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cense plate location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4초

A New Algorithm of License Plate Location

  • 김단;손영익;김갑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08-110
    • /
    • 2004
  • Automatic license plate recognition (LPR) is one of the critical techniques of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in which license plate lo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paper, through surveying the international existing techniques, a new method for locating license plate is proposed: utilize row scan method to locate up and down boundary of the plate; and based on the location of up and down boundary, take advantage of the feature of plate area to locate left and right boundary of the plate. The tests of using the proposed algorithms have been conduct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es are reasonable and accurate.

  • PDF

SVM을 이용한 차량 번호판 위치 추출 (License Plate Location Using SVM)

  • 홍석근;천주광;안명석;심준환;조석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845-85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SVM을 이용한 번호판 위치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번호판 영역은 가로-세로 비율 컬러, 공간 주파수 성분 등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제안하는 기법은 영상 획득, 번호판 후보 영역 추출, 번호란 위치 검증 세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번호판 후보 영역 추출 단계에서는 컬러 필터링과 경계선 검출을 하여 번호판 후보 영역을 찾아내고 후보 영역의 DCT 계수를 SVM에 적용하여 검증한다. 이러한 검증과정을 거침으로써 잘못된 추출을 막아 신뢰성 있는 번호판 영역 추출이 가능하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였다.

YOLOv5에서 가상 번호판 생성을 통한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through Fake License Plate Generator in YOLOv5)

  • 하상현;정석찬;전영준;장문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4권6_2호
    • /
    • pp.699-706
    • /
    • 2021
  • Existing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is used as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but a method of using deep learning has been proposed in recent studies because it has problems with image quality and Korean misrecognition. This requires a lot of data collection, but the collection of license plates is not easy to collect due to the problem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labeling work to designate the location of individual license plates is required, but it also requires a lot of time. Therefore, in this paper, to solve this problem, five types of license plates were created using a virtual Korean license plate gener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notice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generated license plate is synthesized in the license plate part of collectable vehicle images to construct 10,147 learning data to be used in deep learning. The learning data classifies license plates, Korean, and numbers into individual classes and learn using YOLOv5. Since the proposed method recognizes letters and numbers individually, if the font does not change, it can be recognized even if the license plate standard changes or the number of characters increase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n accuracy of 96.82% was obtained, and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learned license plate but also to new types of license plates such as new license plates and eco-friendly license plates.

Adaptive Thresholding Technique for Binarization of License Plate Images

  • Kim, Min-Ki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4권4호
    • /
    • pp.368-375
    • /
    • 2010
  • Unlike document images, license plate images are mostly captured under uneven lighting conditions. In particular, a shadowed region has sharp intensity variation and sometimes that region has very high intensity by reflected light. This paper presents a new technique for thresholding license plate images. This approach consists of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it performs a rough thresholding and classifies the type of license plate to adjust some parameters optimally. Next, it identifies a shadow type and binarizes license plate images by adjusting the window size and location according to the shadow type. And finally, post-processing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is perform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ed five well-known methods.

색조와 순도를 이용한 차량번호판 검출 및 문자영역 분리 (Extraction of Automobile License Plate and Separation of Character Region Using Hue and saturation)

  • 박종욱;엄재원;최태영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81-1084
    • /
    • 1999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extracting automobile license plate information using color image processing and separation of character regions. The hue and saturation of color information is need for license plate extraction and the specified standard location ratio is need for character region separat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detect license plates and separate character regions successfully.

  • PDF

다양한 배경과 촬영 방향에서 취득한 주차 단속 영상에서의 번호판 추출 (License-Plate Extraction for Parking Regulation Images with Various Background and Photographing Direction)

  • 권숙연;김영원;전병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Ⅲ
    • /
    • pp.1291-1294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to extract license plates from parking regulation images which is captured in various photographing direction and complex background. first, we search each row at regular intervals starting from the bottom of a license-plate image, and we set up a rough region for a certain zone in which the sign of intensity vector changes frequently enough and color of license plate is detected enough, assuming it as a candidate location of a license plate. And then, we extract an elaborate area of a license plate b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projecting vertical edges. Here, tar types of the private and the public, are easi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lor of extracted plates. To evaluate proposed method, we used 200 actual regulation images.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showed extraction rate of 96%, which is 9% higher than the previous method using only intensity vector.

