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space

검색결과 634건 처리시간 0.03초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librarians on the Education of Library Space Planning)

  • 박혜진;노영희;최만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1-77
    • /
    • 2020
  • 본 연구는 도서관공간구성이 필요한 환경적 요인, 도서관공간 관련 실무의 중요도, 사서가 갖추어야 할 도서관공간기획 능력이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시작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공간기획 업무를 담당하는 사서와 사서를 대상으로 하는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 방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과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를 바탕으로 교육의 방향과 개선사항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은 공간기획 실무를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도서관공간기획 과정에서 사서의 참여는 이용자 및 전문가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방법과 교육과정을 도서관 규모와 예산에 따라 계획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도서관 공간교육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사서의 공간실무 참여와 필요성은 강조될 수 있으며, 나아가 도서관 운영과 이용자들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대학 도서관의 범죄 불안감과 공간 계획 요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ear of Crime and Space Design Elements in Campus Library)

  • 이소연;최소희;하미경
    • KIEAE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77-85
    • /
    • 2010
  • The library is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building on campus, but, it has been reported to be a facility most vulnerable to crime. However, almost no study has been conducted on crime in the library, which implies a need for research on the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pecifically twofold. First, this study will suggest components of environmental plan to prevent fear over library crime on campus. Second, the study seek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use per library space and fear of crime. This has been analyzed by conducting a survey among current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urvey includes the following three details: first, fear over day/night crime per library space; second, components of environmental plan to prevent fear over crime per library space; third, level of use per library space on campus. The results of study show that fear of crime has low relation with crime occurrence, fear per library space is higher during the night than during the day, and the space where the fear level is usually high is the service facility. There is a difference for each space in terms of important components of environmental plan to prevent crime per library space, and installation of security device is most important. One must consider a plan for a crime safe environment regarding library space where the level of use during the day is low.

유비쿼터스 시대 도서관 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Space in the Emerging Ubiquitous Environment)

  • 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25-343
    • /
    • 2006
  • 유비쿼터스 정보 환경의 도래와 함께 전통적으로 도서관 건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도서관 서비스 공간도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정보 환경에서 도서관 공간의 의의와 범위 및 특징을 문헌연구와 국내외 사례 연구, 그리고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그룹인터뷰 등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이 제공하는 물리적 장소는 이용자에게 여전히 중요한 공간임을 확인하고, 유비쿼터스 공간의 개방성과 상호 작용성을 고려한 정보 공간 운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전문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 특성에 따른 이용만족도 연구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of the Junior College Library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 이수영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37-44
    • /
    • 2017
  • This study is about user satisfaction of the Junior College Library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For this,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targeting the libraries in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do. First, in case of study of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for books and library data, student satisfaction for traditional and normal library areas was high. It means that the service based on library areas should start from normal library areas as well as there is a change about space as the type of data in libraries change to electric data and multimedia. Second, If we look at the space for a reader and a user, satisfaction for a normal reading room was high. we can also see that satisfaction for a computer room and a multimedia reading room was not higher but still high. Also, the reason why satisfaction for a multimedia reading room that provides various activities was high was that the complex of a library space is needed to provide users with various activities. Third, in case of space for programme function and meeting, satisfaction for the room of video information and the group study room was high. we can see that user satisfaction for the space got high basically when a user is satisfied with the proper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on interaction Fourth, as a result of variance analysis of 3 spaces of Junior College Library and the services, the size of the space of service does not influence user satisfaction directly. Even the space is small, if it decorates variously like with a lighting for a user, a window seat to meet the nature of users and has specific factors such as space reservation using internet, user satisfaction is high. If we summarise the result of this study, to make user satisfaction for speace in a Junior College Library higher, not just we need to try to make it extend as a educational, a cultural place but we also need to accept the student's requirement that the space also needs to be extend as a complex cultural space.

