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long Education System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6초

해외 사례분석을 통한 성인전담 단과대학 운영방안: 미국과 영국 대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adult learner-targed college based on case study of foreign universities: Focused on cases of US and UK)

  • 조대연;김정주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379-404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의 성인전담 단과대학의 운영방안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차원에서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학습자를 위한 단과대학 추진 배경으로 성인학습자의 능력개발 요구에 대한 기회 확대, 고등평생교육제도 실행에서의 문제, 현행 평생 학습중심대학 사업의 한계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성인전담 단과대학 운영의 우수 사례로 미국 하버드대학과 시카고대학, 영국의 워릭대학을 선정하여 각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 방법 등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전문가 면담을 진행하여 성인전담 단과대학의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대학 조직개편의 운영철학으로 대학책무성과 정책적 효율성, 대학 특성화, 그리고 지속적이고 안정적 체제의 구축을 제시하고 다양한 입학진입트랙의 제공, 사전 준비교육과정의 제공을 통한 학습준비도의 확보, 선행학습인정 범위 및 방법, 전공과 수업방식, 학사제도 및 재정지원을 포함한 기타 성인학습자 맞춤형 서비스 등을 제안하였다.

BRICS 국가별 평생교육체제 강점 및 약점 분석연구 (Analysis of Strength and Weaknesses in Lifelong Learning System of BRICS)

  • 김주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414-42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BRICS 국가들의 평생교육체제의 경쟁력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개발도상국의 NLLS 시스템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메커니즘 모형 및 32개의 지표와 12개의 하위요소를 측정에 이용하였다. GLLI(Global Lifelong Learning Index) 측정결과, 중국과 러시아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나타냈고, 브라질, 남아공이 중간그룹을 형성하였다. 인도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국가마다 중점을 두어야 할 평생교육 분야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각 BRICS 국가들의 평생학습 체제의 강점 및 약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과 관련된 정책을 평가하고 NLLS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의사 결정의 준거 및 BRICS 국가의 NLLS 현황을 알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Lifelong Learning

  • Poplavskyi, Mykhailo;Bondar, Iho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6호
    • /
    • pp.304-311
    • /
    • 2021
  • The relevance of the research involves outlining the need for modern professionals to acquire new competencies. In the conditions of rapid civilizational progress,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labor market in the knowledge society, there is a readiness for continuous training as an indicator of professional succes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various forms of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lifelong learning in order to provide the continuous self-development of each person without cultural or age restrictions and on the basis of rapid digital progress. A high level (96%) of need of the adult population in continuing education with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has been established. The most effective ways to implement the concept of "lifelong learning" have been identified (educational camps, lifelong learning, mass open online courses, Makerspace activities, portfolio use, use of emoji, casual game, scientific research with iVR game, implementation of digital games, work in scientific cafes). 2 basic objectives of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for adults have been outlined (continuous improvement of qualifications and obtaining new qualifications). The features of ICT application in adult education have been investigated by using the following methods, namely: flexibility in terms of easy access to ideas, solving various problems, orientation approach, functional learning, group or individual learning, integration of leisure, personal and professional activities, gamification. The advantages of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continuous education (economic, time, and adaptive) have been revealed. The concept of continuous adult learning in the context of digitalization has been concluded. The research provides a description of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the concept of additional education; a system of information requests of the applicant, as well as basic technologies for lifelong learning. The research indicates the lack of comprehensive research in the relevant field.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results lies in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obtained results for a wider acquaintance of the adult population with the importance of the application of lifelong learning for professional activities and the introduction of methods for its implementation in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state.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직무능력개발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rners' Job Competency Developmen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Vocational Key Competencies in Lifelong Education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 남기영;윤준상;임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30-141
    • /
    • 2017
  •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직무능력개발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는데 목적을 갖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원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4개 단위로 구분한 직업기초능력에 직무능력개발이 미치는 각각의 영향력을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평생교육 학습자들의 교육환경의 외부적 영향을 감안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조사를 위해 서울에 소재중인 평생교육 기관의 학습자 480명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의 검증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은 단일 차원에서는 수리능력에 모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2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 중 교육체계(F=3.021, p<.05)와 교육과정(F=6.684, p<.05)은 단일 차원에서 수리능력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3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 중 교육과정(F=5.865, p<.05)만 단일차원에서 자원관리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 4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은 단일 차원에서는 의사소통에 모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직무능력개발요인은 교수상호작용과 평생교육지원이 병행되는 과정에서, 교육체계와 교육과정이 조화되거나 혹은 교육체계, 교육과정, 평가관리 모두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었을 때, 의사소통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Disabled Continuing Education through Research Journal Trends

