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 curing unit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2초

도재 라미네이트 두께와 광원 및 광조사 시간에 따른 광중합형 레진 시멘트의 FT-IR을 이용한 중합도 비교 (Comparison of the degree of conversion of light-cured resin cement in regard to porcelain laminate thickness, light source and curing time using FT-IR)

  • 유지성;김지환;김선재;이용근;심준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16-423
    • /
    • 2009
  • 연구목적: 이번 연구의 목적은 PLV 수복물의 접착 시 사용되는 광중합형 레진 시멘트의 중합도를 Fron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e로 측정하여 도재의 두께, 광원 및 광조사 시간에 따른 중합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재료 및 방법: 대조군으로는 1.0 mm의 투명한 slide glass를 사용하였고, 도재 시편은 IPS Empress Esthetic shade ETC1을 선택하여 0.5, 1.0, 1.5 mm의 두께로 제작하였다. 레진 시멘트는 광중합형 레진 시멘트인 Rely $X^{TM}$ Veneer Shade A3를 사용하였다. 광원으로는 Quartz Tungsten Halogen (QTH), Light Emitting Diode (LED), Plasma arc curing (PAC) 광중합기를 사용하였다. 레진 시멘트의 중합도는 FT-IR과 OMNI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one-way ANOVA와 Tukey HSD를 이용하였다 ($\alpha$=0.05). 결과: 대조군에서 QTH와 LED로 광중합을 시행하였을 때 PAC로 광조사를 시행한 경우보다 중합도가 높았다. QTH와 LED로 광조사를 시행한 경우, 대조군과 0.5 mm, 1.0 mm, 1.5 mm의 도재 두께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PAC로 광조사를 시행한 결과, 도재의 두께가 1.5 mm인 실험군의 중합도가 대조군과 0.5 mm에서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인다 (P<.05). 두께가 1.0 mm의 도재와 LED 광중합기로 광조사하여 중합도를 비교한 결과, 20초간 광조사를 시행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80초와 160초간 광조사를 시행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중합도의 평균값이 높았다 (P<.05). 결론: 이번 연구의 한계 내에서, 도재의 두께가 0.5-1.5 mm 이내의 PLV 접착 시, PAC 중합기의 사용은 고려되지 않으며, QTH나 LED로 40초 이상 중합한다면 광중합형 레진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중합형 레진 시멘트를 LED로 중합시킬 경우, 광조사 시간의 증가가 중합도의 증가와 비례하지 않으며, 일정시간 이상의 광조사가 중합도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고출력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의 치면열구전색제 중합능 평가 (Evaluation of High-power Light Emitting Diode Curing Light on Sealant Polymerization)

  • 박영준;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7-6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고출력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의 Xtra Power 및 High Power mode의 짧은 중합시간이 레진 치면열구전색제의 중합에 충분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금속 주형을 이용해 시편을 제작하여 미세경도를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로 중합한 시편의 미세경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High Power mode로 8초, Xtra Power mode로 3초 중합한 filled sealant와 High Power mode로 8초, 12초, Xtra Power mode로 6초 중합한 unfilled sealant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미세경도를 나타냈다(p = 0.000). 이 연구를 통하여 중합 시간과 전색제의 종류를 고려한 특정 조건에서 고출력 발광 다이오드 광중합기의 Xtra Power 및 High Power mode의 짧은 중합시간이 치면열구전색제를 적절히 중합하기에 충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경량기포혼합 준설토의 강도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Cement mind Marine Clay with Foam)

  • 박건태;김주철;윤길림;이종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83-490
    • /
    • 2002
  • A massive amount of marine clay produced as dredging of coast and sea bed is often dumped in open sea and filled in pond. The treatment of marine clay demand a large area and make fatal environmental problems for echo system. This research work intend to manufacture a light-weight landfill materials which are produced by mixing the dredged marine clay with various amount cement and foam. An extensive Uniaxial and Triaxial compression test a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light-weight cement mixed marine clay with foam under various test condi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quired unit weight has been achieved with negligible change after 28days curing time in water. It is also recognize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landfill materials linearly decrease with increasing initial water content, and the rate of strength decrease with increasing initial water content in water curing was smaller than that of air curing Futhermore, the rate of strength de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water content, however, the rate become smaller as cement content increased.

