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ritical Discussion on Higher Lifelong Learning Ecosystem for Local University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지방대학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고등평생학습생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Received : 2022.02.16
  • Accepted : 2022.03.11
  • Published : 2022.05.28

Abstract

This is conducted with the aim of critical discussions on existing arguments,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a higher lifelong learning ecosystem. First,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education in Korea and the discourse on the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Second, the arguments on the establishment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a lifelong learning system. Third, the argu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a higher lifelong learning ecosystem are reviewed and practical measures for this are critically discussed.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Measures for the establishment of a higher lifelong learning ecosystem have been discussed in considerable detail, and through thi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s sufficient. However, first, the university should play a central role, but this study questions whether university reform could be achieved to suit it. Second,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national responsibility, responsibility, and continuous support are required. On the other hand, it raised questions about whether cooperation from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authorities is possible. Third, local communities should also achieve governance and participate in democratic ways, raising questions about whether a foundation-forming strategy for stakeholder consensus is established.

이 논의는 고등평생학습생태계 구축에 초점을 두고 기존의 주장들에 대해서 비판적 고찰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현 한국의 대학교육 특성과 지방대학 위기 담론을 논의하였다. 둘째, 평생학습사회와 평생학습체제 구축에 대한 주장을 고찰하였다. 셋째, 고등평생학습생태계 구축에 대한 주장을 검토하고 실천적 방안에 대해 비판적 고찰을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고등평생학습생태계 구축을 위한 방안은 상당히 구체적으로 논의 해왔고 이를 통한 지방대학의 위기 극복과 지역균형발전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다만 첫째, 대학이 중심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대학 개혁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둘째, 위기 극복을 위해 국가의 책임과 책무, 지속적인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반면 현 한국의 정부 당국의 협조가 가능한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셋째, 지역사회 중심으로 거버넌스를 이루어 민주적인 방식에 따라 진행하는데 이해 관계자 합의를 위한 토대 형성 전략이 구성되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0년도 충남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해 진행되었음.

References

  1. 임은희, "대학 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 전국대학노동조합 주최: 대학위기극복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 토론회, pp.1-51. 2020.
  2. https://www.news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93599
  3. 윤지관, "정부 대학정책 반성과 정책 패러다임의 혁신," 대학: 담론과 쟁점, 통권 제10호, pp.72-84, 2021.
  4. 이경준, "대학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 토론문," 대학위기극복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 토론회, pp.57-63, 2020.
  5. 진동섭,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학교교육의 과제," 한국행정연구, 제9권, 제3호, pp.77-97, 2000.
  6. 반상진, "국립대학 대전환의 방향과 중점과제," 2021 제2차 고등교육 정책포럼: 국가균형발전과 고등교육의 방향 자료집, pp.32-61, 2021.
  7.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21169.
  8. M. J. Seth, Education Fever: Society, Politics, and the Pursuit of Schooling in South Korea, 2002, 유성상, 김우역 옮김, 심성보 감수, 한국교육은 왜 바뀌지 않는가?, 학지사, 2020.
  9. 채재은, 한숭희, "고등평생학습체재의 형성과정 분석," 평생학습사회, 제11권, 제4호, pp.1-24, 2015.
  10. 한숭희, 이은정, "고등교육 보편화와 체제적 복잡화: 고등교육과 평생학습의 화학적 결합", 평생학습사회, 제12권, 제1호, pp.1-31, 2016.
  11. UNESCO, "Final Report,"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ult Education, 1997.
  12. 김종영, 서울대 10개 만들기, 살림터, 2021.
  13.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Project Background, OECD, 2019.
  14. C. Goldin and L. F. Katz, The Race Bewteen Education and Technology,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8.
  15. T. Piketty,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2013, 장경덕 옮김, 이강국 감수, 21세기 자본, 2014.
  16. 김주석, "BRICS 국가별 평생교육체제 강점 및 약점 분석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1호, pp.414-425,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11.414
  17. 한숭희,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의 교육학, 학지사, 2007.
  18. 손승남,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역할과 과제," 교양교육연구, 제9권, 제3호, pp.71-96, 2015.
  19. 김정인, 대학과 권력, 휴머니스트, 2018.
  20. 채재은, 아리온벌드 벌러드, "영국 및 호주의 고등교육 포용성 정책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6호, pp.733-743,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6.733
  21. 제정임, 곽영신, 지방대를 둘러싼 거대한 불공정, 오월의 봄, 2021.
  22.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94061.
  23. 교육부, 보도자료: OECD 교육지표 2021 발표, 교육부, 2021.
  24.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743019
  25. 허창수, "코로나19 시대 대학 교육과정 담론 이해", 대학: 담론과 쟁점, 통권 제10호, pp.32-51, 2021.
  26.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9614.
  27. 권대봉, 이정의, "평생교육의 지역화와 대학의 시대적 비전", 한국평생교육, 제2권, 제1호, pp.27-54, 2014.
  28. 곽삼근, "평생학습사회의 성인학습자와 고등교육개혁의 과제," 평생학습사회, 제9권, 제3호, pp.1-26, 2013.
  29. https://escholarship.org/uc/item/96p3s213.
  30. 김경희, "대학의 평생교육체제로의 전환: 학습조(Learning Organization)을 통한 접근," 교육이론과 실천, 제8권, 제1호, pp.53-66, 1998.
  31. 천세영, 한숭희, "평생학습사회에서의 고등교육의 의미와 대학의 위상전환," 평생교육학연구, 제12권, 제1호, pp.127-144, 2006.
  32. 한숭희, "교육개혁, 이제는 고등평생학습개혁에 사활을 걸어라," 교육비평, 제44권 통권, pp.121-153, 2019.
  33. http://www.km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639.
  34. https://m.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111252028002#c2b.
  35. 황승우, 서경혜, "코로나 19 시대 교육불평등 해소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과학연구, 제52권, 제4호, pp.179-207, 2021.
  36.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23480.
  37.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742653.
  38. 이요바, 김보화, 대학과 지역사회의 교육협력 사례조사, 충남대학교 교육혁신센터, 2019.
  39. 허창수, "구조조정 속 한국 대학의 현실," 대학: 담론과 쟁점, 통권 제1호, pp.111-128, 2016.
  40. https://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52.
  41.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23589.
  42. M. Young, The Rise of the Meritocracy, 1958, 유강은 옮김, 능력주의, 이매지, 2000.
  43. 허창수, "한국 대학교육에 대한 비평: 헨리 지루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1호, pp.447-456,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11.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