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Identity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8초

대학도서관 웹 스타일 가이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cademic Library Web Style Guide)

  • 이주현;이응봉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3-12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웹 스타일 가이드를 구축하고 있는 해외 5개 대학 도서관 웹사이트의 스타일 가이드를 분석한 후 국내 10개 지역거점대학 도서관의 웹사이트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공통항목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서관 웹사이트에 있어서의 사용성(usability)과 접근성(accessibility)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적용하여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전반적인 디자인 흐름에 대한 통일성과 규칙성을 발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웹사이트에 일관된 시각적 아이덴티티(identity)를 부여하기 위한 요소인 대학도서관 웹 스타일 가이드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한국 문헌정보학은 건강한가? (What is Wrong with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32
    • /
    • 2018
  • 이 글의 목적은 공식적으로 출범한지 60년이 넘은 '한국 문헌정보학'의 건강을 위협하는 구조적인 문제들을 점검하고 필수 학문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기 위한 해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글에서는 특히, 대학의 구조조정이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는 '위기의 국면'에서 문헌정보학의 기본 체질을 강화하기 위해서 학계가 역량을 집중해야 하는 주요 문제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학문의 정체성', '연구의 유용성', '교육의 실효성'의 측면에서 한국 문헌정보학에 내재하는 문제들을 구체화하면서 그러한 문제들을 만성적 질환으로 만들어온 요인을 밝혀내고 있다. 그 과정에서 논의의 초점을 한국 문헌정보학이 처해있는 고유하고 토착적인 환경을 분석하는데 두고 있으며, 문제의 해결을 위한 처방의 모색에 있어서도 한국의 실정에 적합한 실사구시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 사서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ibrarian's Identity in Digital Environment)

  • 이경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7-174
    • /
    • 2008
  • 도서관전산화와 인터넷은 사서들의 업무를 편리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아웃소싱 및 직업감축으로 이어지게 하였으며 도서관 방문자 수를 급감시켰다. 하지만 많은 도서관의 사서들은 기존 업무에 매달려 있고 변화된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역할을 찾지 못하여 그들의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다. 직업에서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하면 그 직업은 사라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논문은 디지털 환경에서 사서들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현재까지 사서들의 새로운 역할에 대해 논한 문헌들을 조사하였고, 문헌들이 제시한 것과 현직 사서들이 느끼는 것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사서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서는 현직에 20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이메일 서베이 (Survey)를 하였다 질문은 개방형 질문지로 하여 가급적이면 경험이 많은 사서들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사서들은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대민서비스에서 직업적인 보람을 느끼고 있지만 환경의 변화로 전문직으로서 서비스할 기회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보활용교육이나 독서지도 및 각종 프로그램 지도와 같은 분야에서 전문가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들이 보인다. 교육은 이용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정보교육과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매체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기주도적인 평생학습사회에서 정보와 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한 능력이다. 사서들은 정보교육과 매체교육이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이용자들이 훌륭한 지식인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일에서 사서들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대학생을 위한 독서치료의 적용과 평가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Bibliotherapy for University Students)

  • 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3-245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치료를 적용, 평가하여 독서치료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2006년 2학기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도서관학 특강' 교과목을 수강한 39명 대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는 이들 중 사례 5명의 학생들에게 보고서 형식의 '자기평가'를 내용분석한 질적 평가와 자아정체감 측정을 통한 양적 평가 모두를 실시하였다. 대학생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성과는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1) 이 프로그램은 독서치료의 원리인 동일시, 카타르시스, 통찰이 일어나 독서치료가 내면의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정립에 독서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국립세종도서관 핵심역량 및 미래 지향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연구 (A Study on Awareness Survey on Core Competence and Future Orienta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윤희윤;오선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221-239
    • /
    • 2023
  • 개관한 지 10년을 맞이하는 국립세종도서관은 정책정보 전문도서관으로서의 책무를 수행하는 동시에 세종시민을 위한 공공도서관 기능을 수행하여 왔다. 그럼에도 국립세종도서관이 계속해서 정책정보서비스와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는 견해가 적지 않다. 국립세종도서관이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핵심역량과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국립세종도서관의 현주소 및 이해집단의 선행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립세종도서관의 현주소를 진단하여 SWOT 분석한 후 정책정보서비스와 관련된 이해집단(국립세종도서관 및 유관 정책기관 직원)을 대상으로 국립세종도서관의 핵심 역할과 정체성, 정책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책정보 특화도서관으로서의 핵심역량 제고 방안과 미래 지향성을 제시하였다.

