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Practice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21초

학교도서관 이용자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 (A Study on the Efficient Methods of User Education for School Library)

  • 이만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65-187
    • /
    • 2011
  • 이 논문은 서울, 인천, 경기의 초 중 고등학교 학교도서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 이용자 교육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이용자 교육의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도서관에는 사서교사가 배치되어야 한다. 둘째, 사서교사는 이용자 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과학기술부 및 교육청, 학교장의 행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넷째, 교과교육과 같이 정규 시간을 확보하여 이용자 교육을 해야 한다. 효과적인 이용자 교육을 위해서는 사서교사의 배치와 교장 학생 교사 학부모의 관심, 교육 내용 개발, 수업 시간 확보 등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의사들의 정보요구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Need and Use Behavior of Doctors)

  • 홍기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3-50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들이 환자 치료와 학술적인 연구를 하기 위해 요구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7년 12월 3일부터 12월 21일까지 3주 동안 의사 17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용자들의 정보요구와 이용행위로 정보수집방법과 정보원, 그리고 도서관 이용정도와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의사들은 최근의 연구동향을 알고자 할 때와 환자 치료를 위해 정보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들이 그들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선호하는 정보수집방법은 인터넷 검색으로 그 이유는 정보접근의 편이성과 정확성, 최신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들은 정보가 필요할 때 주로 도서관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경향이 있으나 대체적으로 보아 도서관 이용빈도수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문대학도서관과의 모형교육과정 수정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vision & Development on the 'Model -Curriculum of the Library Science of the Junior College)

  • 소시중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8권
    • /
    • pp.213-276
    • /
    • 1990
  • To revise and develop a 'Model' Curriculum for training the middle standing professionals equipped with professional technology and theories at the spot of the library, such process were executed as research on bibliographic material and literature, utilization of examination of various questionnaires, interviews with middle standing librarians at the spot of the library, a review on the operational state of the Professor's Association of Library Science of Junior Colleges, some consultation with the Research & Deliberation Committee on Curriculums, etc., and to review the present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at the two-year course's short-term colleges or institutes in foreign countries, Germany which is thought to be similar to our nation's situations and its level of economy and Singapore which is considered to be a newly emerging nation were looked into typically. In particular, since studies on the curriculums of the Library Science Dept. of colleges had already preceded, thereby the framework of the 'Model' curriculum was already achieved, however to review how well such framework is applied to the spot of education and give some improvement on that, some unrelistic findings of different subjects in consideration with reality, while comparing those curriculum schedules of each Library Science Dept. with the 'Model' curriculum schedule, were supplemented or revised to be fit to reality. For some supplementing or revising proposals on the pre studied 'Model' curriculum, some tentative plans which focussed on each field respectively and some tentative plans which focussed on cultural subjects, required major subjects and elective subjects were suggested in duality to be referred to. On such a process of forming a harmony of educational theories and practice, it was planned to revise and develop curriculum in a sense emphasizing on practical exercise, and tried not to neglect on each of the fields of the curriculum centered on the areas of materials organization, linguistics, information resource, information science, library organization, & administration, etc. The study on curriculums should be performed flexible to be applied to the accelerating transition of sciences, and be good examples in instruction.

  • PDF

정보학 교육의 개혁방안 연구 (A Study of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Specialists)

  • 최성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6권
    • /
    • pp.111-176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provided by the undergraduate courses of the departments of library science of the Korean universities by looking at major topics included in the syllabi distributed to students in the past three year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evaluation of the professional education for information specialists by the graduates of the departments of library science who have acquired a critical appreciation of their professional studies and speak from experience about the relavance of the programme to their work and careers, and by the managers of information service units where the graduates would eventually make their careers. Specifically, the study addresses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a) To what excent do the information science curricula contribute to advancement of theory and practice of the information profession? (b) To what extent do the information science curricula contribute to students in acquiring th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of the information specialist? (c) To what extent are the employers' concerns reflected in the information science curricula? (d) What reforms are needed to bring the current information science curricula closer to the present and future needs of the information profession?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study is conducted in two main parts: an in-depth subject analysis of the articles of three important journal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cience published during the past ten years and of the syllabi used for information science subjects taught in the departments of library science during the past three years and an extensive survey of the graduates of departments of library science and their principal employer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average number of 4.1 subjects of information science is offered in departments of library science, and the most common subjects offered are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and library automation. Approximately two thirds of the total outpu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cience are taught at one or more departments of library science in Korea. Majority of the graduates of the departments of library science comment that their professional education did not offer to them systematic orientation to the specifics of the first job. The employers of the graduates believe that departments of library science should provide sufficient practicums to enable students to understand and apply the theory.

