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Management Technique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6초

공공도서관 경영형태 변용성 연구 (A Study on the Transfiguration of Management Forms in Public Libraries)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28
    • /
    • 2007
  • 이 연구는 도서관 경영패러다임 및 기법 변화의 후속연구이다. 1980년대부터 주요 선진국은 사회변동에 따른 경영 및 행정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하여 신공공경영이론을 행정개혁과 경영혁신의 사상적 원천 및 전략적 수법으로 채택하였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구체적인 실천수단이 도서관의 경영개혁과 관리운영에 어떻게 적용되어 경영형태를 변용시키는 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아웃소싱, 위탁경영 및 지정관리자제도, 민간자금 활용사업을 집중적으로 논급하고 제언하였다.

도서관 경영패러다임과 기법의 변화 (Change of Paradigm and Techniques in Library Management)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23
    • /
    • 2007
  • 도서관은 지식기반의 경제시대에도 지식정보의 유통과 확장을 선도해야 한다. 그것은 최적의 도서관경영이 중요하고 전제조건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함축하므로, 수직적 및 수평적 스펙트럼을 통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경영 및 행정패러다임의 부상에 따른 신공공경영론의 등장과 선진국의 행정개혁에 주목하여 도서관 경영환경의 복잡화, 경영패러다임의 다양화, 경영기법의 다원화를 분석하고 최근 동향을 논급하였다.

  • PDF

6시그마 기법을 활용한 도서관 정보서비스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해외 학술 및 전략 정보 구입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ethod to Renovate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6 Sigma Technique)

  • 김용;김은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29
    • /
    • 2007
  • 도서관과 정보센터를 둘러싼 환경적인 변화와 함께, 다양한 관리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도서관 업무와 서비스에 적용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하에서 새로운 경영 및 품질개선 기법으로서 6시그마를 도서관에 적용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는 6시그마 기법을 도서관에서 해외 학술정보를 입수하는 과정에 실제 적용하여 나타나는 문제점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조업 분야에서 주로 적용되었던 6시그마 기법의 하나인 DMAIC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적으로 6시그마 기법을 본 연구에서 목표하는 분야에 있어서 높은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디지털 도서관을 위한 분산색인 기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istributed Indexing Technique for Digital Library)

  • 유춘식;이종득;김용성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315-325
    • /
    • 1999
  • Indexing techniques for distributed resources have much effect on an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distributed environment like digital library. There is a centralized indexing technique, a distributed technique, and a mixed technique for distributed indexing techniques.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distributed indexing technique using EIF(extended Inverted File) structure that mix the centralized technique and t도 distributed technique. And we propose management techniques using EIF structure and retrieval technique using EIF structure. This distributed indexing technique proposed is able to fast process retrieval request and reduce network overload and select servers relevant to query terms. This paper investigated performance of a proposed distributed indexing technique.

  • PDF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을 통한 학교도서관 서비스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chool Library Services Using the Repertory Grid Technique)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49-270
    • /
    • 2023
  • 본 연구는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을 적용하여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인적자원(사서교사, 교과교사, 사서)간의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내적 경험의 차이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요소 강도, 구성개념 극단, 불일치 구성개념, 암묵적 딜레마 등의 지표를 활용하였다. 렙그리드의 요소를 9개로 설정하고, 현장 사서교사 3명과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전개하여 14개의 구성개념을 설정하였다. 교육대학원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웹상에서 접근이 가능한 GRIDCOR 6.0을 통해 레퍼토리 그리드를 완성하도록 하고, 그 중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최종 6개를 선정, 분석하였다. 요소 강도의 관점에서 보면, 학교도서관 서비스 중에서 자료관리, 도서관협력수업, 독서·정보 상담 서비스가 중요하고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개념 강도의 관점에서 볼 때, 자기 역할이 분명한 정도, 실제 수행 정도,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필터링 기법을 이용한 도서 추천 시스템 구축 (Developing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Using Filtering Techniques)

  • 정영미;이용구
    • 정보관리연구
    • /
    • 제33권1호
    • /
    • pp.1-17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협업 필터링 기법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추천 기법을 살펴본 후 대출대상 도서의 추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연관성 규칙 기반 기법, 협업 필터링 기법, 내용기반 필터링 기법을 응용하여 실제 대학도서관에서 특정 이용자가 대출할 만한 도서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각 기법의 추천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대출대상 도서를 추천하는 데 있어 협업 필터링 기법과 내용기반 필터링 기법을 각각 따로 적용하는 것보다 두 기법을 함께 이용한 혼합형 필터링 추천 기법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ublic Library Service Scape on Customer Loyalty)

  • 김영희;조동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9-36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library service-scape, flow, us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for adults who use public libraries for academic purposes in a changing public library environment.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s of public library service-scape, immersion, us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with existing literature, propos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is, and empirically verified them.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data for adults using public libraries for the purpose of reading books or studying. The collected data were check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resul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atiality, aesthetics, and amenity of service-scapes have a positive effect on flow. Second, spatiality and amenity of service-scapes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Third, Flow has a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Fourth, Flow and user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strategic direction to enhance the service competitiveness of public libraries by strengthening the service-scape.

마을기록물 관리를 위한 KORMARC-통합서지용 형식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KORMARC-Integrated Format for Bibliographic Data for Management of Community Archive)

  • 김보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85-310
    • /
    • 2019
  • 최근 지역사회 공공도서관을 통해 수집되는 마을기록물은 정리하고 보존하여 주민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는 것 보다 도서관 자료의 범주에 포함 시켜 도서관자료관리시스템을 통해 통합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ISAD(G)과 DC등 마을기록물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표준의 기술요소를 비교분석하여 공통되거나 유사한 기술요소는 통합하여 25개의 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25개 기술요소는 델파이 기법을 통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3차례에 걸쳐 실증적인 검증을 거쳐 최종 3개 기술영역과 21개 기술요소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기술요소는 KORMARC-통합서지용의 데이터필드와 매핑을 통해 필수, 권장, 선택으로 구분하고 도서관자료관리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문도서관의 마케팅전략 (On the marketing strategies of special libraries)

  • 최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147-182
    • /
    • 1995
  • Marketing technique is used as effective management tool in library. The small size of the user group in special libraries provides good condition for marketing. Special libraries can accomplish the goals and objectives with using marketing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ey concepts and activity procedures of marketing, and marketing mix 4'P, and to suggest the information services which can be used in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of special libraries.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key concepts and activity procedure of marketing for libraries consist of market segmentation, positioning, consumer analysis, marketing program and marketing audit. 2. The marketing mix 4P's that can be used in special libraries are examined. 3. The information services which can be used in marketing strategies are suggested.

  • PDF

기업의 문화마케팅이 브랜드 이미지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네이버라이브러리, 별마당도서관, 현대카드라이브러리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on Brand Image and Loyalty - Focused on Naver Library, Starfield Library and Hyundai Card Library -)

  • 정은아;최승리;최정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015-102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ttempts to find how th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utilizing cultural space affect firm'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and whether this culture marketing technique is recognized as a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by potential customers and thereby influence brand image and loyalty.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using the Naver Library, Starfield Library, and Hyundai Card Librar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is tested using 178 valid questionnaires using Smart PLS 2.0. Results: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among cultural marketing factors, cultural support and cultural promotion have little impact on brand image, whereas culture firm influence brand image. Brand image also had an impact on brand loyalty, but it was found that public libraries operated by companies were not recognized as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nor did they have an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company's brand image. Conclusions: The study offered a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marketing and brand image and loyalty and confirmed the coordinating effect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between a cultural firm and its brand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