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Disability Service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Study on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 Noh, Young-Hee;Ahn, In-Ja;Park, M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29-4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library promotional marketing for the disabled by identifying requirements of public library disability servic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of library programs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prepare a systematic plan for promoting such library services. Research methods used are a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 First, the ratio of respondents with experience promoting activities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was less than 50%. Second, regarding methods for promoting library disability services, the respondents used library homepages, press releases, library user guides, library newsletters, and library pamphlets in that order. Third, when asked what kind of PR media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 providers had experience with and how often they use it, library boards and banners were the most common response. Fourth, suggested improvements to the current design and content of PR materials included: clearer word choice (or greater understandability), more detailed descriptions, simpler layouts, and more interesting or eye-catching content in that order. Fifth,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s which are in the most need of public relations were guide information for library disability services,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 (DOI services and search services), using alternative materials and the library collection, and aiding the information search. Overall, when evaluating the promotion of disability services in Korea, the library's public relations for disabled services needs to improve because currently neither librarians nor the disabled community they are targeting has frequent or quality experience with it. Thus, the policy department for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s must develop a variety of promotional strategies adjusted for each type of the disability and distribute PR materials to service providers individually, making sure to utilize effective PR methods.

문헌정보학과 장애인서비스 교과과정에 관한 기초 연구 - 서울시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및 문헌정보학과 장애인서비스 교과과정 현황 조사 - (A Basic Research on the Librarian Curriculum for the Disabled Users: A Survey of Public Library Disability Services in Seoul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isability Services Curriculum)

  • 김혜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5-55
    • /
    • 2012
  • 본 연구는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 교과과정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을 통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고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 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의 계속 교육과정 및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 대학원 과정의 경우 현재 각각 한 곳에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과 관련된 교과과정이 개설되어 있었다. 둘째, 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의 계속 교육과정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2010년 처음 강좌를 개설한 이후 매년 강좌를 개최하고 있으며, 강좌 이수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수자들의 의견을 다음 강좌내용 선정에 반영하고 있다. 셋째, 현재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장애인은 시각장애인보다는 지체장애, 정신지체, 정서 행동장애, 자폐성 장애가 있는 이용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서비스는 관외대출서비스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일반자료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전화인터뷰에 의하면 현재 장애인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소수 기관의 담당사서들은 장애인에 대한 이해, 장애인 문화프로그램 운영 기획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ypes of Disability in Korea)

  • 강숙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7-123
    • /
    • 2011
  • 장애인들은 오랫동안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 소외되어 왔다. 공공도서관이 정보접근 및 이용의 격차해소라는 사회적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이용자로서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야 할 것이며, 장애유형별로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에 대한 장애인들의 요구를 창출하고 그들을 도서관으로 유인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애인 및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보건복지부 장애인 통계 및 실태조사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장애인의 장애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장애유형별 실증적 요구도 조사 연구 (A Study on Empirical Needs of User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in Libraries)

  • 차성종;배경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5-180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인 이용자의 실증적인 도서관서비스 이용 실태 및 요구도를 장애유형별로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장애인서비스를 제공할 때 장애인 이용자들이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로, 첫째, 장애인 이용자의 실질적인 도서관 이용실태 현황을 장애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둘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주요 구성항목에 대한 장애유형별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주요 구성항목별 Borich 요구도를 분석하고 장애유형별 도서관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장애인 이용자의 이용 목적별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주요 항목에 대한 Borich 요구도 차이를 분석하고 장애유형별로 도서관 이용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장애인 이용자의 이용 도서관 유형별 Borich 요구도 차이를 분석하고 장애유형별 도서관서비스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Library Websites to Students with Visual and Physical Disabilities in Public Universities in Kenya

