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 Function Fitnes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9초

운동과 뇌신경가소성: 고강도 인터벌 운동의 효과성 고찰 (Exercise and Neuroplasticity: Benefits of High Intensity Interval Exercise)

  • 황지선;김태영;황문현;이원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9-139
    • /
    • 2016
  • 운동은 중추와 말초의 각종 성장인자(BDNF, IGF-1, VEGF)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뇌신경가소성을 증진시키고 인지기능을 향상시킨다. 지금까지 저·중강도 지속성 유산소 운동의 효과를 검증하는 선행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고강도 운동에 따른 뇌신경성장인자의 발현 및 인지기능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의 과학적 증거들은 고강도 인터벌 운동이 시간 효율성, 안전성, 심폐지구력 개선 및 체중 감소에 효과적임을 암시하고 있으며, 미스포츠의학회(ACSM)에서 권장하는 일반인을 위한 운동지침에서도 무리가 되지 않는 수준에서 고강도 인터벌 운동 수행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발표된 선행 연구에서 고강도 인터벌 운동은 말초조직과 뇌에서의 BDNF, IGF-1, VEGF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그로 인한 인지기능 발달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고하였으며, 관련된 유력한 생리학적 기전으로 고강도 인터벌 운동으로 인한 뇌의 저산소화와 뇌신경대사의 부가적인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젖산 이용성 증가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저산소화 및 젖산 이용성 증가에 따른 뇌신경성장인자 발현 개선에 어떤 분자생물학적 기전이 관여하는지를 탐구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동일한 운동량을 가진 저·중강도 지속성 유산소 운동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뇌신경성장인자의 발현 및 인지기능 개선에 있어 고강도 인터벌 운동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예측미생물학을 활용한 미강 식이섬유 함유 떡갈비의 유통기한 설정 (Application of Predictive Microbiology for Shelf-life Estimation of Tteokgalbi Containing Dietary Fiber from Rice Bran)

  • 허찬;김현욱;최윤상;김천제;백현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2-239
    • /
    • 2008
  • 본 연구는 미강 추출 식이섬유 혼합물을 첨가한 떡갈비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와 유통기한 산출을 위하여 예측미생물학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미강 추출 식이섬유 혼합물을 0, 1, 2, 3%의 비율로 첨가하였으며 냉장($4{\pm}1^{\circ}C$) 조건에서 15일간 저장하며 일반세균수, 혐기성균, 저온균, 내열성균, 대장균군의 미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일반세균수의 초기 균수(저장 0일)의 경우 3.23-3.85 log CFU/g을 나타내었으며 혐기성균, 저온균의 경우 비슷한 초기균수를 나타내었다. 일반세균수와 혐기성균의 경우 저장 3-5일차에서 균수의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동안 측정된 균수를 Baranyi function을 바탕으로 성장예측곡선과 생육 지표를 예측하였으며, 성장예측곡선의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일반세균수, 혐기성균, 저온균의 경우 처리구간 모두 0.923 이상의 높은 $R^2$값을 나타내었으며 $B_f$, $A_f$의 경우 역시 이상적인 값인 1에 가까운 값은 나타내었다. RSME 값 역시 모두 0.65 이하를 나타내어 실측치와 예측치 간의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Baranyi function 식 (1), (2)을 이용하여 계산된 균수가 5 log CFU/g이 되는 시점인 predicted shelf-life의 경우 control, T1, T2, T3의 경우 각각 2.5, 3.5, 3.5, 3.6일로 예측되었으며 안전계수(1/1.5)를 고려한 estimated shelf-life의 경우 1.7, 2.3, 2.3, 2.4일로 측정되었다 미강 식이섬유 혼합물이 첨가된 처리구가 control보다 약 0.6-0.7일 긴 유통기한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고 식이섬유가 3% 함유된 떡갈비가 2.4일로 가장 긴 유통기한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미강 추출 식이섬유 혼합물이 첨가된 떡갈비의 유통기한을 예측미생물학을 적용하여 측정할 수 있었으며, 식품산업에 있어서 이러한 예측미생물학은 식품의 제조 가공 판매 등을 결정할 때 미생물의 정량적 위험성을 판단하는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산소 리듬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 김종화;박영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2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 on $VO_2$ max, leg strength, grip strength, flexibility, exercis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This qua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study. 36 subjects, aged between 65 and 73 years who have normal cognition. sensory function and cerebellum func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9 experimental group subjects participated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calisthenics, stretching, aerobic exercise,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music by the author. The program consisted of approximately 1 hours of exercise, 3 times a week for 9 weeks. During 1 hours workout, there were 15 minutes of warm-up dancing, 35 minutes of conditioning dance and 10 minutes of cool-down dancing. The intensity for the conditioning phase was between $40\%\;and\;60\%$ of age adiusted maximum heart rates. The $VO_2$ max, grip strength, leg strength, flexibility, exercis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prior to and follow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Data were analyzed with $x^2-test$, t-test,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of change and ANCOVA test using SAS program.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VO_2$ max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F=7.76, p=0.008). 2. The grip strength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F=4.61, p=0.039). 3. The leg strength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F=9.29, p=0.000). 4. Th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of flexibili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5. The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F=43.40, p=0.000). 6. The quality of life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F=8.91. p=0.005). The results suggest that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 can improve $VO_2$ max, grip strength. leg strength. exercis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elderly. Thus.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 was a useful nursing intervention for elderly.

