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Personnel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 행정기록물 관리현황과 개선방안 - 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nagem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Administrative Documents of University: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서주은;이성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1-19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관을 운영 중인 대학의 단과대학 및 학과 수준의 실질적인 기록관리 현황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단과대학 및 학과의 체계적인 기록물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K 대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학과에서부터 단과대학까지 업무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행정기록물들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생산, 관리되고 있는지를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및 면담 조사와 대학기록관의 기록관리 현황 조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부 중심의 기록물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기록관리 업무에 대한 처리과 직원의 인식이 부족하였다. 셋째, 대학기록관이 공공기록물 관리에 수반되는 기록업무를 포함하여 대학사 기록관리 업무 및 아카이브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기록연구사 한명이 감당하기에는 업무가 과중하였으며, 이는 대학기록관의 운영상의 한계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업무분장에 기록관리를 명시하여 부수적인 업무가 아님을 처리과 직원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으며, 처리과 직원도 기록물관리 업무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업무담당자의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단과대학 기록물과 학과 기록물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고, 업무담당자의 의견을 통해 대학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개발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K 대학기록관은 공공기록물 관리에 수반되는 업무 이외에 대학사 기록물관리에 수반되는 업무, 아카이브 기능까지 하고 있어 현재의 인력으로는 분명 한계가 있으므로,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학사 기록물, 공공기록물을 관리하는 기록연구사가 각각 배치될 필요가 있으며 전자기록물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전산센터와의 협업이 아닌 전산요원이 기록관에 배치되어야 한다.

Cyberspace에서 Web 3D를 이용한 3차원 공사 구조물 모델링의 활용성 제언 (A Study on the Modeling of Three-Dimensional Work Structure Using Web 3D in Cyberspace)

  • 이희철;이태식;김영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531-534
    • /
    • 2002
  • 건설 프로젝트는 갈수록 대형화${\cdot}$복잡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형 건설업체들은 시간적${\cdot}$지리적으로 상이한 환경의 많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Collaboration System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웹 기반 정보시스템들을 구축${\cdot}$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시스템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2차원 평면 위주의 도면 및 Picture들을 활용하여 공사 진행 정도 및 현황을 체크하고 확인하는데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해외-본사 간 지리적${\cdot}$문화적 차이가 존재하는 상이한 환경에서 설계 변경 등과 같은 문제 발생 시 원활한 문제 해결 저해 및 시간적 지연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부적으로 Web 3D 및 3D 라이브러리들을 소개하고, 결과적으로 Web 3D을 이용한 3차원 공사 구조물 모델링 활용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Impact Factors on the Number of Users of Public Libraries)

  • 최희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9-146
    • /
    • 2009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수에 어떠한 요인들이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 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공립 공공도서관 55개를 대상으로 각 도서관의 연간 이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5가지 측면, 즉 인적측면, 장서측면, 예산측면, 행사측면, 기타측면 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의 좌석 수가 도서관 이용자 수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고, 이어 건물연면적과 사서 수 역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회귀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오직 좌석 수만이 도서관의 이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공공도서관에서의 이용자 수 확보를 위한 방안을 수립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뮤지엄 만화규장각>, 멀티만화문화공간 운영전략의 모색 (The Basic Principles of the Management Strategy for "Museum Manhwa Gyujanggak" As a Multi-Cultural Space of Manhwa)

  • 한상정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7호
    • /
    • pp.175-186
    • /
    • 2009
  •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은 2009년 새롭게 개관하면서 한국만화산업진흥과 한국만화문화진흥의 두 축을 <비즈니스센터>와 <뮤지엄 만화규장각>이라는 사업영역의 두 축으로 구분하는 동시에 두 건물로 분리했다. 사업의 성격상 당분간은 비즈니스센터에서 사업운영수익을 올리기는 쉽지 않으므로, 뮤지엄 만화규장각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하다. 전시, 도서열람 및 연구, 다양한 문화행위를 포괄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멀티만화문화공간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 이 공간의 운영계획을 세우는 것은 진흥원 전체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일이다. 본 논문에서 비록 세부적인 부분들까지 모두 언급할 수는 없다손 치더라도, 가장 주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는 설립취지와 목적에 따른 조직과 인력구성에 대한 문제를 먼저 제기하고 차례로 운영수익의 문제-사업운영수익 및 재원확보-에 대해 접근하려고 한다.

