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ament Injury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34초

한방학술논문(韓方學術論文) 분석(分析)을 통한 근(筋)의 연구동향(硏究動向)에 대한 고찰(考察) (A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referred to Geun by the analysis of the oriental medical theses)

  • 최인세;오민석;송태원
    • 혜화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95-415
    • /
    • 2001
  • A general concept of Geun includes the soft organizations such as a muscle, a myofascia, a tendon and a ligament, cartilages and nerves that surround it. The main function of it is a movement of the body such as a flextion and a extension, a connection of the joints, and a construction of the body shape. Lately, we consider Geun important little by little, develop a variety of the therapeutic measures which make use of it, and apply it to the treatment in the oriental medicine, And the therapeutic measures which utilize Geun will be developed from now on.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referred to Geun in the oriental medicine and the tendency to the experiment to grow the study referred to Geun in oriental medicine continuously and developed the new direction. This study collected 44's theses reported in the oriental medical journal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journal, time, form and topic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1. In the theses referred to Geun,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and of Korean oriental medicine have the most of them(11's theses) and at the next the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has 9's theses. 2. By analyzing the form of the theses, these were classified into the theoretical,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ies. The theoretical these occupied 39%, the experimental theses 54%, and the clinical theses 7%. 3. By analyzing the theses referred to Geun, these were classified into the muscular abnormality - such as a powerlessness, a injury, a atrophy, a disorder, and a pain - the theory of muscles along the regular meridians, the muscular organization, the therapeutic measures, the manipulation and so on. 4. The theses of the muscular abnormality occupied 30% of them referred to Geun and the theory of muscles along the regular meridians 20%, the muscular organization 12%, the therapeutic measures 12%, and the manipulation 8%.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study of the new field referred to Geun and the clinical report are indispensable since the field is limited and the tendency is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 PDF

고삼추출물이 치은섬유아세포의 세포주기 조절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phorae Radix Extracts on the Expression ofcell cycle regulatory porteins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 김흥식;김현아;유용욱;강태현;김윤철;김탁;피성희;유형근;신형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4호
    • /
    • pp.869-885
    • /
    • 2000
  • Fibroblasts are major cellular components of gingiva and periodontal ligament. They regulate the healing process after surgery or injury. Recently, many natural medicines, whose advantages are less side effects and possibility of long-term use, have been studied for their capacity, their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regenerative potential of periodontal tissues. Sophorae radix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as an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drug in oriental medicin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phorae radix extract on cell cycle progression and its molecular mechanism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Sophorae radix extracts($100{\mu}g/ml$) notably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and cell activity in the human gingival fibroblasts as compared to non-supplemented controls.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S phase and a decrease in the G1 phase in $100{\mu}g/ml$ of Sophorae radix extracts group as compared to non-supplemented controls. The level of cyclin E and cdk 2 protein in tes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s. But that of cyclin D, cdk 4, and cdk 6 was not distinguished from controls. The level of p53 protein in test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s, whereas that of p21 was not different. The level of pRB protein in tes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s, whereas that of p16 was low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 of cell proliferation by Sophorae radix extracts may be due to the increased expression of cyclin E and cdk 2, and the decreased expression of p53 and p16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 PDF

뱀교상 후 발생한 연부조직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Soft Tissue Defects after Snake Bites)

