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Sound Alar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3초

휴대용 메모리형 방사선 경보장치 개발 (Development of Portable Memory Type Radiation Alarm Monitor)

  • 손중권;이명찬;송명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263-272
    • /
    • 1997
  • 방사선 작업자의 과피폭을 방지하기 위해 방사선 작업 도중 이상 사태가 발생할 경우 광 음경보가 발생한 후 이상 사태 발생 90분, 발생 30분간의 방사선량과 방사선량율 변화를 저장하고 외부 PC로 데이터를 전송한 후 사고를 분석하여 차후에 같은 유형의 방사선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방사선 경보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방사선 경보장치의 특징은 넓은 방사선 측정 범위(10mR/h $\sim$ 100 R/h), 방사선 준위의 기록 및 기억, PC와의 data처리 기능, 휴대성, 교정 기능에 의한 높은 정밀도(${\pm}5%$), 인지도가 높은 강력한 경보기능 채택 등이다. 개발된 방사선 경보장치의 물리적 환경 적응시험을 가장 엄격한 ANSI N42.17A의 표준 시험조건에 의거하여 온도, 습도, 진동, 전자기파 간섭 등에 관해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수행하였으며 모든 시험항목을 통과하였다.

  • PDF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홈 보안로봇 시스템 구현 (Ubiquitous Home Security Robot System based on Sensor Network)

  • 김윤구;이기동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71-79
    • /
    • 2007
  • We propose and develop Home Security robot system based on Sensor Network (HSSN) configured by sensor nodes including radio frequency (RF), ultrasonic, temperature, light and sound sensors. Our system can acknowledge security alarm events that are acquired by sensor nodes and relayed in the hop-by-hop transmission way. There are sensor network, Home Security Mobile Robot (HSMR) and Home Server(HS) in this system. I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system, we presented that our system has more enhanced performance of response to emergency context and more speedy and accurate path planning to target position for arriving an alarm zone with obstacle avoidance and acquiring the context-aware information.

  • PDF

화재 발생 시 센서별 특성을 이용한 비상구 유도등 개발 (Development of Emergency Exit Guidance Lamp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nsor in Case of Fire)

  • 김종관;정도현;유용우;양민혁;이붕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019-1028
    • /
    • 2021
  • 가스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아두이노 우노,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 시 비상구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해 비상구 유도등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화재 발생 시 가스 센서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높은 온도와 연기를 감지하였을 때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조도 값이 낮을수록 적색 화살표, 조도 값이 높을수록 녹색 화살표가 나오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통신 모듈을 이용한 경보음과 문자전송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174Hz의 경보음과 화재 장소를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소방서로 송신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보다 큰 화재를 예방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재해 발생시 피난구 유도 제어장치 시스템 (A Shelter Guidance Control System from the Disaster using the PLC)

  • 엄기환;현교환;김주웅;정성부;김인국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92-9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지하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피난구 유도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피난구 유도 제어장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피난구 유도 제어장치 시스템은 주제어부, 전력선 통신 원격 제어부, 충전부, 음성발생부, 표시부, 경보알람부, 연기감지부 둥으로 구성된다. 제안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피난구 유도 제어장치 시스템을 실험을 통하여 전력선 통신의 단점인 잡음을 개선하였으며, 기존의 피난구 유도등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PLC 통신을 이용한 피난구 유도장치 시스템 (A Shelter Guidance System using the PLC Communication)

  • 이창영;이규윤;이현관;김인국;엄기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83-58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지하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피난구 유도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PLC 통신을 이용한 피난구 유도장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피난구 유도장치 시스템은 주제어부, PLC 통신 원격 제어부, 충전부, 음성발생부, 표시부, 경보알람부, 연기감지부 등으로 구성된다. 제안한 PLC 통신을 이용한 피난구 유도 장치 시스템을 실험을 통하여 PLC 통신의 단점인 잡음을 개선하고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무선 체온 모니터기 아키텍처 하드웨어 개발 (Development of Hardware for the Architecture of A Remote Vital Sign Monitor)

  • 장동욱;장성환;정병조;조현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549-2558
    • /
    • 2010
  • 무선 체온 모니터기는 무선으로 체온을 모니터 하기 위해 설계된 건강관리 시스템이다. 무선 체온 모니터기는 낮은 가격과 손쉬운 사용방법으로 병원 장치와 비교할만한 정확도와 몇몇 특성들을 제공한다. 무선 체온 모니터기는 밴드 파트와 모니터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밴드 파트와 모니터 파트 모두 2.4GHz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라디오가 내장되어 있는 칩콘2430, 일명 CC2430라는 마이크로 칩으로 사용한다. 이 CC2430은 무선 체온 모니터기가 집안 100피트 반경까지 상호 작동할 수 있게 해준다. 간단한 사용자 환경은 사용자로 하여금 손쉽게 고온과 저온의 한계점을 세팅할 수 있게 되어있다. 만약 사용자의 체온이 고온과 저온의 한계점을 넘어섰을 때 알람이 울리게 되어 있다. 알람은 저전압 오디오 증폭기와 스피커에 연결되어 작동되게 되어있다. 정확한 체온을 계산하기 위해 무선 체온 모니터기는 반드시 정확한 온도 검출장치를 사용해야만 한다. GE Sensing에서 선택된 서미스터는 온도 측정의 예민함과 정확함을 모두 만족시킨다. LCD 화면은 길이 64.5mm 폭 16.4mm의 백라이트 기능을 가추고 있으며 이 기능은 사용자가 어두운 환경이나 밝은 환경에서도 적어도 3피트 거리에서 화면을 모니터 할 수 있게 해준다.

청각증강 기술 개발을 위한 청각장애인의 욕구조사: 위험상황 인식 및 의사소통 분야를 중심으로 (A Needs Assessment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for Hearing Augmentation Technology Development: Focusing on Risk Context Awareness Communication)

  • 이준우;이현아;박종미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225-2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인이 경험하는 위험상황과 청각 대체기술로 사용하는 보조기기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청각증강 기술 개발의 적용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청각장애 등급을 판정받은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총 35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리 및 진동을 인지한 경험이 없는 상황으로 교통수단, 사물, 자연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중 교통수단의 소리와 진동을 인지하지 못한 비율이 높아 일상생활에서 청각장애인이 경험하는 위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청각장애인이 경험한 위험상황은 교통사고, 보행사고, 가정에서의 일상생활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위험상황 인식과 알림을 위한 보조기기로 2G폰/스마트폰, 진동디지털알람시계, 경광등, 진동손목시계의 인지도가 높았으며, 2G폰/스마트폰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넷째, 의사소통을 위한 보조기기로 보청기, 스마트폰, 영상전화기, 인공와우, 2G폰 순으로 인지도가 높았으며, 스마트폰을 사용하였을 경우 만족도와 의사소통 개선정도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청각증강 기술 개발을 위해 고려할 점으로 휴대/착용 편의성, 가격, 동작 정확도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알림 전달 방식은 시각(문자와 빛)을 활용한 알림방식을 선호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위험상황에서 청각장애인의 청각증강 기술 개발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