  • PDF

중합 광원과 중합 시간이 복합레진의 표면 경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IGHT SOURCE AND CURING TIME ON SURFACE HARDNESS OF RESIN COMPOSITES)

  • 배상만;이광희;김대업;안호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9-206
    • /
    • 2001
  • 플라즈마 아크 광원을 사용하는 광중합기를 저출력 할로겐 광원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광중합기와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세 종류의 복합레진을 두께가 2, 3, 4, 5mm인 몰드에 충전하고 레진 상면을 할로겐광으로 40초간, 플라즈마광으로 3, 6, 9초간 조사한 후 레진 상면과 하면의 표면미세경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레진시편 상면의 표면경도와 하면의 표면경도 간의 차이는, 두께 2mm 시편에 할로겐광을 40초간 조사하였거나 플라즈마광을 9초간 조사한 경우들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하였다(P<0.05). 레진시편 상면의 표면경도는 전체 실험군들에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레진시편 하면의 표면경도는 전체적으로 보아 할로겐광을 40초간 조사한 군들에서 가장 높았고 플라즈마광의 조사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레진시편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복합레진의 중합깊이 측면에서 볼 때 3, 6, 9초간 조사하는 고출력 플라즈마광의 중합능력이 40초간 조사하는 저출력 할로겐광의 중합능력에 미치지 못함을 시사한다.

  • PDF

스트레인 게이지법을 이용한 복합레진과 컴포머의 중합수축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AND COMPOMER USING STRAIN GAUGE METHOD)

  • 김윤철;김종수;권순원;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9-2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중합과정에 따른 복합레진과 컴포머의 수축 양상을 스트레인 게이지법(strain gauge method)을 이용하여 평가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광중합기는 기존의 할로겐 시스템인 XL 3000(3M, USA)과 최근 소개된 plasma arc curing 시스템인 Flipo(LOKKI, France)를 사용하였고, 충전 재료는 복합레진인 Z-100(3M, USA)과 컴포머인 Dyract AP(Dentsply, Germany)를 사용하였다. 주형과 치아 와동 내에 충전된 실험재료의 중합수축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중합수축 측정 결과 모두 중합초기에는 일시적인 재료의 팽창을 나타냈고, 그 후 약 1분간은 수축량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증가의 폭이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컴포머를 사용한 군에 비해 복합레진을 사용한 군에서 중합수축이 크게 나타났으며 plasma arc curing 시스템을 사용한 군에 비해 기존의 광조사 시스템 군에서 더 큰 중합수축을 보였다. 압축 강도의 측정결과는 컴포머 군에 비해 복합레진 군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plasma arc curing unit와 컴포머의 사용은 시술시간의 단축과 항우식 효과를 감안한다면 소아치과 영역에서의 사용이 긍정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LIGHT EMITTING DIODE로 광조사한 상아질 접착제의 상아질 전단접착강도와 중합률에 관한 연구 (Dentin bond strength of bonding agents cured with Light Emitting Diode)

  • 김선영;이인복;조병훈;손호현;김미자;석창인;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6호
    • /
    • pp.504-514
    • /
    • 2004
  • LED 광중합기(Elipar FreeLight, 3M-ESPE)와 할로겐 광중합기(VIP Bisco)로 광조사한 수종의 상아질 접착제에 대해서 상아질 전단접착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번 연구의 광학적 근거를 얻기 위해 두 광중합기의 파장에 따른 광강도와 스펙트럼을 비교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상아질 접착제는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Single Bond (3M ESPE). One-Step (Bisco), Clearfil SE Bond (Kuraray), Adper Prompt (3M ESPE) 이다. VIP는 487 nm에서 최대정점을 가지는 넓은 스펙트럼의 분포를 보이는 반면에, Elipar FreeLight는 465 nm에서의 최대정점을 중심으로 좁은 스펙트럼의 분포를 보였다. Clearfil SE bond를 제외하고 할로겐과 LED로 광조사 한 각 상아질 접착제에서 상아질 전단접착강도값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 > 0.05). 이러한 결과는 camphoroquinone의 흡수스펙트럼과 LED의 좁은 영역의 스펙트럼사이에 강한 연관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Biological Effects of Light-Emitting Diodes Curing Unit on MDPC-23 Cells and Lipopolysaccharide Stimulated MDPC-23 Cells

  • Jeong, Moon-Jin;Jeong, Soon-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9-47
    • /
    • 2019
  • Background: Light-emitting diodes curing unit (LCU), which emit blue light, is used for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s in many dentistry. Although the use of LCU for light-cured composite resin polymerization is considered safe, it is still controversial whether it can directly or indirectly have harmful biological influences on oral tissu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biological effects of LCU in wavelengths ranging from 440 to 490 nm, on the cell viability and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MDPC-23 odontoblastic cells and inflammatory-induced MDPC-23 cells by lipopolysaccharide (LPS). Methods: The MTT assay and observation using microscope were performed on MDPC-23 cells to investigate the cell viability and cytotoxic effects on LCU irradiation. Results: MDPC-23 cells and LPS stimulated MDPC-23 cells were found to have no effects on cell viability and cell morphology in the LCU irradiation.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_2$ which are the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interleukin-$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which are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CPD-23 cells after LCU irradiation as time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LCU irradiation has the potential to induce inflammation or biological damages in normal dental tissues, including MDPC-23 cells. Conclu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use of LCU except for the appropriate dose and irradiation time. In addition, LCU irradiation of inflammatory-induced MDPC-23 cells by LPS was reduced the secretion of NO compared to the LPS alone treatment group and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 secretion of TNF-${\alpha}$ in all the time groups. Therefore, LCU application in LPS stimulated MDPC-23 odontoblastic cells has a photodynamic therapy like effect as well as inflammation relief.