  • 이장현;장수원;김철한;안희창;최승석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605-610
    • /
    • 2009
  • Purpose: Substantial tissue necrosis after snake bites requiring coverage with flap surgery is extremely rare. In this article, we report 7 cases of soft tissue defects in the upper and the lower extremities caused by snake bites, which needed to be covered with flaps. Among the vast mass of publications on snake bites there has been no report that focuses on flap coverage of soft tissue defects due to snake bite sequelae. Methods: Seven cases of soft tissue defects with tendon, ligament, or bone exposure after snake bites were included. All patients were males without comorbidities, the average age was 35 years. All of them required coverage with a flap. In 6 cases, the defect was localized on the upper extremity, in one case the lesion was on the lower extremity. Local flaps were used in 6 cases, one case was covered with a free flap. The surgical procedures included one kite flap, one cross finger flap and digital nerve reconstruction with a sural nerve graft, one reverse proximal phalanx island flap, one groin flap, one adipofascial flap, one neurovascular island flap, and one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The average interval from injury to flap surgery was 23.7 days. Results: All flaps survived without complication. All patients regained a good range of motion in the affected extremity. Donor site morbidities were not observed. The case with digital nerve reconstruction recovered a static two point discrimination of 7 mm. The patient with foot reconstruction can wear normal shoes without a debulking procedure. Conclusion: The majority of soft tissue affection after snake bites can be treated conservatively. Some severe cases, however, may require the coverage with flap surgery after radical debridement, especially, if there is exposure of tendon, bone or neurovascular structures. There is no doubt that definite coverage should be performed as soon as possible. But we also want to point out that this principle must not lead to a premature coverage. If the surgeon is not certain that the wound is free of necrotic tissue or remnants of venom, it is better to take enough time to get a proper wound before flap surgery in order to obtain a good functional and cosmetic result.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과 병행한 흡수성 Meniscal Arrow를 이용한 반월상 연골 봉합술 (Meniscal Repair with Resorbable Meniscal Arrows with Concurrent ACL Reconstruction)

  • 인용;김승기;박원종;박종범;신재혁;장한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4-137
    • /
    • 2000
  • 목적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행시 봉합 가능한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하여 흡수성 meniscal arrow로 고정하고 그 치료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4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전방십자인대 손상과 반월상 연골 파열이 동반된 환자들 중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함께 봉합 가능한 16명, 1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21.5개월($12\~38$개월)이었다. 결과 : 18례 중 14례$(78\%)$에서 치유 소견을 보였는데 수상에서 수술까지의 시간에 따라서는 급성 손상이 9례중 8례$(89\%)$, 아급성 손상이 5례 중 4례$(80\%)$의 치유율을 보였고 만성 손상은 4례 중 2례$(50\%)$에서 낮은 치유율을 보였다. 결론 :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봉합가능한 반월상 연골 파열이 동반되었을 때 그 손상이 급성 또는 아급성인 경우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함께 흡수성 Meniscal Arrow를 이용한 반월살 연골 봉합술은 좋은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 PDF

Coronal Three-Dimens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Improving Diagnostic Accuracy for Posterior Ligamentous Complex Disruption In a Goat Spine Injury Model

  • Xuee Zhu;Jichen Wang;Dan Zhou;Chong Feng;Zhiwen Dong;Hanxiao Yu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0권4호
    • /
    • pp.641-648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ree-dimensional (3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uld improve diagnostic accuracy for suspected posterior ligamentous complex (PLC) disrup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used 20 freshly harvested goat spine samples with 60 segments and intact surrounding soft tissue. The animals were aged 1-1.5 years and consisted of 8 males and 12 females, which were sexually mature but had not reached adult weights. We created a paraspinal contusion model by percutaneously injecting 10 mL saline into each side of the interspinous ligament (ISL). All segments underwent T2-weighted sagittal and coronal short inversion time inversion recovery (STIR) scans as well as coronal and sagittal 3D proton density-weighted spectrally selective inversion recovery (3D-PDW-SPIR) scans acquired at 1.5T. Following scanning, some ISLs were cut and then the segments were rescanned using the same magnetic resonance (MR) techniques. Two radiologists independently assessed the MR images, and the reliability of ISL tear interpretation was assessed using the kappa coefficient. The chi-square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agnostic accuracy of images obtained using the different MR techniques. Results: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for detecting ISL disruption was high for all imaging techniques (0.776-0.949).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diagnostic accuracy of the coronal 3D-PDW-SPIR technique for detecting ISL tears were 100, 96.9, and 97.9%,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sagittal STIR (p = 0.000), coronal STIR (p = 0.000), and sagittal 3D-PDW-SPIR (p = 0.001) techniques. Conclusion: Compared to other MR methods, coronal 3D-PDW-SPIR provides a more accurate diagnosis of ISL disruption. Adding coronal 3D-PDW-SPIR to a routine MR protocol may help to identify PLC disruptions in cases with nearby contusion.