  • PDF

Prolong life-span of WSN using clustering method via swarm intelligence and dynamical threshold control scheme

  • Bao, Kaiyang;Ma, Xiaoyuan;Wei, Jianm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6호
    • /
    • pp.2504-2526
    • /
    • 2016
  • Wireless sensors are always deployed in brutal environments, but as we know, the nodes are powered only by non-replaceable batteries with limited energy. Sending, receiving and transporting information require the supply of energy. The essential problem of wireless sensor network (WSN) is to save energy consumption and prolong network lifetime. This paper presents a new communication protocol for WSN called Dynamical Threshold Control Algorithm with three-parameter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nd Ant Colony Optimization based on residual energy (DPA). We first use the state of WSN to partition the region adaptively. Moreover, a three-parameter of particle swarm optimization (PSO) algorithm is proposed and a new fitness function is obtained. The optimal path among the CHs and Base Station (BS) is obtained by the ant colony optimization (ACO) algorithm based on residual energy. Dynamical threshold control algorithm (DTCA) is introduced when we re-select the CHs. Compared to the results obtained by using APSO, ANT and I-LEACH protocols, our DPA protocol tremendously prolongs the lifecycle of network. We observe 48.3%, 43.0%, and 24.9% more percentages of rounds respectively performed by DPA over APSO, ANT and I-LEACH.

산림치유 항노화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Anti-aging Program on Physical Health of the Elderly: A Pilot Study)

  • 백지은;신호진;김성현;김재연;박수진;성시윤;조휘영;함석찬;이민구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1-90
    • /
    • 2021
  • PURPOSE: Aging causes a decrease in muscle mass and a change in posture, which reduces motor function and makes it difficult to perform daily activities independently. As these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life,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and manage negative changes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rest healing is a nature therapy course that maintains and promotes health using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a fo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forest healing anti-aging programs on the physical health of the elderly. METHODS: Ten elderly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part of a forest healing anti-aging program for two days. Functional fitness, muscle strength, gait function, and balance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The number of arm curls, chair stands, and steps in a 2-min walk significantly increased (p < .05). 8-feet up & go tim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5). Biceps brachii, quadriceps femoris, and calf muscle strengt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 < .05). Gait velocity and cade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 < .05). Step length, stride length, step time, swing time, stance time, and cycle tim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 < .05). Reaching distance in the lateral direction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5). CONCLUSION: The forest healing anti-aging program improves the physical health of the elderly.

타이치(Tai-Chi) 운동이 유방암 수술환자의 어깨관절 가동범위와 심박동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ai-Chi Exercise on the Function of Shoulder Joint, Heart Rate in Breast Cancer Patients)

  • 김철우;곽이섭;김이순;김경철;김희은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5-349
    • /
    • 2010
  • 본 연구는 타이치 운동이 유방암 수술 후 환자의 어깨관절 가동범위 및 심박동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자는 유방암 1~2기 진단을 받고 유방암 수술 후 2개월 이내의 B광역시에 거주하는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타이치 운동을 12주간, 주4회, 1회 60분씩 실시하여 실험 전 후 어깨관절 가동범위 및 심박동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어깨관절 가동범위의 굴곡, 선전, 내전, 외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심박동수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타이치 운동은 유방암 수술 후 환자들에게 어깨관절 가동범위를 향상시키고 심장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심혈관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유방암 수술 후 환자들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권장할 만한 운동으로 사료된다.

