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18초

대학생들의 도서관 불안과 컴퓨터 태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y Anxiety and Computer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 박덕란;사공복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03-32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성별, 학년, 전공, 도서관 방문 빈도, 그리고 스마트폰 인식태도에 따른 도서관 불안과 컴퓨터 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본 후 도서관 불안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 불안과 상관관계가 있는 컴퓨터 태도요인은 컴퓨터 불안과 컴퓨터 유용도로 나타났고 컴퓨터 불안을 낮추고 컴퓨터 유용도를 높여주는 이용자 교육과 교육과정의 개발을 해결책으로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의 디지털자료실 설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stablishing School Library Digital Resource Room)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7-90
    • /
    • 2003
  •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고, 제7차 교육과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학교도서관이 필수적이라는 인식 하에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시범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시범 운영중인 디지털자료실의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선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1년도에 설치된 96개의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대상으로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초.중등학교의 도서관정보화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마련하고자 한다.

  • PDF

국내 학교도서관교육의 정책적 현안과 과제 (Political Issue and Problem of School Library Education in Korea)

  • 박주현;이명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99-328
    • /
    • 2014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교육과정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학교도서관이 교육성과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현안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도서관교육과 관련된 법과 주요 정책을 살펴보고 학교도서관교육의 행태와 성과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인적자원의 전문성 향상, 교육과정 개선, 장학 및 지원체계 정비, 관련법 개정을 정책적 과제로 설정하고 추진방향과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청소년 대상 과학분야 메타검색시스템과 교과별 디렉토리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Meta Search System and the Curriculum-oriented Directory System for Youth in Science)

  • 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9-212
    • /
    • 2004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과학분야 메타검색시스템 및 교과별 디렉토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사용성을 비교$\cdot$평가하여 효율성을 입증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대상 과학분야 메타검색시스템과 개별검색시스템 및 교과별 디렉토리시스템을 각각 개발하였으며, 주제별 디렉토리시스템은 개발하지 않고 국내의 대표적인 과학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시스템을 선정하여 비교하였다. 사용성 분석을 위하여 정량적 연구방법과 정성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으며, 데이터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 관찰법, 생각을 소리내어 말하기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교$\cdot$평가한 청소년 대상의 과학분야 정보시스템에 있어서는 메타정색시스템의 사용성이 개별검색시스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과 연계된 일관된 접근점을 제공하는 교과별 디렉토리시스템이 주제별 디렉토리시스템보다 사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A Study of the Roles of the Teacher-Librarians as Perceived by Supervisors, Principals, Teachers and Teacher-Librarians in Korea)

  • 김병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7권
    • /
    • pp.229-259
    • /
    • 1989
  • The school library plays very important and central role for the fullfillment of educational objectiv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media specialist known as teacher-librarian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of the media center. It is true that effectiveness of the school library depends greatly on the cooperative coordination among teacher-librarian, teacher and principal in addition to the strong support and effective supervision of school district authority, specifically, supervisor of school library program. The successful program therefore is influenced by their perception of the teacher-librarian's r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librarian's. educational role perceived by teacher-librarian, teacher, principal and school district supervisor. A standard task model describing both the management and educational functions and expectations of teacher-librarian was proposed after studying the relevant current standards of four countries. Serveral hypotheses were made regarding role perception and a survey instrument was designed based on this proposed task model and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to validate the hypotheses. The questionnaires were mailed out and the returned questionaires were analyzed by SPSS computer routine.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difference of the role perception among teacher-librarian, teacher, principal and district supervisor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for both management and educational functions of teacher­librarian. The mean score of the teacher-librarian was highest among four groups and the score for the educational function tasks were lower than that of management function tasks. 2) The positive correlation exist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between the role perception and the attitude toward changing social trends such as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need for bette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3) The positive correlation exist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between the role perception and the view o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 PDF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의 성과와 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the Prospect of School Library Rehabilitation Project)

