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Management

검색결과 2,769건 처리시간 0.024초

이용자 참여 로그 기반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현황 분석: 국립세종도서관 사례를 통해 (An Analysis of Library Culture Program Management based on Users' Participation Logs: A Case Stud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최두원;강주연;양동민;이현주;오효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93-320
    • /
    • 2018
  • 본 연구는 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사항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국립세종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이용자 참여 로그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운영과 이에 대한 이용자의 실질적인 참여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용자 참여 로그의 누적기간은 2015년 3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이며, 해당 로그에서 프로그램 정보 722건, 프로그램 참여 정보 24,816건, 이용자 정보 6,729건을 추출 분석하였다. 세부 분석은 프로그램 분석, 이용자 분석, 시계열 분석 등 다각도로 진행되었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립세종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문화프로그램을 분석했던 기존 연구와는 달리 실제 이용자 참여 로그를 활용하여 이용자 측면에서 문화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 모델 (A Logical Model of Library System towards Knowledge Service)

  • 이현실;배창섭;이은주;한성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67
    • /
    • 2009
  •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기술의 보편화로 도서관 생태 환경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도서관 등 정보 매체 중심의 변화뿐만 아니라, Library 2.0 또는 소셜 시맨틱 디지털 라이브러리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지향 관점으로의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시스템의 진화에 초점을 두고, 지식 서비스 실현을 위한 제반 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논리 모델은 다양한 지식 정보자원, 참여와 협력의 능동적 이용자, 도서관 업무 혁신,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조화하여 도서관의 근본적 임무를 수행하는데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측정과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Library Anxiety among Academic Library Users)

  • 장혜란;오의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5-221
    • /
    • 2006
  •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을 측정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A대학교 도서관이용자를 체계적으로 표집하여 설문조사(LAS)를 수행하였다. 707명의 도서관이용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의 기초통계를 분석하여 불안의 정도를 파악하고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성별, 학년, 전공계열, 도서관방문빈도, 도서관이용교육과 도서관불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도서관불안을 나타내는 LAS 점수는 2.55점이고, 성별, 학년별, 전공계열별로 차이가 있다. 도서관이용교육은 도서관직원으로 인한 도서관불안을 감소시키며, 도서관방문빈도의 증가에 따라 도서관불안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서적 장벽으로 인한 불안은 학년이 높고, 도서관방문빈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도서관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의학정보서비스를 위한 지식관리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in a Public Library)

  • 이란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3-86
    • /
    • 2001
  • 지금 전 세계에서는 인간수명의 연장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더욱이 인터넷의 발달로 의료정보 접근과 의료 상담에 관련된 사이트들이 증가하는 가운데 의학정보에 대한 오남용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다. 이제 공공도서관에서도 이용자에게 건강·의학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능동적인 지역정보봉사를 제공해야만 하는 시점에 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 지역정보봉사의 개선을 위한 한 방안으로 의자정보사이트의 구축과 관리를 지원하는 통합 지식관리시스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론적 배경으로 공공도서관의 의학 정보서비스에 관련된 이슈와 지식경영과 지식관리시스템에 관련된 이슈를 다룬다. 그 다음 국내외 12개 의학정보사이트를 분석한 후 공공도서관 의학정보사이트 구축에 대한 계획 및 구성을 제안한다. 끝으로 의학정보사이트를 지원하는 5개의 하부 시스템으로 구성된 통합 지식관리시스템의 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지식창출 시스템, 2)기술지원 시스템, 3)교육지원 시스템 4)커뮤니티 시스템, 5)지식공유 네트워크 시스템. 이 시스템은 지식경영에 기초를 둔 통합 지식관리시스템으로서 공공도서관이 보다 경쟁력을 갖고 지역정보봉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것이다.

  • PDF

학교도서관 헌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Manifesto)