한국산 각시붕어 수컷의 혼인색과 암컷의 배우자 선택 (Male Colors and Female Mate Preference in Korean Rosy Bitterling, Rhodeus uyekii (Cyprinidae: Acheilognathinae))

  • 전형배;석호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3-271
    • /
    • 2012
  • 암컷의 배우자 선택은 여러 수컷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성에서 각기 다른 종류의 정보를 수집, 종합하여 가장 최적의 개체를 배우자로 결정하는 매우 복잡한 행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순차적인 교배 시스템($4{\times}4$ block breeding)을 이용하여 각시붕어(Rhodeus uyekii) 암컷의 배우자 선택방식을 조사하였고, 가중과 비가중 유전적 이득의 상대적 기여도를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장치 내에서 총 48회의 암, 수간 배우자 상호작용이 관찰되었고, 암컷은 일반적으로 카로티노이드 혼인색 발현이 강한 수컷들을 배우자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배우자 선호 정도가 개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므로, 비가중적 요소도 암컷이 배우자를 선택하는데 있어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융합형 노인건강관리 신체활동 콘텐츠 (Physical activity convergence contents for health care of the elderly)

  • 강선영;강승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63-68
    • /
    • 2015
  • 급속한 인구 고령화 시대에 노인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질병예방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노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한 유용한 중재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중재 방식으로 IT기술이 적용된 융합형 콘텐츠들을 탐색하였다. 건강관리와 IT기술 융합으로 u-Healthcare와 기능성 게임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게임적 요소인 재미에 교육, 훈련, 치료 등의 특별한 목적이 부가된 기능성 게임은 신체활동을 유도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할 수 있다. 노인들의 신체활동 향상을 유도하여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는 콘텐츠로 "Puffer(ATARI, 미국)", "WiiFit(닌텐도, 일본)", "Age Invaders(MXR Lab, 싱가포르)", "Xbox $360^{\circ}$+kinect(Microsoft, 미국)", "체감형 자전거 게임(동신대학교, 대한민국)", 그리고 "3D 게이트볼 게임(숭실대학교, 대한민국)" 등이 있었다. 이들 콘텐츠의 활용을 통해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체력요인과 신체기능 향상을 도모하고 심리적 안정과 긍정적 정서를 가능하게 하여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고 질병 예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중년 비만여성들의 가압 트레이닝이 체성분, 호흡·순환계 기능 및 심혈관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ressurization Training with Walking on Body Composition, Respiratory Function, and Cardiovascular Response in Middle-Aged Obese Women)

  • 최현민;이동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45-551
    • /
    • 2012
  • 중년 비만여성들을 대상으로 다리 근육의 정맥 혈류를 제한한 가압 걷기 트레이닝 그룹 15명으로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여 3주간의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통해 LBM에서 트레이닝 전보다 후에 1.2 kg이 증가, FM과 %fat에서는 각각 2.8 kg, 3.3%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둘째,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통해 $VO_2max$와 VEmax에서 트레이닝 전보다 후에 각각 3.6 ml/kg/min, 6.0 l/min 증가하였고, HRmax에서는 7 beat/min으로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셋째,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통해 심혈관 반응에서 트레이닝 전보다 후에서 운동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CO과 TVC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압 걷기 트레이닝을 통해서 호흡 순환계 및 심혈관 기능의 증가와 근육량 증가에 따른 체성분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범위를 넓혀 노년층까지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와 3주 이상의 운동을 적용시키면 보다 높은 임상학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탄산화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합설계에 대한 연구 - 유전자 알고리즘 적용성 평가 (Concrete Mixture Design for RC Structures under Carbonation - Application of Genetic Algorithm Technique to Mixture Conditions)

  • 이성칠;;권성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35-343
    • /
    • 2010
  •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부식은 구조물의 안전성에 큰 영향을 주므로, 목표 내구수명동안 구 조물의 성능을 확보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대도시나 지하구조물에서 중요하게 평가되는 탄산화에 대하여,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한 콘크리트 배합기법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배합인자에 따른 이산화탄소 확산계수를 문헌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습도를 고려한 최적 함수식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최적 함수식은 12개의 실험자료에 대하여, 물-시멘트비, 단위 시멘트량, 잔골재율, 단위 굵은골재량, 그리고 상대습도를 포함하도록 고려하였으며,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하여, 주어진 이산화탄소 확산계수에 대한 콘크리트 배합을 도출하였다. 3개의 배합에 대하여 검증한 결과, 10% 미만의 상대오차를 보이며 주어진 배합을 잘 추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서로 다른 환경과 설계 제원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가정하여, 목표 확산계수와 단위 시멘트량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배합을 추정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주어진 확산계수와 배합을 잘 추정하였으며, 다양한 배합인자 및 혼화재료가 고려된 실험 자료를 이용한다면 더욱 합리적인 배합 기법으로 발전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