반월판 연골 손상이 동반된 환자에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The Outcome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n Patients with Meniscal Injury)

  • 이광원;박재국;정유훈;김병성;김하용;최원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0-168
    • /
    • 2003
  • 서론 : 반월판 연골 손상이 동반된 슬관절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반월판 연골 상태에 따른 술 후 전방 불안정성과 기능 등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0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과 반월판 연골 절제술을 실시한 증례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78예를 대조군인 반월판 연골 정상군과 내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 외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 내외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의 4군으로 분류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2개월(12개월$\~$72개월)이었으며 성별은 남자 64예, 여자 14예였고, 나이는 평균 32세(18세$\~$57세)였다. 임상적으로 전방 전위 검사, Lachman 검사, 관절 운동 범위, 대퇴 사두 고근의 위축정도 그리고 KT-2000관절 계측기를 이용하여 건측과의 전방 전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IKDC와 OAK그리고 Lysholm knee score를 이용한 기능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15lb와 20lb 외력에서 건측과의 평균 전방 전위 차이는 반월판 연골 정상군, 외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 내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 내외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에서 군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반월판 연골 절제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30lb에서는 2.47 mm, 2.96 mm, 2.96 mm 그리고 3.57 mm로 반월판 연골 절제군에서 전방 전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전방 전위 차이가 15lb 외력에서 각 군 21예$(91.3\%)$, 15예$(100\%)$, 24예$(92.3\%)$, 12예$(85.7\%)$ 전체 72예 $94\%$에서 그리고 20lb에서는 20예$(87\%)$, 15예$(100\%)$, 24예$(92.3\%)$, 11예$(78.6\%)$ 전체 70예 $91\%$에서 3 mm 이하로 술 후 슬관절 안정성이 향상되는 경향이었다(p>0.05). OAK score는 각 군별 평균은 각각 94.5점, 93.2점, 92.2점, 그리고 90.4점이고 전체 71예, $91\%$가 양호 이상이었고, 내외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에서 4예$(28\%)$의 보통이 관찰되었다. Lysholm knee score는 각각 97.4점, 96.5점, 94.9점 그리고 93점이었고 전체 65예, $83\%$에서 양호 이상이었고 IKDC 등급은 고령의 내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 2예, 내외측 반월판 연골 절제군 2예에서 비정상이었고 74예$(95\%)$에서 거의 정상 이상이었다. 결론 : 반월판 연골 손상이 동반된 전방 십자인대 재건 슬관절의 장기 추시 관찰에서 반월판 연골의 상태가 전방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고 이의 객관적 평가로는 KT-2000 관절 계측기가 유효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4겹의 반건양건과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중기적 치료 결과 비교 (Comparative Medium Term Results of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with Quadrupled Semitendinosus Tendon versus BPB tendon)

  • 김형수;박승림;강준순;이우형;김기욱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
    • /
    • 2001
  • 목적 : 본 논문의 목적은 전방 십자 인대 손상에 있어서 반건양건과 골-슬개건-골 자가이식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의 술 후 중기적 성공여부와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 순수한 전방 십자 인대 파열만을 가진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골-슬개건-골군은 49.4개월이었고 반건양건군은 48.8개월이었다. 술후 주관적인 Lysholm score와 anterior drawer test,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2000 measurement에 따른 객관적인 이완정도 및 IKDC 평가법을 이용하여 최종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전방 전위 검사상 반건양건군에선 양성이 $22.5\%$, 골-슬개건-골군에 $27.5\%$ Lachman 검사상 반건양건군에선 양성이 $30.0\%$, 골-슬개건-골군에선 $25.0\%$, pivot shift 검사상 반건양건군에선 양성이 $15\%$, 골-슬개건-골군에선 $20\%$를 보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05). 20lbs에 따른 KT-2000 검사의 차이는 반건양건군에서는 2.2mm, 골-슬개건-골군에서는 2.1mm의 차이를 보였다(p>0.05). 주관적인 Lysholm 점수 평가 상 두군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0.05). 전방 슬관절의 통증은 골-슬개건-골군에서 더 흔히 나타났으며 양쪽군 모두가 IKDC 등급 상 $82.5\%$에서 유사 정상 등급 이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골-슬개건-골이식건을 이용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반건양건도 관절의 안정성에 있어서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동종건을 이용한 단일다발 및 이중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Double Bundle and Single Bundle ACL Reconstruction with Tibialis Anterior Allograft)