  • 변우열;송기호;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73-92
    • /
    • 2014
  •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방침이나 규범을 열거한 규칙이나 법칙이다. IFLA/UNESCO, IASL,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을 비교하고 분석해 본 결과 IFLA/UNESCO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의 임무, 예산 확보와 네트워크, 목적, 직원, 운영 및 관리, 선언의 구현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예산 확보와 네트워크를 강조하고 있다. IASL 학교도서관 선언은 학교도서관의 기능, 자료, 시설, 인적자원, 정보활용능력, 정부 및 공공단체의 지원 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데, 정보활용능력 육성을 강조하고 있다.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의 이념, 기능, 직원, 자료, 시설, 운영 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데, 학교도서관의 이념을 강조하고 있다. IFLA/UNESCO, IASL,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을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학교도서관 헌장은 선진국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되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여 교육 영역을 별도의 항목으로 하고 학교도서관의 임무, 시설, 인적자원, 교육, 예산, 운영 및 관리, 헌장 구현을 위한 정부의 책임 등을 구성요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대학도서관 이용조사를 통한 경영개선 연구 - C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대출기록 분석을 중심으로- (A Management Improvement Study by the Use Survey of an Academic Library - Focused on the Analysis of Circulation Records of the C-Academic Library Users -)

  • 유경종;박일종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93-117
    • /
    • 2007
  • 본 논문은 C대학도서관의 학술정보시스템(LAS)에 구축되어 있는 장서와 대출기록 및 고객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고객관계관리(CRM)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대학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출이 가능한 단행본 총 269,387책의 서지데이타와 고객 12,281명의 데이터, 이용자 대출기록 39,269건이었다. 대출기록 분석 데이터에서 관계변수로 이용자 신분, 대출빈도, 대출책수와 대출횟수, 출판년도를 추출하여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고, 상관계수로 검증하였다.

하드웨어 설계 라이브러리 서버의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 Hardware Design Library Server)

  • 최익성;이영희;황선영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0A권12호
    • /
    • pp.125-134
    • /
    • 1993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AD object management system for the design library in VHDL design environment. For the efficient manipulation of design objects, the library is managed independently of the underlaid CAD system. Management and revision of design objects can be performed by a batch script of server commands or through the user interaction in the X/MOTIF graphic environment. Through the library server, design management tasks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such as configuration of design objects, version control, and management of attributes and methods for version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is a viable tool for the management of design data in VHDL design environment.

  • PDF

BIM 라이브러리 속성정보 통합관리 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BIM Property Information)

  • 신지혜;최중식;김인한;윤두영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30-142
    • /
    • 2016
  • BIM library, as a systematic collection of BIM objects where the building information is stored, is a vital factor to construct the BIM based work environment. However, construction business is faced the problems relating BIM library such as the absence of the standard for establishing BIM library, the discontinuity of BIM library's compatibility and the lack of practice applicable BIM library. These problems cause the decreasing work efficiency and the recreating BIM model, by delivering inefficient information required in each stage and application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property information of BIM library in order to minimize the reworking and to manage information of each stage and application field when exchanging and sharing information. To achieve this, the BIM information classification, the criteria of property requirements for information exchange in BIM application field and the BIM library management system are developed. This study could contributes to ensuring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results of BIM based analysis and to enhancing the speed of business process with sharing and exchanging building information utilizing a single BIM model.

Research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Bangladesh: An Analytical Study

  • Islam, Md. Shariful;Islam, Md. Nazmul;Mondal, Madhob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6권2호
    • /
    • pp.36-45
    • /
    • 2018
  • The utmost intention of this work is to identify various field areas which are most prevalent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The study also denotes the rate of tendency on the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of research production among information specialists in Bangladesh. In order to carry out the study,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arefully done to collect the basic elements of research patterns. It is noted that in the period of 1980-2016, 200 articles were publishe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Bangladeshi researchers in 62 journals. In this article a total of 200 articles were reviewed.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e ratio of female authors had fewer contributions than male authors did. The majority of articles were published from the United Kingdom.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largest numbers of articles (19 papers, 9.50%) were published in the Social Science Journal of the University of Rajshahi from Bangladesh. The paper also shows that about 71.50% of papers have been cited while 28.50% of papers did not receive any citation. The present research might be helpful for revealing the country's research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owever, this study may also inspire development of a subject-based indigenous database and can act as an important device for research scholars.

공공도서관의 공간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Public Library Space Management)

  • 서혜란;김선애;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1-156
    • /
    • 2008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를 통해 공간운영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해 결해야 할 문제점을 도출, 이를 바탕으로 발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이 공공도서관 신축 및 공간배치 등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전국 524개 공공도서관에 설문지가 배포되었으며, 설문에 응답한 167개관(31.87%)을 대상으로 공간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간부족, 노년층과 신체적 약자 등 지식정보 취약계층을 위한 시설과 서비스의 부족, 지역사회 문화공간으로서의 시설 부족, 접근성이 저하된 도서관의 입지조건 등이 현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공간운영상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