공공도서관 공간운영을 위한 기준 도출에 관한 연구 (Constituents Analysis of Guidelines for Public Library Space)

  • 김선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5-10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이 공간운영을 계획할 때 참조할 수 있는 기준과 권장사항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도서관이 새로운 공간계획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IFLA의 도서관 공간산출법, 호주의 NSW 도서관의회에서 제공하는 공공도서관 공간운영기준 그리고 프랑스의 대학도서관을 위한 공간운영 권장사항을 조사 분석하였다.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공공도서관을 위한 공간운영권 장기준(안)을 제시하였다. 권장기준(안)은 공공도서관의 영역을 장서공간, 이용자공간, 사무공간, 문화공간, 지원공간 그리고 선택적 공간으로 구분하였으며, 구분된 각 개별 공간이 전체 도서관건물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장서공간을 기준으로 영역별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기준을 적용함에 있어 개별 도서관의 건물사정과 제공하는 서비스가 도서관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분위기와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학교마을도서관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강릉시 평생학습도시 사업을 통한 학교마을도서관의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Organization of School Community Library -Focusing on a fact-finding study of school community library through life-learning city project carried out by Gangneung-si-)

  • 문정인;이요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21-28
    • /
    • 2011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truction of spac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cases of school community library through Gangneung-si's life-learning project and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most space used for school community library has the size of two classes in school on average and locals use generally space for reference and learning at school community library. Secondly, the construction of space of school community library is categorized into one for book-returning, references, reading, group learning and information, and an audio-visual space is also used for group learning and reading. A space for book-returning has features based on the location of its entrance and a space for reading features stand-up and sitting-on space considering size and usability. And a space for group learning has the feature of space planning that makes it possible for local people to get library programs and seminars and a space for information shows its feature of space planning that uses the wall.

도서관 공간에 대한 장애인 이용행태 및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Disabled' Use Behavior and Needs towards the Library Space)

  • 배경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5-42
    • /
    • 2019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기능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장애인이 실제로 도서관 공간에서 느끼는 경험은 어떤지를 고찰하고, 장애인이 원하는 공간에 대한 요구사항은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도서관 이용경험이 있는 시각 청각 지체 장애인 각 5명씩 총 15명의 피실험자를 선정하여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 공간에서의 장애인 이용자 경험은 장애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긍정보다는 부정적인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도서관 직원 및 비장애인의 잘못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경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도서관 공간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장애유형별로 매우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였으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서비스 공간에 대해서는 현재의 도서관 공간수준을 유지할 경우 대체로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다.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for Public Library Space Need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49-16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건축, 특히 공간구성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조사하여 공공도서관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도서관 신축을 진행하고 있는 경기도 용인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기능별 공간 비율과 공간배치에 관련된 요인들로 도서관 이용목적, 도서관 내 활동, 연령, 동반자 형태 등이 있었다. 도서관내 주요 활동은 독서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많은 주민들이 가족과 함께 도서관을 이용하는 성향을 보여주고 있어서 가족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였다. 또한 연령별로 도서관내 활동의 차이가 있어 연령별로 적합한 공간의 확보가 요구되었다.

  • PDF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의 도입을 통한 학교도서관 공간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chool Library Space by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Common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67-289
    • /
    • 2008
  • 학교도서관에서 공간의 의미는 학교도서관 이용자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학생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여타 도서관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공간의 규모가 충분하지 않은 국내 학교도서관의 현실을 고려할 때 공간의 효과적인 활용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서비스 공간을 지향하는 Information Commons 개념의 도입을 통해 학교도서관 공간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은 도서관내 필수시설을 최소화하고 유연성 및 호환성을 확보함으로써 공간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간중심 디자인과 개방성을 지향함으로써 학교 내 커뮤니티와 수업의 중심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문화공유지(Cultural Commons) 개념에 의한 대학도서관의 공간프로그램과 디자인방법의 특성 - 타마미술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University Library's Space Program and Design Characteristics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Commons' - Focused on the Tama Art University Library -)

  • 편영희;박찬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48-58
    • /
    • 2015
  • This study is to conclude a direction for Information Commons, which supports the university library in a new role. The study explains perspectives on the changing role of the university library by examining the approaches, histories, and theories practiced by various researchers on Information Commons. The study aims to discover ways of improving the library space that are dedicated to technology using Information Commons, it also examines ways of creating a unified "library space" that will support learning and access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features of Cultural Commons include making improvements to technology-centered space, and providing support to research, freedom of speech, creative approach, public freedom and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The functions of Cultural Commons within the university library are listed: First, it supports programs that will transform the library into a social hub within the university. The space specifically blurs the boundary between the library building and its surroundings, and unifies these spaces to enhance its catalytic role in aiding social interactions and human-centered approach. Second, it supports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cultural programs and provides a fluid and interactive space with virtual resources. Third, it enhances user experience to supports behaviors and activities that involve fixtures and equipment in the space to promote learning. The study notes that, with the emergence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university library is changing by implementing Cultural Commons for on-campus social space and new learning. Accordingly, this implementation is expected to enhance active acceptance of the library spac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