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space

검색결과 634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도서관 열람실 공간기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patial Standard for Reading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 임호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140-147
    • /
    • 2016
  •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the size standard of university library's user space, and present the standard and method to calculate total area required in the planning of new building construction and remodeling. Nine university libraries newly constructed or remodeled since 2000 were selected among the libraries of large scale universities with more than 10,000 enrolled students as the target libraries in this research. The target libraries were classified into A group (five cases partially remodeled) and B group (four cases newly constructed or fully remodeled) on the basis of the change of times. A university library can be divided into three spaces (user space, administration space and public space).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reading room in the user space into bookshelf zone, reading zone, information/office zone and hall/other zone, and analyzed area ratio according to each zone. B group's bookshelf zone decreased 12% more than A group, and B group's reading zone increased 10% more than A group. However, there was no big change in the area ratio of information/office zone and hall/other zone.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university library changes from book and archive preservation-oriented space to user-oriented space. This research presented a proper reading room area calculation method, based on the capacity of books, by reflecting such a change. Each zone's standard was set up through classific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s, based on which, the calculation method of university library's total floor area required was presented. The reason why there was difference in university library's total floor area required according to domestic standard and international standard was that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per seat in the reading room was different. The area calculation methods presented in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useful data upon planning university library construction or remodeling.

대학도서관 공간 평가를 위한 감성어휘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Vocabulary Based on Space Assessment of the Academic Library)

  • 노동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3-104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공간과 관련된 감성어휘들을 도출하여 향후 도서관 공간 설계 및 평가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5단계의 추출 및 정제 과정을 통하여 대학도서관 공간과 관련된 주요 감성어휘 12개를 도출하였다. 감성어휘와 관련된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 분석, 대학도서관 사서 및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설문조사, KJ법을 통한 유사도 평가 등을 한 결과, 최종적으로 '다양하다, 만족스럽다, 필요하다, 가득하다, 깨끗하다, 안정적이다, 알맞다, 조화롭다, 개방적이다, 따뜻하다, 자연스럽다, 훌륭하다'가 대학도서관 공간과 관련된 감성어휘로 선정되었다.

유비쿼터스 기술을 적용한 이용자 중심의 공공도서관 공간 변화에 대한 연구 - RFID시스템 적용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f Space Change of User-centered Public LibraryAdapting to Ubiquitous Technology)

  • 김극기;정철오;김용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8-181
    • /
    • 2005
  • The development technology is not brought out the change of life style but spac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technology, it is comes to an age of Ubiquitous computing that make the possible intelligent space. Space in public library, too, is necessarily changed according to introduce Ubiquitous technology. This change of space give a benefits to user in public library. Therefore finding solutions for user-centered space in public library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making it intelligently and sufficiently.

  • PDF

공공도서관 실내 공용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o Interior Common Spaces in Public Libraries)

  • 이효창;허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55-62
    • /
    • 2007
  • Modern public library is expanding its role as generalized cultural facility. Therefore public library that has comfortable and physical environment for various age and various users a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n common space of public library, and trying to suggest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 that various users could comfortably use the library based on its data. The scope of this research were adjusted as 8 public libraries located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of Seoul. Spacial scope that was set of this research was common space of public library and scope of content was about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toward common space of public library were appeared as low. Second, constant management and application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is needed. Third, as roles and functions of public library become various from now on, application of delicate universal design is needed for intention of users.

도서관 프로그램 재해석에 기반한 공간구성 제안 - 국립세종도서관의 운영기본계획을 중심으로 - (Spatial Configuration Suggestions Based on Interpretation of Library Programs: A Study on Operations Plan in the National Sejong Library)

  • 천혜선;이정미;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63-387
    • /
    • 2013
  • 세종시에 건립되는 국립세종도서관은 정책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도서관과 공공도서관으로 어린이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립도서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세종도서관의 공간구성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첫째, 국립도서관으로서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공간요소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공간구성 및 동선계획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둘째, 국립도서관인 동시에 공공도서관으로서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정보서비스와 어린이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구성과 동선계획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건축도면상에서 각 층별 공간구성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운영관리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공간의 성격을 규정하고 서비스라인과 이용자 동선계획에 중점을 두었다.

