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지난 5년 동안 수행된 학교도서관 활성화사업의 결과로 거의 모든 학교에 도서관이 설치된 상황에서 미흡한 분야를 점검하고 앞으로 수행할 분야를 개발하여 학교도서관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학교도서관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2009년 평가지표,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 평가지표, 선행연구인 학교도서관의 BSC 성과지표,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 평가기준을 분석하고 교육과학기술부의 2단계 학교도서관 진흥 기본 계획과 "학교도서관진흥법", 교육과학기술부의 시 도교육청 평가지표를 분석함으로써 8개 영역 54개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8개 영역 48개의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기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분석결과에 대한 검증은 1차적으로 학교도서관 관련전문가를 통해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2차 평가는 학교도서관 담당 교사를 통해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연구한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2단계 검증을 수행하였다.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제7권3호
/
pp.87-111
/
20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for evaluating the economic value of libraries. To this end, a preliminary evaluation index was derived from analyzing a total of approximately 60 domestic and foreign papers that examined the value of libraries. Based on the derived preliminary evaluation index, 11 experts were selected and the final evaluation index was developed by conducting the Delphi survey for 3 times. The final evaluation index consists of four evaluation areas, such as the economic value of the public library, economic revitalization, manpower development and job creation, and the improved investment value, seven evaluation items, and 22 evaluation indic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o measure the economic value of public libraries.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현장성이 반영된 평가지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의 대표적인 전담인력인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Analytic Hierarchy Progress(AHP)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평가지표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위 계층 평가영역의 우선순위는 인적자원, 도서관서비스, 정보자원, 도서관경영, 시설 환경 순으로 나타났고, 하위 계층 평가항목의 우선순위는 인력자원배치, 인력자원 전문성,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교육활성화 노력, 장서 구성 적설성, 장서 최신성, 예산, 시설 접근성, 장서 현황, 시설 설비 적절성, 경영계획, 이용 접근성, 홍보 및 마케팅,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협력, 자료이용현황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현장성이 가미된 학교도서관 평가지표를 적용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제9권2호
/
pp.65-89
/
2019
This study has the aim of developing an evaluation index that can help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resources of institutions retaining humanities assets for the purposes of laying out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one-stop portal service for humanities assets. To this end, the evaluation index wa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cas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experts, the derived evaluation index was then applied to the humanities assets retaining institutions to verify the utility. The institutional information resources' reliability evaluation index consisted of the two dimensions of the institutions' own reliability evaluation index. The institution provided a service and system evaluation index. The institutions' own reliability evaluation index consisted of 25 points for institutional authority, 25 points for data collection and construction, 30 points for data provision, and 20 points for appropriateness of data, for a total of 100 points, respectively. The institution provided service and system evaluation indexes consisting of 25 points for information quality, 15 points for appropriateness (decency), 15 points for accessibility, 20 points for tangibility, 15 points for form, and 10 points for cooperation, for the total of 100 points, respectively. The derived evaluation index was used to evaluate the utility of 6 institutions representing humanities assets through application. Consequently,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resources retained by th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RISS) of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기존에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평가지표는 비효율적 배점 구성과 실제 작은도서관 환경과 괴리된 평가항목 및 세부지표 그리고 작은도서관 정책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가치 미비 등의 측면에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피평가자인 작은도서관의 요구를 반영하여 정량평가에 의한 계량적 평가뿐만 아니라 작은도서관의 기본적 목적과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정성적 평가를 포함하는 작은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안)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작은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안)은 평가방법 및 세부지표의 평가척도 다변화를 통해 작은도서관 자체 운영점검과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자기점검을 위한 평가가 되도록 하였다.
서비스 기관인 공공도서관의 존립근거는 고객들의 도서관에 대한 요구와 기대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도서관과 유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단체와 인터넷의 발달로 공공도서관의 존립에 대한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이 지속적으로 지역사회와 고객들로부터 필요성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소고에서는 고객지향적인 행정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정된 행정서비스헌장제를 공공도서관과 연계하여 살펴보고, 문화관광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문화기반시설 관리운영평가와 경기도의 경기도 공공도서관 평가의 분석, 서울시의 시민만족도 조사 등 최근에 공공도서관 평가에서 제시된 지표를 분석하여 향후 공공도서관 평가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지속적 발전과 공공성이라는 가치달성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수단효율성과 관련하여 경영평가기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민간기업의 경영분석에 대한 이론검토와 그로부터 도출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수단효율성 평가기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선방향은 첫째, 성과의 개념에 충실한 효율성측정의 지표가 다양하고 충분히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일정기간의 투입 대비 성과를 나타내는 동태자료가 부족하여 동태자료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보다 많이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장기정태자료는 고정자산 등의 장기적으로 사용 수익되어지는 비용으로서 일정기간의 비용에는 포함 되지 않지만 투입자료로서 유용하다. 이는 완전한 회계를 통해서 반영될 수 있다.
사회적·환경적 이슈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ESG 경영평가의 영향력은 점점 더 강해지고 있으며, 도서관도 ESG 경영평가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ESG 경영을 도서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ESG 경영을 정의하고 범주를 확인한 후, 먼저 적용과 지속적인 환류를 전제로 평가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을 포함하여 공공기관 ESG 경영평가지표를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이로부터 도서관에 적용가능한 ESG 경영평가지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ESG 관련 선행연구 조사·분석, 선행연구 기반 도서관 ESG 예비경영평가지표 도출, 예비경영평가지표에 대한 전문가 FGI 의견 수렴, 전문가 FGI 의견 수렴 기반 1차 도서관 ESG 경영평가지표 개발, 1차 도서관 ESG 경영평가지표의 적합도 조사과정을 거쳤다. 최종적으로 환경 영역은 총 25개 항목, 사회 영역은 총 56개 항목, 지배구조 영역은 총 32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 지표를 기반으로 도서관을 대상으로 ESG 경영평가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제14권2호
/
pp.99-139
/
2024
In this study, the library ESG evaluation indicators specialized for libraries were developed, and based on which,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actual libraries to evaluate the ESG level of librari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mong the ESG evaluation indicators, the indicators of the social field and the governance field are demonstrating high in which field of the library's ESG evaluation indicators will appear the highest. The social area's high score of 3.70 seems to be because the protection of users' rights, occupational safety, and contribution to society and the local community are very closely related to the original role of the library. Second, it may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questions in the corporate governance part, while the averages are the same. In the case of library's cooperation, it turned out that it was 3.94 in the necessity evaluation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but it was lowered to 3.61 in the actual library situation evaluation. Meanwhile, in connection with the activities of the director of library and the board of directors, it may be seen that the index evaluation increased from 3.32 to 3.58 in the actual evaluation.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을 구안하고 학교도서관 문제진단을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도서관은 공교육 시설로서 단위학교의 교육목표로부터 국가수준의 교육목표 달성에 이바지해야 한다. 학교도서관이 학교도서관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교교육을 개선해야 하는 책무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때, 학교도서관교육을 위한 컨설팅 장학과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7개의 구성요소로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을 구안하였고, 시 도교육청 평가, 학교평가, 학교도서관평가 영역과 지표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6개의 평가영역과 72개의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평가기관은 자관 교육목표에 따라 제시된 평가지표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평가결과를 컨설팅 장학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