  • PDF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및 학술행사 인식 연구 -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 (Perceptions of Academic Journals and Scholarly Ev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 Group Interviews)

  • 김수정;이종욱;정인영;오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19-345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회(한국문헌정보학회, 한국비블리아학회,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한국정보관리학회)가 협력하여 지원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은 4개 학회가 출간·운영하는 학술지 및 학술행사에 대한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발전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개 학회의 임원들을 비롯하여 학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온 대학교수, 연구자, 사서 등 총 21명을 대상으로 6회에 걸쳐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요한 학술지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 간 품질 차이가 크므로 전반적인 논문의 품질 향상을 위해 현행 심사 및 출판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현장 실무자의 논문 투고를 장려하고 학술지에 현장 연구를 적극적으로 게재함으로써 현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학술지들은 주제 범위나 현장성 반영 정도, 국제화 노력 정도 등을 다르게 함으로써 특성화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학술행사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첫째, 대규모의 공동학술대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학술적 요구뿐만 아니라 친목 도모를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학회별로 특성화된 학술행사를 준비해야 하며 이를 위해 관련 전문직 단체와의 협력을 꾀할 수 있다. 셋째, 실무자, 신임 연구자, 대학(원)생 등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사회적 거리두기 시대의 인터넷 기반 연구: 두 온라인 연구 프로젝트로부터의 방법론적 고찰과 제안점 (Internet-Mediated Research in the Age of Social Distancing: Methodological Reflections and Recommendations from Two Online Research Projects)

  • Lee, Jisue;Hollister, Jonathan M.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319-353
    • /
    • 2020
  • 코비드-19(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으로 인해, 전세계의 고등교육기관 학자들은 교육, 서비스, 연구를 위해 온라인 환경으로 대대적으로 이전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 이 시도는 새롭고 도전적인 경험이 되고 있다. 전통적인 대면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연구의 모범실무 중 많은 것들이 온라인 환경 연구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지만, 온라인 연구 수행 시 온라인 환경의 특수한 지원성과 한계로 인해 연구자들이 철저하게 계획을 세우고 실행해야하는 추가적인 도전과 뉘앙스들이 존재한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사생활보호, 사전동의, 신뢰의 형성과 데이터의 신빙성, 그리고 참여자 보유와 같은 핵심적인 이슈들에 대해 토론하고, 두가지 온라인 연구의 경험과 증거에 기반한 실제적인 제안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두가지 온라인 연구에서 얻어진 고찰과 예시들은 해당 이슈들을 실제 연구에 맥락화한 증거이자 실천으로 기능한다. 사회적 거리두기 시대에 온라인 연구를 고려하는 많은 연구자들에게 이 연구의 증거와 실제적인 가이드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도서관 업무와 전문사서간의 윤리적 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study on the professional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librarian and library work)

  • 손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485-51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ypical ethical problems found in the technical and public services areas.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study. There are three distinct elements that govern ethical problems. One element is legal laws. The copyright law and the privacy act are exact examples. The copyright law has strong influence on the inter library loan service where the majority requests from the users are reproduction of copies. The privacy act also creates difficulties for librarians. Most requests for circulation records infringe on the privacy of library user. And advance online access systems also violates the privacy of library users. The second element is the code or rules that private organization has created.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created many statements that regulate the conduct of librarians. The bill of right, the professional code of ethics and policy on the confidentiality of library records have strong implications in the obligation of librarian. In the case of censorship at the selection of library materials, the code is a defensive tool against intellectual freedom. Yet self-censoring are prevailing practice among librarians. The thirds element is the competence of librarians. The analyzed table 3 showed that beside two elements, the rest of matters are competence required by librarians. The one aspect of it is humaneness and the other one is technical aspects. Technical aspect of competence are:(l) managerial and operational ability (2) communication skill (3) leadership (4) structure of knowledge and (5) self developing professionalism. Humanity aspect of competence are:(l) trust(fiduciary relationship) gained by diligence, objective judgement, ability, belief, rationality, integrity, kindness) (2) objectiveness (free from bias) (3) user-oriented consideration (need, interest, equal treatment, information gap) (4) caution in providing information (5) pride and (6) ability to distinguish advice and guidance specially in medical and law library.

