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Policy Analysis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기록분야 연구주제 분석: 2002~2023년간 기록관리학, 문헌정보학, 역사학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opics in Archival Studies: Focusing on Academic Papers in Archival Scienc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History from 2002 to 2023)

  • 김선욱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91-11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록관리학, 문헌정보학, 역사학 학술논문의 서지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기록분야 연구주제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173편의 학술논문을 수집한 뒤, 저자키워드 데이터로부터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고 초록 데이터로부터 토픽모델링을 진행하고 분석 결과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였다. 저자키워드로부터의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주요 법령과 정책의 변화에 따라 연구주제 네트워크가 적극적으로 변화하는것이 확인되었다. 초록으로부터의 토픽모델링 결과에 따르면, 전체 학술논문의 주제는 '레코드매니지먼트', '아카이빙', '국가기록정책' 으로 구분된다. 2002~2009년 동안은 '레코드매니지먼트'와 '국가기록정책'이 상대적으로 우세하였으나 2009년부터 균형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며 2019년에 정점을 이루었다.

실시간 참고서비스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및 고려요소 (The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Real-time Reference Service and the Effective Way of Using it)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75-101
    • /
    • 2006
  • 본 연구는 실시간 참고서비스의 도입을 위한 필요 요소들을 정책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참고서비스의 새로운 방법으로 소개되어지고 있는 실시간 참고서비스는 선진국의 사례에 기초해 성급하게 도입과 적용을 결정하기보다 충분한 사전 조사와 사례분석에 의한 적절한 적용 및 활용방안이 결정되어야 한다. 즉, 서비스정책의 수립, 적절한 프로그램의 선정, 프라이버시 정책의 확립, 그리고 도서관간 협력방안의 모색 등의 정책적 요소와 서비스 인력의 확보 및 교육, 운영시간, 홍보 및 평가시스템 운영 등의 운영적 요소에 대한 고려와 검토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 PDF

신문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본 국내 정보화의 경향과 도서관의 역할 (Trends of South Korea's Informatization and Libraries' Role Based on Newspaper Big Data)

  • 나경식;이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4-33
    • /
    • 2018
  • 본 연구는 경향신문, 국민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총 4개의 신문기사에서 정보화 및 도서관과 관련해서 1998년부터 2017년까지 20년간의 객관적인 신문 데이터를 통해 한국의 정보화 트렌드를 분석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뉴스 빅데이터 시스템인 빅카인즈(BigKinds)를 활용하여 메타데이터 및 연관어(공기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키워드 '정보', '정보화'와 '도서관'의 시대별, 분야별로 단순빈도 분석과 군집 및 분류 등의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정부기관의 발행물인 '정보화백서'와 문헌정보학 분야의 '학술지'의 연구 주제와 비교를 통해 언론과 연구에서 나타나는 정보화의 경향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는 언론을 바탕으로 형성된 국내 정보화의 트렌드를 해석하고자 시도했으며, 장기시계열적 데이터인 신문기사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의 정보화와 함께한 도서관의 성장과 발전의 함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정보화와 도서관정보화정책 발전방향의 기본적인 틀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도서 대출수요 분석 : 대구광역시 시립도서관을 사례로 (Analysis of Borrows Demand for Books in Public Libraries Considering Cultural Characteristics)

  • 오민기;김경래;정원웅;김건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55-64
    • /
    • 2021
  • 공공도서관은 거주민들의 광범위한 지식과 이념을 학습하는 공간이며, 삶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만큼 관련된 연구들이 다양하게 수행되어 왔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인구, 교통, 접근성, 환경 등의 변수가 도서관 이용에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대출 이력(1,820,407건)과 회원정보(297,222명) 자료를 기반으로 문화적 특성의 변수를 반영하여 도서 대출수요와 관련성을 분석한 점이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라 할 수 있다. 분석결과 기술과학 도서 대비 사회과학, 문학 도서 대출이 증가할수록 도서 대출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도서관 충성고객들이 도서 대출수요의 주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 다양한 기술통계분석을 활용하여 도서관 도서대출 수요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문화적 특성이 장소, 시점 등에 따라 변화됨을 감안하면 앞으로 관련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공도서관 운영위원회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ng Status of the Public Library Steering Committee)

  • 심효정;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77-101
    • /
    • 2022
  • 본 연구는 「도서관법」 제 30조 제2항과 제3항에 따라 운영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운영위원회 현황을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향후 운영위원회 활성화를 위한 추진방향 및 정책방향을 모색했다. 분석 결과, 운영횟수는 1년에 1~2번, 운영위원회 회의 결정사항을 상부에 보고하기는 하나 규정 등에 회의록 보고 및 공개를 의무화하지 않고 있으며,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담당 인원 부족 등으로 인해 형식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 활성화를 위한 주요 요소는 위원구성, 위원회의 책임과 권한, 전담직원 배치 등으로 조사되었다. 표준조례(안) 제정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나 자율성 저해에 대한 우려도 함께 언급되고 있어 자율성을 충분히 보장한 표준 조례(안) 제정이 필요하다. 운영위원회 활성화를 위해 정기적 회의 개최, 회의 결정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제도나 규정 보완, 분과위원회 설치, 전담직원 배치 등도 고려해 다각적인 활용과 운영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구립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 마포 구립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 (Citizens' Needs and Perceptions of their Municipal Public Library Services)