  • Jeong, Seong-Bae;Kim, Kyung-s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03-212
    • /
    • 2016
  • The aim of research is to analyze trends of journal in disabilities continuing education for contributing to our country disabilities continuing education activity. Studies selected by analyzing 31 papers 8 framework with leading research lifelong learners Part 4(12.9%), continuing education personnel Pt 3(9.67%),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Pt 12(38.7%),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Pt 3(9.67%), continuing education system and policies part 2(6.45%), continuing education 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part 3(9.67%), continuing education theory and philosophy part 4(12.9%), continuing education research methods and disciplines study was 0 pieces(0%). Suggestions include: First, establishing an integrate lifelong educator training system. Second, the suggestion that you selected the disabled welfare institutions with disabilities continuing education obligations. Third, proposal a standard disabilities continuing education course selection. Fourth, the proposal for further study research methods and disciplines of continuing education disabilities.

평생직업능력개발 경로 재설계의 가능성과 한계 (Possibility and Limit of a Redesign of a Path for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 윤형기;이희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9-43
    • /
    • 2009
  • 현대 사회가 추구하는 이념은 평생학습을 통한 평생고용이다. 이를 가능케 하는 한마디가 평생직업능력개발이다. 이 연구는 평생직업능력개발체제를 진단하여 평생직업능력개발 경로 재설계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고, 효율적인 직업교육경로의 재설계 방안을 제시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 평생직업능력개발기본계획, 평생학습진흥계획을 대상으로 하여 과제별 분석을 하였다. 또한 정책의 토대가 되는 주요 법령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졌다.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교육경로를 크게 학제 내 영역, 근로자 일터 영역, 평생직업훈련기관 영역으로 나누고 교육경로상의 주요 기관 운영현황과 순환과정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평생직업능력개발체제의 확성화를 위한 직업교육경로 재설계 방안이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경로 체제를 산업체가 요구하는 기술과 수요에 연계되는 효율적인 인력양성을 하는 방향으로 재구조화하여야 한다. 둘째,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일과 학습간의 순환, 병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순환 모델을 정형화하여야 한다. 셋째,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지역중심의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분업 및 연계 협력관계를 갖도록 하는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야 한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사회복지 기반 학제 간 융합전공(장애인평생교육) 신설 논의 (A Discu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a New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Major(Lifelong Education for Disabled) based on Special Education, Rehabilitation Science, and Social Welfare at Daegu University)

  • 김영준;김화수;이근용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147-156
    • /
    • 2022
  • 본 연구는 특수교육, 재활과학, 사회복지 분야를 통해 장애인 교육 및 복지의 거점 대학으로 위상 및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는 대구대학교를 기반으로 장애인평생교육의 융합전공이 신설될 수 있는 근거와 방안을 다각적으로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장애인평생교육은 장애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장애의 특수성을 공통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나, 교육과 복지의 두 가지 관점 및 성격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장애인 관련 분야의 학제 간 융합연구에 따른 접근이 중요하게 요구된다. 위 차원에서 대구대학교는 현행에 구축하고 있는 학문 및 실천 기반의 각종 인프라를 통해 국내 장애인평생교육을 주도할 수 있는 적합한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법규 제정에서부터 현장기관의 설치 및 운영 등에 이르기까지 명확성이 구축되지 못한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의 현실적 한계를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리더십 역시 충분히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헌 고찰과 전문가 자문을 통해 대구대학교에서 학제간 융합전공 신설 차원에서 장애인평생교육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과 관련 근거를 연구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학제간 융합전공 신설 차원에서 조망된 장애인평생교육은 특수교육, 재활과학, 사회복지의 세 분야 간에 우선순위적 관점으로 적용되기보다는 세 분야가 공통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전문역량을 통하여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관점으로 강조되었다. 연구 결과,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를 구축하지 못한 국내의 경우 특수교육, 재활과학, 사회복지의 학제 간 융합연구가 수월한 대구대학교의 적용 모델 및 방안을 기점으로 점차 관련 타 대학으로 보급 및 확산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또한, 세 분야 간의 합의를 통하여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자격 개발 경로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야 할 필요성 역시 시사되었다.