  • PDF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Contents and Strategies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Education)

  • 김종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5-159
    • /
    • 2006
  • 이 논문은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에 포함되어야 하는 교육 내용과 전략적 강조점을 탐색하였다. 사서교사 인력에 대한 현장의 수요가 지속되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체계와 내용이 부실한 상황을 전제로 하여 연구자는 그 개선 방안으로 교육 내용의 강화와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을 제시하였다. 사서교사 양성 교육의 영역을 도서관 운영 영역. 독서 영역, 교수 학습 영역으로 나누어 확충되고 개선되어야 하는 점을 제시하였다. 도서관 운영 영역에서는 기능위주의 교육을 탈피하고 철학과 역사에 대한 교육을 보완해야 하며 독서 영역에서는 이론 위주 교육보다는 독서 자료에 대한교육을 강화하여 독서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능력을 배양해야 하며 교수 학습 영역에서는 교과과정 운영과 수업 운영의 기본 능력을 배양하는 방향으로 교육내용을 설정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학교도서관 상황과 문헌정보학 교육 수준에서 고려되고 반영되어야 하는 교육적 전략으로 견고한 사서교사 정신의 확립, 현장 적응력의 강화, 자료 전문성의 제고 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내용이 교육과정 편성이나 교재 편찬에 실제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나아가 사서교사 자격 인증제도 등에 대한 모색도 논의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전자 학술지 안에서 하이퍼링크 행위와 전통적인 인용 행위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들에 대한 비교 분석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Hyperlinking Practice of Scholarly E-journal Authors and the Traditional Citing Practice)

  • 김학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7-63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 학술지 안에서 하이퍼링크 행위와 전통적인 인용 행위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들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하이퍼링크들을 포함하는 230편의 전자 학술논문들과 그들의 저자들이 이 연구를 위한 샘플로 선정되었다. 그 저자들의 하이퍼링크 사용 동기들을 조사하기 위해서 우편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다($70\%$ 응답률). 또한, 하이퍼링크 사용 패턴을 조사하기 위하여 그 전자학술논문들과 그들 안에서 하이퍼링크된 소스 다큐먼트들에 대한 내용 분석이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전통적인 인용 행위에 관한 이전의 수많은 연구 결과들과 직접 비교되어졌다. 이렇게 직접적인 비교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들은 하이퍼링크와 인용 행위들 사이에 여러 가지 유사점들뿐만 아니라 심각한 차이점들이 또한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Examining the Practice of Digital Scholarship Services at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o Chi Minh City

  • Ngo, Thi Huyen;Nguyen, Hong Sinh;Ninh, Thi Kim Tho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0권1호
    • /
    • pp.1-17
    • /
    • 2022
  • The article reports the results of an investigation on the practice of providing digital scholarship services at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o Chi Minh City, Vietnam. This study is part of an ongoing research project entitled Developing a digital scholarship service framework for universities at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o Chi Minh City. It employed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31 individuals who are university managers, library managers, lecturers, and post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from six member universities and Central Library of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o Chi Minh City. Research results show that some digital scholarship services have been provided at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o Chi Minh City. However, they have not been yet systematically implemented and have not met users' needs. Lack of needed resources such as space, technology infrastructure, human resources, finance, and stakeholder support are among major challenges in developing digital scholarship services. The management of existing digital scholarship services is fragmented without a clear policy for developing digital scholarship and supporting services.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knowledge by adding substantially to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 of providing digital scholarship services in Vietnam's universities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state control to autonomy, which has not been much addressed in previous research. Furthermore, this study can be a useful reference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regarding implementation of digital scholarship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