  • 김선애;권나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9-52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적 환경변화를 고려하면서 다양한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공도서관 서비스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서울시 마포구의 공공도서관 서비스체계를 점검하고,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마포구의 공공도서관 이용자 800명과 비이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독서경험, 도서관 이용 경험, 도서관에 대한 인식, 도서관서비스, 프로그램 및 도서관정책 등에 관한 지역주민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마포구민의 53.7%는 전체 공공도서관 중 2개관 이하를 이용해봤고, 주이용도서관을 선택하는 기준은 접근성이 63.9%였다. 그리고 전체 이용자의 53.8%만이 프로그램 참여경험이 있었다. 또한, 주민들은 도서관은 지역사회에 필요하며, 아이들을 위한 필수기관이라는데 강한 동의를 나타냈다. 도서관정책에 관한 요구사항은 장서의 양적 확대 및 콘텐츠의 다양화에 대한 요구가 가장 컸고, 도서관시설 등 환경개선 및 도서관 확충에 대한 요구도 많았다.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 공동체의 중심공간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접근이 편리한 생활권 중심에 설립되는 것이 중요하고, 장서의 확대, 주제 및 매체의 다양성 확충과 더불어 노후화된 도서관시설을 개선하여 쾌적하고 혁신적인 공간으로 개선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문헌정보학 분야 핵심 학술지들의 가중 주제-방법 네트워크 분석 (Weighted Subject - Method Network Analysi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ies)

  • 이기헌;정효정;송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457-488
    • /
    • 2015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 간 국외 유수 문헌정보학 학술지들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을 구분하여 현 선도 학술지의 연구 누적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을 구분하고 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가중 주제-방법 네트워크를 개발하였다. 이는 주제와 방법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며, 해당 토픽 소속 단어의 동시 출현 빈도를 기초로 주제와 방법에 가중치를 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5년간 경영정보시스템, 정보요구분석, 계량서지연구, 정보정책 등이 상위 연구 주제들이었다. 또한, 모델링, 개념/문헌연구, 연구협업분석, 웹데이터 분석 등이 상위 연구 방법들이었으며, 최근 텍스트 마이닝의 비상이 괄목할 만하다. 빈번히 짝을 이루는 연구 주제들과 연구 방법들의 지난 25년간의 군집들과 최근 5년간의 군집들을 살펴보면, 계량서지연구가 네트워크분석 방법들을 다수 적용하면서 그 저변을 넓히며 자리를 확고하게 하고 있으며, 텍스트 마이닝이 의료정보시스템, 이용자인터페이스에 특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헌정보학의 선도 연구자들의 관심 연구 영역과 관점을 확인시켜주고, 향후 문헌정보학 발전을 위한 연구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서울시 공공도서관 운영 분석을 통한 서비스 성과관리 설계의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Outcome Manag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Library Operations and Services in Seoul)

  • 김신영;권나현;김선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85-409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지역 공공도서관의 운영 분석을 통하여 서비스 성과관리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제2차 서울시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8~2022)」과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에 따른 서울시의 시행계획을 연계하여 분석하고, 서울시민의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종합하여 정책개발 쟁점을 도출하였다. 이어 서울시 25개 자치구 173개 공공도서관의 투입지표와 자료서비스, 프로그램 이용실적, 웹이용, 상호대차 등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치구별 도서관 서비스의 성과를 가시화 할 수 있는 성과관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 성과관리를 위하여 전략목표와 핵심과제의 선정에 내실화, 성과관리의 범주 설정, 이용자 중심의 성과지표 개발, 정성지표 한계점 개선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물리적인 투입지표의 부실로 인하여 산출지표로 표현되는 서비스의 질적 저하가 우려되는 개연성이 있기 때문에 투입을 강화하는 한편, 이들 지표 간의 관련성이나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성과관리체계의 구축을 통하여 서비스 격차의 해소를 독려할 필요성이 있다.

The strategies for scientific literacy in Indonesia

  • Putera, Prakoso Bhairawa;Ningrum, Sinta;Suryanto, Suryanto;Widianingsih, Ida;Rianto, Ya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1권2호
    • /
    • pp.258-276
    • /
    • 2022
  • The historical aspects, policies, institutions, awards and measurement results of scientific literacy and scientific culture development in Indonesia have currently attracted further exploration. This paper utilizes secondary data research, further analyzed by employing the Supplementary Analysis techniqu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radition of writing and publishing scientific journals in Indonesia has existed ever since the Dutch East Indies with the journal's publication entitled 'Natuurkundig tijdschrift voor Nederlandsch Indië' in 1850. To date, Indonesia has owned 5,990 nationally accredited journals. Policy support has been provided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despite limitations in cultivating literacy and reading habit. From the institutional perspective, Indonesia provides a wide array of public support, including the eff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for advocating the national literacy movement and the availability of a reference database and scientific access established by the National Library; the Indonesian Institute of Sciences, and the Ministry of Research and Technology. Similarly, in the award-related perspective, the Indonesia government has granted awards to individuals or groups and local governments engaging in the cultivation of scientific literacy and scientific culture. However, among the global measurements for literacy development in Indonesia (in 2020) recorded that three indicators scored less than those in 2019.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지적구조 분석 (Examin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al Science in Korea with Text Mining)

  • 이재윤;문주영;김희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45-37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의 주요 기법인 문헌 클러스터링과 문헌 유사도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기록관리학 연구의 지적구조를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 발간된 국내 문헌정보학 영역의 대표적인 저널 5종에서 선정된 기록관리학 관련 논문 145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군집단위 지적구조 분석 결과, 국내에서 수행된 기록관리학 영역의 핵심적인 주제 영역은 <전자기록관리 디지털보존>, <기록관리정책 제도>, <기록물 기술/목록>, <기록관리학 영역/교육>이었으며, 문헌단위 지적구조 분석을 통하여서는 <디지털 아카이빙> 주제 영역이 중심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기별 분석을 통해서는 <기록정보서비스> 영역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음이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