대학도서관의 메이커 스페이스 도입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Makerspace at Academic Library)

  • 김보영;곽승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59-279
    • /
    • 2017
  • 대학 도서관은 지식 창출의 촉진자로서 연구자들이 협업할 수 있는 공간으로, 캠퍼스 내 창조허브 센터로서 가장 이상적인 환경을 갖추고 있다. 최근 들어 4차 산업혁명과 창의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국외의 경우 대학도서관에 메이커 스페이스가 점차 도입되고 있다. 대학도서관의 메이커 스페이스는 새로운 지식과 관심사의 발견, 실습, 학제 간 융합교육이 가능하게 하는 최적의 장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대학 및 대학도서관 메이커 스페이스 사례 조사를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의 메이커 스페이스 도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복합문화시설로서 도서관의 라키비움 도입전략 연구 (Study on Larchiveum Introduction Strategy of Library as a Multi Cultural Facilities)

  • 곽승진;이정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9-35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문화시설로서 도서관의 라키비움 도입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복합문화시설로서 도서관의 공간구성과 프로그램의 문제는 라키비움, 메이커 스페이스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으며, 디지털 라키비움 관점에서 유로피아나, GLAM, DPLA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복합문화공간으로 최근의 메이커 운동을 반영한 라키비움 구축을 위한 전략으로 정보와 문화, 예술을 향유하는 라키비움 구축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구하고 이용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는 메이커 스페이스, 자연과 건강, 호기심 지극 등의 키워드로 생태적 개념을 적용한 매력적인 공간의 구축 전략을 제시하였다. 라키비움 구축을 위한 절차와 방안은 크게 공간구성과 서비스 및 프로그램, 운영 규정 3가지로 구분하고, 12개의 세부사항으로 정리하여 미래형 도서관으로서의 라키비움 구축 절차와 방안을 도출하였다.

관종별 공간구성을 위한 핵심 도서관용품 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e List Development of Library Goods by Library Types)

  • 안인자;노영희;박미영;이재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5-220
    • /
    • 2011
  • 최근 도서관 공간과 용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대하면서 담당 사서는 관련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업무 중요도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업무 수행을 원활히 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도서관,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에 필요한 핵심용품과 비핵심용품을 개발하였다.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은 장서공간, 열람공간, 문화공간 등 9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용품 80-90개(핵심용품 50-60개, 비핵심용품 20-30개)를 도출하였다. 어린이도서관은 열람공간(서가공간, 진입공간), 특별활동공간 등 4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60-70개(핵심용품 30여개, 비핵심용품 30-40개)를, 학교도서관은 장서공간, 멀티미디어공간, 열람공간, 교수학습공간 등 7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90여개(핵심용품 30-40개, 비핵심용품 50-60개)를 제시하였다. 본 결과는 사서의 구매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추가적으로 관리지침 및 기준, 관리매뉴얼 등의 업무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Digital Library를 위한 텍스타일 프린트 디자인의 이미지 유사성 평가 (Similarity Evaluation on Images of Textile Print Design for Digital Library)

  • 이채정;김주용
    • 감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631-637
    • /
    • 2007
  • 이미지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톤(tone), 즉 명도와 채도로 결정하여 정보 엔트로피를 계산하여 상관 계수를 계산하였다. 이미지의 톤을 알아보기 위해 영상정보의 색 공간을 RGB color space에서 HSI color space로 전환하였다. 이후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해 이미지의 전체 픽셀수가 아닌 엔트로피 값의 범위에 따라 전체 70%의 픽셀 또는 이미지를 가장 많이 구성하는 세 가지 톤의 픽셀 수에 의해 결정되었다. 'Romantic'이라는 인간의 감성으로 판단된 18개의 영상정보를 선정하여 위의 모델을 적용, 이미지 유사성을 판단하였다.

  • PDF

지역사회 개방형 학교도서관의 배치유형과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School Libraries that are Open to Public)

  • 공순구;박지훈;신한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7-340
    • /
    • 2012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도서관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역 개방형 학교도서관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학교도서관으로 이용하던 시설일부를 개방하여 지역주민에게 공공도서관의 소분관으로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접근성 향상 및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제공에 목적을 갖는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통해 국민생활의 정보이용 복지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로 교육과학기술부와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도서관 접근성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 공공도서관의 분관에 속하는 소규모도서관과 작은 도서관 확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에 거점도서관의 소분관 설치 증가도 의미는 있겠지만 지역주민의 접근이 용이한 학교도서관에 같은 기능을 접목시켜 설치할 경우 도서관 조성시 대지 및 공간확보에 대한 예산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학교도서관 자체의 질적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은 기능과 성격이 공공도서관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을 지역개방하여 활용할 경우에 대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기 위한 배치와 규모 그리고 공간구성에 지향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조성될 개방형 학교도서관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