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Cataloging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6초

목록 업무의 아웃소싱에 대한 인식도 연구 (A Study on Degree of Understanding Toward Outsourcing of Technical Processing in University Library)

  • 김포옥;노옥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5-171
    • /
    • 2004
  • 본 연구는 정리업무에서 시행하고 있는 목록업무의 아웃소싱에 대한 전국 대학도서관의 실태를 조사하여 아웃소싱된 목록을 DB화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업체에서 입력한 목록에 대한 사서의 견해를 심층적인 각도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도서관 사서와 업체 직원간의 목록기술 내용에 대한 양자간의 인식도의 차이를 면밀히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해결점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동시 현 국립중앙도서관의 CIP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ERIS)의 참조목록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을 재조명하여, 미래 우리나라 도서관의 정리업무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녹음자료의 목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taloging of Sound Recordings)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25-15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inctiveness and problem areas in cataloging rules of sound recordings. In this study,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and kinds of sound recordings and the cataloging rules related to sound recordings in non-book cataloging rules are examined first as the backgrounds. Then the sources of information,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physical description, choice of headings, and uniform titles in ISBD(NBM)·AACR2R·AECT4 and KORMARC(NBM) are analyzed. And the special issues and some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cataloging of sound recordings are presented.

  • PDF

편목업무 아웃소싱의 득과 실 - 공공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 (Gains and Losses of Catalogamg Outsourcing in Public Librarie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91-417
    • /
    • 2006
  • 근자에 들어 편목업무의 일부 혹은 전체를 외부의 업체에 위탁하는 행태가 관종을 막론하고 도서관계 전체에 폭넓게 확산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면서, 이 연구는 편목업무의 아웃소싱을 통해 우리가 얻는 것과 잃는 것이 무엇인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공공도서관에서 편목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사서들과 도서관경영진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실무 사서의 육성을 통해 그들의 시각에서 본 편목업무 아웃소싱의 득과 실을 있는 그대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 목록문제의 본질과 해법 (An Investigation on Catalogs and Cataloging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5-78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들이 당면해 있는 목록문제의 본질을 규명하고 원인을 밝혀내어 향후 개별 도서관은 물론이고 도서관계 전체가 참조할 수 있는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도서관목록의 품질과 도서관계의 편목업무 역량을 실증적으로 점검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목록의 품질 문제와 편목업무의 역량 문제를 야기해온 원인을 토착적인 시각에서 찾아내고자 하였다. 특히 후자의 원인 찾기에서는 우리 도서관계에 내재하고 있는 목록에 관련된 '철학과 인식'의 문제, '정책과 체계'의 문제, 그리고 '인력 시스템'의 문제 등에 주목하였다. 동일한 맥락에서 목록의 품질과 편목업무의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토착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KERIS 종합목록 운영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10개 주요 대학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논점을 풀어갔으며, 논점을 풀어가는데 필요한 데이터는 관련 선행연구, 각종 통계집의 관련 통계, 10개 대학도서관 목록에 대한 검색실험, 그리고 사서들과의 면담 등을 통해 확보하였다.

학교도서관 DLS의 목록입력 규칙 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mendment of DLS Cataloging Rule)

  • 노진영;변우열;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23
    • /
    • 2014
  • 학교도서관에서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인 Digital Library System(DLS)의 목록입력 규칙을 이용해 서지레코드를 구축해왔다. 그러나, DLS 목록입력 규칙은 규칙 자체가 상세하지 않고, 규칙 상호 간에 모순이 있고, KCR4에 일치되지 않기 때문에, 서지레코드 구축시 표준화된 지침으로 사용될 수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교도서관에서 생산하는 서지레코드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표준화된 서지레코드 구축을 위해, DLS 목록입력 규칙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LS 목록입력 지침의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해 DLS 목록입력 규칙을 KCR4와 비교 분석하고, 3년 이상 경력의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서면 및 전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DLS 목록입력 규칙에서 사용한 용어가 KCR4와 일치하도록 수정이 필요하고, 기술영역별로 목록규칙의 개정이 요구되었다.

도서관 목록에서 표목의 취급 실태에 관한 연구 - B시의 대학도서관들을 중심으로 - (A Survey on the Managing of Headings in Library Cataloging: On the Basi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n B City)

  • 도태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71-18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편목 실무에서 표목의 취급 실태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표준목록규칙인 KCR4는 기본표목을 채택하지 않았으며, 표목의 형식에 관한 규정이 없는 규칙이다. 그러나 도서관의 편목 실무에서는 여전히 기본표목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아 도서관 간에 기본표목의 취급에 관한 통일성이 없고, 통일표목의 형식으로 표목을 작성하는 도서관의 경우에도 적용할 규칙이 없음으로써 그 형식의 일관성이 결여되었다. KCR4의 방침에 따라 기본표목을 채택하지 않는 방식으로 목록레코드를 통일할 수 있기 위해서는 KORMARC포맷의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 표목 형식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서는 목록규칙에 관한 국제적 표준의 변화 추이에 따라 KCR4의 개정 방침이 확정될 때까지 과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목형식에 관한 규정이 제정될 필요가 있다.