  • Kiruki, Beatrice Wamaitha;Mutula, Stephen Mudogo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55-75
    • /
    • 2021
  • This article examines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library websites to students with visual and physical disabilities in public universities in Kenya. The study used survey research design and adopted a mixed methods approach. Data were gathered using survey questionnaire, focus group discussions, structured interviews, and observation.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six public universities that had a longstanding tradition of enroll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Census was used to obtain a study sample comprising of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86),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91), University Librarians (6), Personnel from Disability Mainstreaming departments (6), Systems Librarians (6) and Library Personnel who provided information service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133).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and IFLA Access to Librar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hecklist were used as conceptual and theoretical framework in the study. Study results revealed that all the libraries had library websites. However, the websites did not have disability services page or information specific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lso a se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lacked awareness of the existence of library websites and e-resources available through them. Additionally, the website design posed various access challenges. The study concluded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excluded from access and use of library websites in public universities. The authors recommended that library websites must contain disability services page containing information specific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Moreover, libraries should evaluate their websites to ensure compliance with W3C requirements for web content accessibility. Additionally, libraries should develop disability policy to provide guidance on provision of information services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의 구성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Constituent Analysis of Standards and Guidelines of Library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y)

  • 김영기;이연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87-108
    • /
    • 2008
  • 본 연구의 핵심 내용은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의 강화를 위해 국내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현황 및 요구에 대한 조사 분석과 국제도서관연맹(IFLA), 미국도서관협회 (ALA) 등 외국기관들이 장애인을 대상으로 제정한 각종 지침과 정책 등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도서관들이 장애인서비스를 실시할 때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애 유형별 지침과 기준의 구성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도출된 구성요소는 도서관내외부의 물리적 접근성 및 이동권 보장, 접근 가능 장서 구축, 서비스와 프로그램, 보조공학기기, 웹 접근성과 유니버설 디자인, 인력자원의 개발과 활용,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 등의 일곱 가지로 유형화시켰으며, 각 요소별로 기준 및 지침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도 명시하였다.

도서관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 Training Program for the Disabled Users Service Special Librarian)

  • 김혜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3-197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에서 수행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계속교육 강좌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역량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제안되는 프로그램 모형은 Track 1, 2로 나누었으며, 교육 형태는 사이버형 교육, 집합형 교육, 그리고 혼합형 교육으로 편성하였다.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 과정(안) 개 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Model Development for the Disabled Users Service Special Librarian)

  • 김혜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25-348
    • /
    • 2015
  • 본 연구는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사회의 관심도 증가에 따라 도서관서비스 대상에서 소외되었던 장애인 이용자가 처한 특수상황에 맞는 맞춤형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교과 과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교과과정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요인을 선별하기 위하여 국내외 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존의 도서관장애인서비스와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교과과정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도서관장애인서비스를 위한 전문사서 양성 과정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교과 내용과 교과 과정을 기초 과정과 심화 과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장애 이슈에 대한 문헌정보학과의 교육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he Education Trend on the Disability Issues in LIS Departments)

  • 김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95-312
    • /
    • 2010
  • 최근 들어 도서관의 관종에 상관없이 사서는 장애인에게 정상인과 동등한 서비스와 효율적인 시설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장의 사서뿐만 아니라 미래의 사서도 장애 이슈의 교육을 통해 장애인의 요구와 그들의 정보입수행위를 규명하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이용자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사서의 경험과 입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문헌정보학과의 교육환경을 장애 관련 교과목, 교수의 교과목 개설에 대한 인식도 그리고 그들의 강의 내용을 조사 분석하여 개선된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 문헌정보학과에서 앞으로 추구하여야 할 장애 이슈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장애인의 도서관 서비스 이용 및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 Use and Needs of Disabled Users in Korea)

  • 정연경;김성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01-323
    • /
    • 2008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동등한 정보접근권을 보장하고자 하는 흐름에 발맞추어 장애의 여부나 장애의 유형과 상관없이 모든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9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국내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장애인 이용자의 이용 실태 및 요구 사항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 및 도서관 서비스 이용 경험은 상당히 저조한 편이었으며 그 원인은 도서관 및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장애인들은 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자료의 다양성, 충분성, 접근성, 최신성 등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장애유형별로 도서관에 희망하는 프로그램과 개선사항에 차이를 보였다. 결국 장애인 도서관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안내와 홍보, 전자자료 구축을 통해 이용자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협령망 구축을 통한 자원공유와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고 장애인 서비스를 담당할 전문사서의 배치 및 직무교육 제공이 뒷받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