소셜 Q&A 사이트의 질문 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성 정체성(sexual identity) 고민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Sexual Identity-related Concerns through the Analysis of Questions on a Social Q&A Site)

  • 주영준;남서진;이다정;이용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01-119
    • /
    • 2020
  • 본 연구는 소셜 Q&A 사이트인 네이버 지식iN에서 성 정체성과 관련된 질문들을 분석하여 질문의 중심이 되는 주제를 추출하고 구체적인 고민들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네이버 지식iN에서 2010년부터 9년간 작성된 2,120개의 관련 질문들을 수집한 후, 자연어 처리와 정보 검색 방법을 사용하여 질문들의 주제와 고민들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주제는 인간관계, 성 정체성 의심, 성적 지향, 감정 및 관계, 성 정체성 고민 등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사용자들은 주로 1) 일반적인 성 정체성, 2) 성적 지향, 3) 성 정체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 4) 감정 고백, 커밍아웃, 동성애, 5) 미래, 이성 관계, 군대에 대한 우려, 6) 성 정체성 혼란을 겪는 이유 등과 관련된 고민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성 정체성에 대한 실제적 고민들을 수집하여 토픽 모델링 기법을 통해 정보 요구를 도출하였으며 exact match와 tf-idf 기반의 검색 방법을 비교함으로써 문헌정보학 분야의 방법론적 확장을 시사했다. 또한 특정 관심사에 대한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정보요구 및 정보탐색행태를 관찰함으로써 정보행위분야의 학문적 성숙에도 기여했다.

박물관 도서관의 미래 방향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uture Direction and Improvement Plan of Museum Library: Focusing on National Museum of Korea Library)

  • 박옥남;차성종;김신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33
    • /
    • 2018
  • 국립중앙박물관 도서관은 국가 대표 박물관 도서관으로서 박물관 자료의 수집 정리 열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물관 도서관의 제한된 예산, 인력, 낮은 인지도를 고려할 때 국립중앙박물관 도서관의 역할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전문도서관으로서 국립중앙박물관 도서관의 정체성 확립 및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립중앙박물관 도서관 현황조사, 선행연구, 국내외 사례조사, 이용자 면담 및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박물관 도서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박물관이 수행하는 주요 업무인장서, 서비스, 인력에 대한 전문성 확보를 위한 방안은 물론, 박물관 내에서의 도서관 역할을 증대하고 인지도를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추락하는 '대학의 심장', 흔들리는 '사서의 정체성' (Needed to recover : the identity of academic libraries and librarians)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505-525
    • /
    • 1998
  • This paper discusses the 'identity' issue of academic libraries and librarians in South Korea. With the rapid social changes, both academic libraries and librarians in South Korea are confronted with a crisis for survival. This paper criticizes the two main social ideology led to such a crisis : namely, the extreme forms of capitalism and technological determinism. To overcome the present crisis, this paper recommends the academic libraries to recover or reform their identity as a cultural, expecially, knowledge organization, not just as an information agency. Also recommended for academic librarians is to make their best effort to be a real professional with the required knowledge and experience.

  • PDF

대학도서관 사서의 위기와 대처 (Crisis and Response of Librarians at University Libraries)

  • 이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7-67
    • /
    • 2010
  • 오늘날 대학도서관 사서는 변화된 환경적 요인에 의해 전문직으로서의 그 직업적 정체성과 안정성을 위협받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 사서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정보환경과 교육환경에 신속하게 적응하고 이용행태 변화에 따른 정보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역할을 변화시킴으로써 그 존재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을 것이며 그동안 지켜온 사서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의 전문직으로서의 직업적 정체성을 위협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현상과 문헌을 통해 파악하고 안정된 환경에서 전문가로서의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대처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정체성과 미래의 전망 (Identity and a view to the future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

  • 구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3-113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정체성을 밝히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교과과정, 전통적인 도서관 대 가상도서관으로의 변화, 전통적인 기술 업무에서 이용자 중심 서비스로의 변화, 그리고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기술과 역할에 대해 제시하였다. 전통적으로 사서직의 가치는 인문학적이고 민주적인 것이었으며, 사람들의 지혜를 증진시키고 오락을 제공하며 그리고 교육을 담당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의 지식과 삶을 향상시키고 풍요롭게 하는 문화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사서직 기능). 그런데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보의 양이 급증하고, 다양한 정보매체와 정보형태는, 적절한 정보를 적자(이용자)에게 적시에 제공하기 위해, 정보검색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보창출을 위한 정보전달의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정보전문직 기능). 현재 우리는 전통적인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 환경을 함께 맞고 있다. 전통적인 도서관에서는 기록정보를 보전 전승하는 문화적인 기능이 강하고, 디지털 도서관은 정보전달과 정보공유의 기능이 강하다. 전통적인 도서관과 디지털 도서관이 공존할 수 밖에 없는 현재의 정보환경에서, 사서직과 정보전문직의 기능을 함께 수행해야 할 막중한 책임이 우리에게 있기 때문에 문헌정보학의 정체성 규명은 필요한 연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