  • 김덕원;이강;김영우;양상진;서정국;김진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8-204
    • /
    • 200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동종건을 통한 단일다발 및 이중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수술 결과를 관절경적, 방사선학적, 임상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이중 다발 재건술의 장점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개선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동종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최소 1년 이상의 관찰이 가능하였던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후방 전위 정도, Pivot shift 검사, 사두박근 및 슬괵근의 등속성 최대우력, Tegner 활동 점수, IKDC 주관적 점수, 그리고 Lysholm 슬관절 점수를 측정하였고, 술후 1년에서 2년사이에 자기공명영상 및 2차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Lysholm 슬관절 검사는 평균값이 단일다발에서 $87.23{\pm}11.50$, 이중다발에서 $93.36{\pm}9.92$ (p=0.033), IKDC 주관적 검사는 단일다발에서 $80.55{\pm}12.96$, 이중다발에서 $85.91{\pm}13.78$ (p=0.105), Tegner 활동 검사는 단일다발에서 $5.23{\pm}1.36$, 이중다발에서 $6.64{\pm}2.21$ (p=0.048)이었다. Pivot shift검사상 단일다발에서 Grade 0 이 10예, 1+가 1예, 2+가 2예 있었으며, 이중다발에서 Grade 0이 13예, 2+가 1예 있었다. 60도 및 180도에서의 굴곡 및 신전 결손율은 단일다발과 이중다발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차관절경 검사 시행상 단일다발에서 우수(excellent)가 6례, 그리고 보통(fair)이 7례 있었다. 이중다발에서는 전내측 다발은 우수가 13예, 보통이 1예, 후외측 다발에서는 우수가 4예, 보통이 9예, 불량이 1예로 후외측 다발이 전내측 다발보다 손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중다발 재건술은 젊고 활동적인 환자에게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수술적 방법이나 후외측 다발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수술 및 재활 방법의 개선을 요한다.

  • PDF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내·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필요했던 사례들의 원인 분석 (Review of the Reasons in Cases Requiring Varus/Valgus Constrained Prosthesis in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 공동의;박상훈;최충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53-260
    • /
    • 2021
  • 목적: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에는 일반적으로 가능한 한 구속력이 적은 치환물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이 권장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방 십자인대 보존형 혹은 대치형 치환물로 적절한 슬관절 안정성을 얻기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수술 중 내·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로 전환을 고려해야 한다. 내·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항시 구비되어 있지 않는 국내 현실을 감안하여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의 효율적인 술 전 계획을 위해 내·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을 준비하는 적응증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시행되었던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1,797예 중 내·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로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이 시행되었던 27명(29예)를 대상으로 내·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로 최종 결정한 원인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 내·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이 사용된 경우는 전체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중 29예로 1.6%의 빈도를 보였다. 남자 6명, 여자 21명이었으며, 2명에서 양측 모두 내·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필요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평균 63.4세(34-79세)였고, 술 전 최대신전각도는 평균 16.2° (-20°-90°), 최대굴곡각도는 평균 111.7° (35°-145°)였다.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 내·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필요하였던 원인으로는 심한 외반 변형으로 내·외반 불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경우가 10예, 심한 강직으로 인해 내·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사용되었던 경우가 10예였으며, 과거력상 내측측부인대 4예, 외측측부인대 1예, 원위 대퇴골과의 무혈성 괴사로 인한 경우가 4예였다. 심한 외반 변형으로 수술을 시행한 10예 경우의 술 전 슬관절 전후방기립 사진상 해부학적 대퇴경골간각은 평균 25.7° (21°-43°)의 외반각을 보였고, 심한 강직으로 수술을 시행한 10예 경우의 굴곡 구축은 평균 37.5° (20°-90°), 관절운동범위는 평균 48.5° (10°-70°)였다. 결론: 20° 이상의 해부학적 대퇴경골간각의 외반 변형, 굴곡 구축 20° 이상 및 관절운동범위 70° 이하를 가진 관절운동 제한, 과거 측부인대 손상 병력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일차슬관절 전치환술 시라도 술 전 계획 시 내·외반 구속형 치환물을 준비하는 것이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성의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