약사의 전문직업성개발과 약학대학의 역할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harmacists and The Roles of Pharmacy Schools)

  • 박혜민;윤정현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81-287
    • /
    • 2022
  • Pharmacists should maintain professional competencies to provide optimal pharmaceutical care services to patients,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continued commitment to lifelong learning. Traditionally continuing education (CE) has been widely used as a way of lifelong learning for many healthcare professionals. It, however, has several limitations. CE is delivered in the form of instructor-led education focused on multiple learners. Learning is passive and reactive for participants, so it sometimes does not lead to bringing behavioral changes in workplace performance. Therefore, recently the concept of lifelong learning tends to move from CE towar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CPD is an ongoing process that improves knowledge, skills, and competencies throughout a professional's career. It is a more comprehensive structured approach toward the enhancement of personal competencies. It emphasizes an individual's learning needs and goals and enables learning to become proactive, conscious, and self-directed. CPD consists of four stages: reflect, plan, learn, and evaluate. CE is one component of CPD. Each stage is recorded in a CPD portfolio. There are many practical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complete CPD system for lifelong learning of pharmacists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pplying a hybrid form that utilizes CPD and CE together, as in the case of some countries, could be an alternative. Furthermore, in undergraduate pharmac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teach students about CPD and train them on how to perform CPD as a pharmacist.

평생교육 체제 지원을 위한 웹 기반 평생교육 정보 시스템 구조와 기능의 설계 (An Investigation on System Architecture and Functions of Web-based Lifelong Learning System)

  • 김태준;이영민;홍지영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12
    • /
    • 2005
  • 평생교육 종합정보시스템은 국민들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에 대한 Guide 역할을 수행하는 평생교육 포탈사이트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나아가 평생교육의 'Information', 'Learning', 'Communication', 'Business' 창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비전을 수행할만한 시스템 설계 원리나 구체적인 기능들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것 같다. 이에 한국교육개발원 평생교육센터에서는 평생교육 체제에 관한 국민들의 요구를 반영할 새로운 시스템을 설계 중에 있다. 이 글은 이런 목표를 담당할 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이론적인 접근이다.

  • PDF

지방대학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고등평생학습생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Discussion on Higher Lifelong Learning Ecosystem for Local University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 허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33-642
    • /
    • 2022
  • 이 논의는 고등평생학습생태계 구축에 초점을 두고 기존의 주장들에 대해서 비판적 고찰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현 한국의 대학교육 특성과 지방대학 위기 담론을 논의하였다. 둘째, 평생학습사회와 평생학습체제 구축에 대한 주장을 고찰하였다. 셋째, 고등평생학습생태계 구축에 대한 주장을 검토하고 실천적 방안에 대해 비판적 고찰을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고등평생학습생태계 구축을 위한 방안은 상당히 구체적으로 논의 해왔고 이를 통한 지방대학의 위기 극복과 지역균형발전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다만 첫째, 대학이 중심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대학 개혁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둘째, 위기 극복을 위해 국가의 책임과 책무, 지속적인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반면 현 한국의 정부 당국의 협조가 가능한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셋째, 지역사회 중심으로 거버넌스를 이루어 민주적인 방식에 따라 진행하는데 이해 관계자 합의를 위한 토대 형성 전략이 구성되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