  • PDF

전담간호사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통합적 연구 (A integrated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physician assistant)

  • 문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159-165
    • /
    • 2020
  • 본 연구는 PA(전담간호사)의 업무 실태를 파악하여 PA제도에 대한 정책 수립의 방향 및 근거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체계적 문헌 고찰적 방법론을 통해 'PA(전담간호사, 의사보조인력)' 검색어로 KISS, 국회도서관, NDSL, RISS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국내에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국내 주요 일간지 11개와 의료계 전문지인 청년의사신문 등 총 12개 신문에 보도된 전담간호사 관련 주요 사건 관련 기사 15편 등 총 23편을 분석하는 연구 방법론적 융복합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8편의 논문 분석 결과, PA의 업무와 관련된 소진, 직무스트레스 및 불명확한 업무범위 및 규정 부재는 직무 만족도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15편의 보도기사를 통해 관련 기관들의 긍정적, 부정적 의견 대립 속에 전문의료인으로서의 자격과 업무에 대한 법제화 및 교육제도 확립이 시급함을 파악하였다. 향후 PA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 실정에 적합한 제도적 장치를 확보하고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병원근무자 유니폼에 의한 병원 내 감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The Association of Health Care Workers' Uniforms and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 Systematic Review)

  • 정은영;김진현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65-76
    • /
    • 2013
  • Purpose: To identify an associations between health care workers' uniforms and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 Methods: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Ovid-Medline, the Cochrane Library, CINAHL, EMBASE, KMbase, and KoreaMed, were searched. The search terms included doctor, nurse, health care worker/staff/assistant, clothing, (white) gown, uniform, (neck)tie, and attire. Only papers published in English and Korean were included. Results: 16 studies were selected from 1,900 references screened. All of the studies were non-comparative studies except for one. Four were conducted with doctors, six with nurses, one with health care workers including physiotherapists and one for medical staff plus visitor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Doctors more frequently changed their uniforms than neckties; therefor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was more serious in neckties. The cuff zone was more likely to be heavily contaminated than other areas of long-sleeve gowns. Coats become contaminated quickly once worn, and colony counts reached a similar level within the first few hours after wearing them. Wearing a plastic apron or protective clothing did not prevent the bacterial contamination of nurses' uniforms, and the best way to decrease the contamination was changing to newly laundered uniforms before starting every duty. Conclusion: Healthcare workers' uniforms are a potential source of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 although there was no robust evidence. The government must establish standards for laundering of uniforms or a requirement for institutions to provide a laundering service for healthcare workers' uniforms.

  • PDF

향기치유기반 융·복합 사회서비스 전문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사례 연구 -광주광역시 중심으로- (Aromatherapy Healing-based Fusion, Complex Social Service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Case Study - Gwangju is the center of the city -)

  • 정숙희;박희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03-112
    • /
    • 2022
  • 노년층의 삶의 질 개선과 높은 수준의 간병·요양서비스 및 니즈를 충족시킬 대안으로 향기치유기반 융·복합 사회 서비스 전문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적용하여 개선안을 마련하는 기초 사례가 되고자 한다. 광주광역시 거주자 중 교육생 30명을 대상으로 2021년 6월 14일부터 16일간 교육 전 선호도 조사 및 만족도 조사를 2021년 9월 23일부터 7일간 설문지조사를 진행한 결과 교육 선호도 에서는 향기요법 교육이 42.11%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후 향기요법과 정의 필요성은 50%, 만족도는 48%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 친화 산업활성화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시니어 간병·요양서비스의 집적화 및 고부가가치 융·복합 사회서비스 관련 우수인력 확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공공부문 데이터 관리직무의 전문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문헌정보학 관점에서 - (An Exploratory Study of Professionalism on Data Management Jobs in the Public Sector: From the Perspectiv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박희진;김지성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91-514
    • /
    • 2022
  • 신공공관리론 기반의 정부개혁 패러다임에 따라 공공부문이 전문화되어 행정의 역할이 확대되고 그 기능이 세분화하면서 고도의 전문성과 자격을 요구하는 직무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공공행정업무를 통해 생산되는 데이터도 큰 폭으로 증가하여 공공부문 데이터 관리 분야가 확장되고 그 중요성 또한 커지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 관리직무에 대한 개념화 및 체계적 연구가 매우 부족한 현실이며 관련 법령에서도 직무의 구체적 정의나 담당 인력에 대한 구체적 자격 요건을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전문화와 이에 따라 요구되는 직무의 전문성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전문성의 개념적 차원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부문 데이터 관리 직무의 유형과 자격 요건을 분석하였다. 공직 전문화에 토대를 둔 전문성의 하위 차원 중 전문직 기반 인사관리와 통제에 초점을 두고 관련 법령 및 업무 지침, 채용 공고에 나타난 직무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첫째, 공공부문 데이터 관리직무에 대한 책임자 및 실무담당자의 직무 역할 및 책임의 한계 구분이 모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 지침 및 실무 매뉴얼에 데이터 생애주기의 각 단계별 직무 내용이 균등하게 반영되지 않고 사후 품질관리단계에만 중점을 두고 있었다. 셋째, 공공부문 데이터 관리직무 및 담당 인력에 대한 자격 요건의 구체적 정의가 확립되지 않았다. 따라서 법령 및 지침에 직무와 담당자의 역할 및 책임 수준과 데이터 생애주기의 단계별 내용을 구체적으로 반영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직무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직무분석 및 평가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의학 관련 무작위배정비교임상연구의 비뚤림 위험 평가 (The Assessment of Risk of Bias on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of Oriental Medicine in Korea)