  • PDF

목록에서의 자료종별표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erial designation in library cataloging)

  • 이창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377-40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aterial designation in library cataloging and to suggest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GMD) and Specific Material Designation(SMD) in Korean. A summary of the study follows. In library cataloging, methods of indicating the type of material are : (1) color-coding, (2) media code as part of the call number, (3) material designation in physical description area or note area, (4) GMD and SMD. GMD is a term indicating the broad class of material to which a bibliographic item belongs. SMD is a term indicating the special class of material to which a bibliographic item belongs. GMD was listed in parenthesis following the title proper before AACR1975 code, but currently it is listed in square brackets after the AACR1975 code. AACR2 was the standard cataloging rule in GMD and SMD terminology. It is suggested that GMD be used in Korean for graphic material, sound recordings, drawings, microform, multimedia, videorecordings, manuscripts, photographs, slides, printed music, motion pictures, printed texts, objects, braille, cartographic materials, computer files and transparenies.

  • PDF

도서관목록에서 폭소노미 적용의 의미와 한계 (Meaning and Limitations of Folksonomy in Library Cataloging)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81-400
    • /
    • 2009
  • 이 연구는 폭소노미에 대한 우리 도서관계의 보다 근원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그를 통해 우리 도서관의 실정에 보다 적합한 폭소노미에 대한 접근 및 수용 방법을 강구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관련 문헌에 대한 조사와 분석에 근거하여, (1) 폭소노미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그에 내재된 철학적 의미를 도서관목록의 전통적 의미에 견주면서 살펴보고, 이어 (2) 폭소노미를 바라보는 북미 문헌정보학계의 관점과 도서관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소개하고, 더불어 (3) 폭소노미의 적용 결과를 둘러싼 북미 도서관 현장에서의 유용성 논의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긍극적으로 (4) 폭소노미의 수용에 앞서 우리 도서관계가 고민해야할 과제와 취해야 할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WIKI cataloging 정신을 통한 공동목록 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of the Union Cataloging by WIKI Cataloging Philosophy)

  • 남영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5-89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아웃소싱으로 반입된 서지데이터의 질을 담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위키 카타로깅 방식의 종합목록 작성을 제안하였다. 위키 카타로깅은 일련의 편목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는 사서의 협력을 통해 종합목록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의미하였다. 그 방안은 전문 사서들 의 협력에 기반한 1)위키 카타로깅의 정책, 2) 전용 위키시스템의 개발, 3) 위키 목록규칙의 제정 등이다. 특히, MARC의 기본서지요소 245, 260, 300 필드를 전문사서들이 담당하고, 확장부가요소는 일반 사서들이 담당하는 위키카타로깅의 질을 확보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차세대 목록 교육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Future of Cataloging Education)

  • 조재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7-145
    • /
    • 2010
  • 아웃소싱, 출판계 데이타의 반입, 카피카탈로깅의 활성화는 목록 작성 업무의 비중을 감소시키고 있으며, 다른 커뮤니티와의 상호 운용성 강조, 시스템간의 비즈니스적 통합 요구는 총체적으로 전통적 도서관 목록 작성 업무의 중요성과 의의를 변화시키고 있다. 한편, 새롭게 천명된 원칙과 규칙은 AACR과 MARC을 근간으로 하는 기존 목록 체계와 큰 차이를 예고하고 있어, 차세대 목록 교육의 방향에 대한 고민이 시급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목록 작성 업무에 대한 예측, 사서의 새로운 역할과 역량에 대한 제 논의를 종합하여 목록 사서 양성 과정과 현업 사서 재교육 과정에서 필요로 한 차세대 목록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록 사서 양성 과정에서는 다양한 자원의 기술과 발견을 위한 정보 조직의 기본 개념을 학습하며, 정보서비스의 미션을 파악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한다. 한편, 현업 사서 재교육 과정에서는 서지적 세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과 변경된 어휘, 인코딩 방식을 학습하며, 도서관이 수용하게 된 다양한 자원에 적합한 메타데이타 스키마의 선택, 그리고 자원의 통합을 위한 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