric $ceram^{(R)}$,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 according to various liners(Tetric $flow^{(R)}$,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Ionosit^{(R)}$, DMG, German/ $Vitrebond,^{TM}$ 3M-ESPE, USA). The strain gauge method was used for measurement of polymerization shrinkage strain. Specimens were divided by 8 groups according to curing units and liners. Group A, E: Tetric $ceram^{(R)}$ bulk filing, Group B, F: Tetric $flow^{(R)}$ lining, Tetric $ceram^{(R)}$ filling, Group C, G: $Ionosit^{(R)}$ lining, Tetric $ceram^{(R)}$ filling, Group D, H: $Vitrebond^{TM}$ lining, Tetric $ceram^{(R)}$ filling. Group A, B, C and D were cured using the conventional halogen light($XL3000^{TM}$ 3M ESPE, USA) for 40 seconds at $400mW/cm^2$. Group E, F G and H were cured using light emitted diode(LED) light(Elipar Freelight $2^{TM}$, 3M-ESPE, USA) for 15 seconds at 800 $mW/cm^2$. Strain gauge attached to each sample was connected to a strainmeter. Measurements were recorded at each second for the total of 750 seconds including the periods of light application. Obtain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and Tukey test.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s : 1. Contraction stresses in flowable resin and glass ionomer lining group were lower than that in compomer lining group(p<0.05). 2, Contraction stresses in LED curing light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in halogen curing light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이 연구의 목적은 이장재의 종류에 따른 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 후 중합수축을 비교함으로써 중합수축 감소를 보이는 좀 더 우수한 재료의 조합을 모색하고자 시행되었다. 이장재로는 유동형 레진, 컴포머, 광중합 글래스아이오노머를 사용하였고 수축응력을 측정하기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였다. 표본은 광원의 종류, 이장재의 종류에 따라 8개의 군으로 나눠졌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아크릴릭 링에 부착하고 strainmeter에 연결한 후 각 군에 따라 이장재 적용 후 광중합 하고 이장재 중합 후 750초간 수축응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Repeated measures ANOVA와 Tukey test를 이용해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장재를 사용하지 않은 군보다 이장재를 사용한 군의 중합수축이 적었으나 Ionosit을 사용한 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2, Tetric flow 또는 Vitrebond를 이장재로 사용하는 것이 Ionosit을 사용하는 것보다 중합 수축이 적었다(p<0.05). 3. Tetric flow 이장재를 한 군은 광원에 따른 수축력의 차이가 적었고 Vitrebond와 Ionosit 이장재를 한 군은 할로겐 광원보다 LED 광원에서 수축응력이 컸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