  • 이윤재;장보형;고호연;현민경;박선영;이창훈;김진성;조기호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05-113
    • /
    • 2011
  • Objective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research in oriental medicine, and to assess 'risk of bias'(ROB)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RCTs) in oriental medicine in Korea. Methods: Special committee for EBM, KOMS(Korean Oriental Medicine Society) reviewed 17 journals related to oriental medicine in Korea (from the first issue to May 2010), th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The Cochrane Library Issue 2, 2010), and PubMed (1966 to May 2010). Then we selected eligible RCTs in terms of oriental medicine, and assessed 'risk of bias'. Results: We reviewed 12,653 articles from the 17 journals, and 41 articles from CENTRAL and PubMed. After non-clinical articles were excluded, 1,004 articles were left. Among them, the number of eligible studies in terms of oriental medicine was 306. In these eligible studies, 130 were RCTs. Of RCTs, 69 were on acupuncture, 25 on herbal medicine. The proportion of 'unclear' is high in the criteria of 'Allocation concealment', 'Blinding of participants and personnel', 'Blinding of outcome assessment' and 'Other bias'. On the other hand, 'low' has high in the criteria of 'Incomplete outcome data' and 'Selective reporting'. Conclusions: Risk of bias on oriental medicine is unclear in terms of 'allocation concealment' and 'blinding'. For high-quality research in oriental medicine, further research should be needed on randomization and blinding in the RCTs.

'연구 업무 전담제'를 통해 살펴보는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기획의 새로운 패러다임 (New Paradigm in exhibition organiza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 최은주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3호
    • /
    • pp.67-84
    • /
    • 2005
  • Since the evaluation of its intellectual activities and abilities is done by curator's capabilities, planning exhibition is very important as the final result achieved by their own knowledge, information, and research. ARPA(Advanced Research Project on Arts) is suggested as the system which enables curators responding simultaneously to the society in the times, based on its special characteristics. If this system settles well, which means that the curators at NMCA(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play their roles as the professionals in each of their fields, the goal of consolidating the status of museum as the representative national museum, and building up competent department of curators, will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To clarify above, the curators set up the various assignments of research about the types of arts such as painting, Korean painting, sculpture, installation, new-media, design, craft, photogarphy, architecture, etc. And they establish the art objects classified by the regions, such as the Northern American, Southern American, European, Asian, and other Third World countries. They elaborate art objects more on the history, the work, the artist, and the issue of contemporary art. Furthermore, when the curators devote deeper study to those research subjects, they can have the opportunities to design an exhibition upon the research. Today, the museum of art is 'The Place for Communication and Encounter', it is regarded important to share the aesthetical, creative values with current artists, and to understand mutually with the spectators. It is needed to improve the curator's work,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even to advance. Because the form of 'exhibition' is the tool that reveals the identity NMCA aiming at, the motivation, the development, and the realization should be leaded by the curators, who are the mainstream of the museum. ARPA is a system for identifying the exhibition like mentioned above. The main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produce synergy effect, having the researching, collecting work in liaison with planning exhibition. ARPA will be 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exhibition through the way of developing the exhibition, passing through the stable process in the long run. So far, I have referred to a new paradigm of the exhibition design at NMCA via ARPA. Yet, there still remain missions in reality, such as analyzing the previous exhibition and reshuffling personnel and system, which should be done. When these matters settled, these plans would be suggested practically. At this point, it is the most significant that NMCA is attempting to let others aware of the importance of exhibition planning based on research. when the ARPA and exhibition planning is conjoined together successfully, the competent exhibition will be achieved, which can offer a meaningful exhibition to the art world, strengthen infra structure thru exchanging with public museum in the region, and eventually, establish a network with museum in foreign countr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