가시광선 중합기의 조사강도 감소에 대한 조사시간 증가의 보상효과 (COMPENSATION EFFECT OF EXPOSURE TIME INCREASE TO DECREASED LIGHT INTENSITY OF VISIBLE-LIGHT CURING UNIT)

  • 윤태원;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25-33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pensation effect of exposure duration increase to decreased light intensity of visible-light curing unit. The specimen with 2mm thickness was made of Restorative $Z-100^{TM}$ (A2 shade, 3M Dental Products, U.S.A.) and cured with $Optilux^{TM}$ (Demetron Research Co. U.S.A.). The light intensity was controlled to 420 $mW/cm^2$, 540 $mW/cm^2$, 630 $mW/cm^2$ and curing time, also, controlled to 40, 60, 80 seconds. Cured specimen was stored in a light-proof container for 24 hours to post-irradation was completed. Microhardness of top and bottom surface of specimen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depth of cur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icrohardness of top and bottom surface of the composite resin specime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s light intensity and exposure time was increased (P<0.01). 2. Light intensity was more correlated with bottom microhardness(${\gamma}{\geq}$0.438) than top microhardness(${\gamma}{\geq}$0.213), and exposure time was more correlated with top microhardness (${\gamma}{\geq}$0.424) than bottom microhardness(${\gamma}{\geq}$0.335). 3. The regressive equation was obtained in this study as follows : $H=0.07{\times}D+0.012{\times}I+76$ (H : Microhardness(KHN), D : Exposure time, I : Light intensity)

  • PDF

치아 충전용 복합레진의 광중합 광원 종류에 따른 마멸 비교 (Wear Of Dental Restorative Composite Resins Cured by Two Different Light Sources)

  • 김환;이권용;박성호;정일영;전승범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350-354
    • /
    • 2004
  • In this study, the wear characteristics of five different dental composite resins cured by conventional halogen light and LED light sources were investigated. Five different dental composite resins of Surefil, Z100, Dyract AP, Fuji II LC and Compoglass were worn against a zirconia ceramic ball using a pin-on-disk type wear tester with 15 N contact force in a reciprocal sliding motion of sliding distance of 10 mm/cycle at 1Hz under the room temperature dry condition. The wear variations of dental composite resins were linearly increased as the number of cycles increased. It was observed that the wear resistances of these specimens were in the order of Dyract AP > Surefil > Compoglass > Z100 > Fuji II LC. On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s by SEM, the large crack formation on the sliding track of Fuji ?LC specimen was the greatest among all resin composites. Dyract AP showed less wear with few surface damag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ear performance between conventional halogen light curing and light emitting diodes curing sources. It indicates that a light emitting diodes (LED) source can replace a halogen light source as curing unit for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 PDF

LED를 이용한 복합레진의 광조사시, 중합수축의 속도와 양, 미세경도에 관한 연구 (THE AMOUNTS AND SPEED OF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MICROHARDNESS IN LED CURED COMPOSITES)

  • 박성호;김수선;조용식;이순영;김도현;장용주;문현승;서정원;노병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4호
    • /
    • pp.354-359
    • /
    • 2003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light emitting diode(LED) units for composite curing. To compare its effectiveness with conventional quartz tungsten halogen (QTH) light curing unit. the microhardness of 2mm composite. Z250, which had been light cured by the LEDs (Ultralume LED2, FreeLight, Developing product Dl) or QTH (XL 3000) were compar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 One way ANOVA with Tukey and Paired t-test was used at 95% levels of confidence. In addition. the amount of linear polymerization shrinkage was compared between composites which were light cured by QTH or LEDs using a custom-made linometer in 10s and 60s of light curing, and the amount of linear polymerization shrinkage was compared by one way ANOVA with Tukey. The amount of polymerization shrinkage at 10s was XL3000 > Ultralume 2. 40. 60 > FreeLight, D1 (P<0.05) The amount of polymerization shrinkage at 60s was XL3000 > Ultralume 2, 60> Ultralume 2.40 > FreeLight, D1 (P<0.05) The microhardnes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 was as follows ; (equation omitted) It was concluded that the LEDs produced lower polymerization shrinkage in 10s and 60s compared with QTH unit. In addition. the microhardness of samples which had been cured with LEDs was lower on the lower surfaces than the upper surfaces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in QTH cured s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