  • PDF

에지 영상의 방향성분 히스토그램 특징을 이용한 자동차 번호판 영역 추출 (Extraction of Car License Plate Region Using Histogram Features of Edge Direction)

  • 김우태;임길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1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번호판 영역의 추출에 사용될 수 있는 특징 벡터와 이를 이용하여 문자와 비문자를 판별하고 숫자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특징 벡터는 영상의 기울기 벡터에서 얻어지는 에지 영상의 방향 코드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추출된다. 추출된 특징 벡터를 MD로 구현되는 문자 및 비문자 인식기에 입력하여 문자와 비문자를 판별함으로써 번호판 영역의 위치를 추정하고, 숫자를 인식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문자와 비문자의 정확한 판별, 번호판 영역의 위치 추정 및 숫자의 인식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n image enhancement-based License plate detection method for Naturally Degraded Images

  • Khan, Khurram;Choi, Myung Ryul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88-1194
    • /
    • 2018
  • This paper proposes an image enhancement-based license plate detection algorithm to improve the overall performance of system. Non-uniform illumination conditions have huge impact on overall plate detection system accurac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color image enhancement-based license plate detection for improving accuracy of images degraded by excessively strong and low sunlight. Firstly, the image is enhanced by Multi-Scale Retinex algorithm. Secondly, a plate detection method is employed to take advantage of geometric properties of connected components,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undesired plate regions. Finally, intersection over union method is applied for detecting the accurate location of number plat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significantly improves the accuracy of plate detection system.

도로주행 영상에서의 차량 번호판 검출 (Vehicle License Plate Detection in Road Images)

  • 임광용;변혜란;최영우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2호
    • /
    • pp.186-19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도로주행 영상에서의 자동차 번호판 검출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조명변화에 강인한 8bit-MCT 특징과 랜드마크 기반의 Adaboos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번호판 후보 영역을 생성하고, Adaboost의 검출 스코어를 이용하여 번호판의 위치를 확률로 추정하는 현저도 지도를 생성한다. 현저도 지도에서 임계값 이상의 영역을 번호판 후보 영역으로 검출하고, 각 후보 영역에 대하여 지역분산을 이용하여 영역을 보정한 후 SVM과 8bit-MCT의 히스토그램을 특징으로 사용하여 영역을 검증하고 자동차 번호판 영역을 확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한국과 유럽의 다양한 도로주행 영상에 적용하여 85%의 안정적인 검출 성능을 실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Emgu CV를 이용한 자동차 번호판 자동 인식 프로그램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Automatic license plate recognition program using Emgu CV)

  • 김남우;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209-1214
    • /
    • 2016
  • 자동차 번호판 인식은 대중적인 감시 기술 중의 한 종류로서, 주어진 비디오나 영상 내 광학문자 인식을 수반한다. 번호판 인식은 자동차 번호판 국부화, 번호판의 크기, 차원, 명암대비, 밝기를 조정하는 정규화, 개별문자를 얻어내는 문자 분할, 문자를 인식하는 광학 문자 인식, 번호판의 형태, 크기, 위치 들이 연도별,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번호판들의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구문 분석을 하는 절차를 거친다. 본 논문에서는 EmguCV를 이용하여 구현한 번호판 감지를 수행하여 위치를 찾아내고, 오픈 소스 광학 문자 인식 엔진으로 잘 알려져 있는 테서렉트 OCR을 이용하여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하는 자동 인식 프로그램을 구현하고 번호판의 촬영 각도, 크기, 밝기에 대한 성능평가 결과에 관해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