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OPAC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2초

온라인 열람목록의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rching Behavior of OPAC Users)

  • 사공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65-208
    • /
    • 1997
  • 온라인 열람목록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특성이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용자에게 보다 친근한 인터페이스를 평가하여 시스템 설계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뚜렷한 특성상의 차이를 보이는 두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여 $2\times2$ 교차계획법으로 이용행태연구를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65명의 탐색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2\times2$ 교차계획법에서의 이월효과와 시스템효과, $\chi^2$검증, t 검증 매크네마 검증, 최대우도법을 통한 주변대칭성 검증, 인자분석, 회귀분석, 분산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검증해야 할 가설과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적절히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정보봉사의 증진을 위한 사서들의 네트워크 이용연구 (How librarians really use the network for advanced service)

  • 한복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1-27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o investigate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s in Korea as a new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discuss general directions of development of the use of the Internet. This study is designed to achieve the purpose by gathering and analysing data related to the use of Internet of librarians those who work in public librarie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libraries and university libraries. The major conclusions made in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From this survey, received detailed response from 69 librarians, the majority (42) from research and development libraries. The majority (56) were from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ubject area, half of them (37) hold advanced degrees. (2) Majority (40) have accessed Internet for one year or less, 9(17%) respondents for two years, 17(32%) spend every day Internet related activity. (3) 44.9% of the respondents taught themselves. 28.9% learned informally from a colleague. Formal training from a single one-hour class to more structured learning was available to 30.4%. (4) The most common reason respondents use the Internet are to access remote database searching(73.9%), to communicate with colleagues and friends and electronic mail(52.2%), to transfer files and data exchange(36.2%), to know the current research front(23.2%). They search OPACs for a variety of traditional task-related reasons(59.4%) and to see what other libraries are doing with their automated systems(31.9%). (5) Respondents for the most part use the functions : WWW (68. 1%), E-Mail(59.4%), FTP(52.2%), Gopher(34.8%), Wais(7.2%). (6) Respondents mentioned the following advantages : access to remote log-in database, an excellent and swift communications vehicle, reduced telecommunication cost, saving time. (7) Respondents mentioned the following disadvantages : low speed of communication, difficult of access to the relevant information and library materials, and shortage of database be distributed within Korea.

  • PDF

검색포털과 대학도서관 소장목록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ethod for Linking Portal Sites and OPAC of University Libraries)

  • 조재인;이지원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2호
    • /
    • pp.75-92
    • /
    • 2006
  • 인터넷 항해의 관문으로 검색포털의 의존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학술연구정보 시장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공공지식정보의 대국민 접점으로 민간검색포털을 이용하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많은 지식정보 생산 유통기관이 검색포털과 개방적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도서관 서비스의 검색포털 연계 서비스도 긍정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으며, 특히 아직까지 대학의 사적 시설로 인식되고 있는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연계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사회와 연계된 공공시설로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관점에서 검색포털과 대학도서관 소장목록의 연계방안을 모색한다. 이미 활성화되어 있는 해외 사례와 국내 검색포털 서비스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상황에 적합한 검색포털과 대학 도서관 소장목록의 연계방안을 마련한다.

Web OPAC 이용패턴과 MBTI 성격유형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Web OPAC Use Patterns and MBTI Personality Types)

  • 김희섭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29-250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Web OPAC시스템 이용자들의 성격유형과 그들의 탐색행위 및 인터페이스 선호도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데이터 수집은 이용자들의 성격유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MBTI를 사용하였고, 이들의 Web OPAC시스템 탐색행위와 인터페이스 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총28개 요소들로 이루어진 자체개발한 온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실험에는 K대학교 재학생 48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고, 이들의 성격유형은 MBTI 4가지 선호지표인 외향성-내향성, 감각형-직관형, 사고형-감정형, 그리고 판단형-인식형으로 코딩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Windows Ver. 1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상관 관계 분석을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r)를 사용하였다. 데이터분석 결과 이용자들의 MBTI 선호지표와 9개 Web OPAC 탐색행위 및 인터페이스 선호도 요소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디지털 키즈'를 위한 OPAC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OPAC Prototype for Digital Kids)

  • 노지현;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75-198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특히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로 간주되는 디지털 키즈(digital kids)에게 적합한 OPAC 프로토타입(prototype)을 실험적으로 구현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본격적인 시스템의 개발에 앞서 시스템의 모형을 간단히 만들어 보는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프로토타입의 개발 대상은 초등학교 4~5학년생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요구분석에 근거하여 논리적 모델을 설계하고, (2) 논리적 모델에 따라 OPAC 프로토타입을 개발한 다음, (3)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어, (4) 사용성 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향후 디지털 키즈를 위한 OPAC의 개발 전략에 대해 제언하였다.

주요 국가의 국가도서관 목록에 나타난 한국관련 주제명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ubject Headings Related to Korea in the National Library OPACs of Major Countries)

  • 김정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1-162
    • /
    • 2011
  • 이 연구는 주요 국가의 국가도서관 목록에 나타나고 있는 한국관련 자료의 실태분석을 위해 한국관련 주제명의 주제별 특성과 레코드의 소장상황, 그리고 한국입장에서 쟁점이 되고 있거나 관심이 높은 일부 주제명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미국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국가도서관에 저장되어 있는 한국관련 레코드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일본관련 레코드와 비교할 때 대략 2~3배 이상 적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한국관련 레코드의 세부항목별 주제 분포에서 대체로 '역사'와 '경제'가 가장 많게 나타나고 있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 '한국전쟁'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한국에 대한 외국인의 인식이 왜곡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셋째, 한국관련 레코드가운데 대부분이 북한에 비해 남한관련 레코드가 1.5~5배 이상 많게 나타나고 있지만 폴란드, 이탈리아, 멕시코는 오히려 북한이 많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한국관련 주제명 가운데 '태권도', '김치', '독도', '동해' 등의 용어는 국가마다 미묘한 차이점이 드러나고 있지만, 우리의 주변 국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미국의회도서관의 주제명표기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다섯째, 특히 우리의 인접국인 중국과 일본의 경우, 자국의 정치적, 역사적 입장을 철저하게 반영하여 나타냄으로써 일부 주제명의 표기에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