  • 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7-14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2002년에 수립되어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추진되어 온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의 지난 4년간의 성과를 종합 분석하고자 하며, 분석결과와 평가를 기반으로 향후 2단계 활성화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고 있다. 첫째, 3.000억이라는 엄청난 예산을 투입하여 신설되고 리모델링된 도서관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서교사라는 것이다. 둘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모형을 개발하되, 학년별. 학급별, 교과별, 단원별로 세분화 전문화시켜 개발해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증명해 냄으로써 학부모와 지역사회가 자발적으로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나설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다양한 이용자 연구를 통해 고객에 해당하는 이용자들의 현실적인 요구를 분석하고 이들의 요구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사서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서교사의 자질, 역할.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교직이수 트랙을 개발해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사서교사는 스스로의 역할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고객인 학생과 교사들이 전문가로 인정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국내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aduate School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s in Korea)

  • 노영희;곽우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123-14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20년까지 약 15년간의 문헌정보학과 석·박사교과과정의 변화를 3년~4년 단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교과과정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교과과정의 흐름을 읽고, 이를 기반으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정보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활용되도록 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2017년과 2020년의 교과목 수의 변동비율을 비교해 보았을 때, 총 3.70%가 감소하였고, 유일하게 증가율을 보인 분야는 기록관리학(3.33%)이었다. 서지학(-11.65%), 정보학(-4.89%), 도서관·정보센터 경영학(-3.62%), 문헌정보학 일반(-3.13%), 정보조사제공학(-4.10%)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조직학은 교과목 수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20년에는 정보학이 25.15%로 가장 높은 비율로 개설되어 있고,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21.30%), 정보조사제공학(15.05%), 문헌정보학일반(12.35%), 정보조직학(11.27%), 서지학(7.95%), 기록관리학(6.94%) 순으로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정보 대학의 데이터사이언스 학위 현황 연구 (Degree Programs in Data Science at the School of Information in the States)

  • 박형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305-33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이 있는 정보 대학에서 수여하는 데이터사이언스 학위의 현황을 알아보는 것이다. 데이터 수집의 대상은, 2022년 미국도서관협회의 인가를 받은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이 있는 64개의 대학에서 수여하는 데이터사이언스 학위였다. 분석의 대상은 각 대학의 데이터사이언스 학위 과정, 부전공, 세부 전공, 수료증, 취업 후 예상 진로, 취업률 등이었다. 교과 분석을 위해 미국 정보 대학에서 제시한 교과목 명, 교과 설명, 중점 교육 분야를 분석했다. 데이터사이언스를 학위 명으로 개설한 대학은 총 8개 정보 대학의 12개 학위였으며, 학사 학위 5개, 석사 학위 6개, 박사 학위 1개였다. 개설된 교과의 주제는 데이터사이언스 입문, 정보검색, 데이터마이닝,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와 인문학, 머신 러닝, 메타데이터, 연구 방법론,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실습/캡스톤, 윤리 및 보안, 이용자, 정책, 큐레이션 및 관리였다. 대부분의 대학은 전통적인 문헌정보학 교과를 개설하지 않고 있었다. 정보 대학이 제시한 졸업 후 예상 취업 진로는 데이터사이언티스트, 데이터 엔지니어, 데이터 분석가 등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보학의 관점에서 데이터사이언스 학위 과정, 세부 전공, 수료증 또는 교과과정 개발 및 개정을 위한 논의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도서관협력수업의 통합모형 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osal of an Integration Model for Library Collaboration Instruction)

  • 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25-47
    • /
    • 2023
  • 도서관협력수업은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공동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공동으로 수업을 전개하며, 공동으로 평가하는 과정이다. 도서관협력수업은 협력의 수준, 정보활동, 시간표 운영 등 다양한 차원에서 연구되고 모델이 개발되어 왔다. 그럼에도 도서관협력수업을 전체적으로 총괄하는 통합모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5가지 차원(협력수준, 정보활동, 협력접근, 시간운영, 기술통합)에서 다양한 모형을 비교·분석하여 도서관협력수업의 모형을 도식적으로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도서관협력수업 통합모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수준 차원에서, 통합모형은 도서관활용 교사수업, 범 교과 통합교육과정 등을 반영하였다. 둘째, 정보활동 차원에서, 통합모형에는 정보활용과정과 더불어 사회 및 과학교과 탐구활동을 반영하였다. 셋째, 협력접근 차원에서 통합모형은 주도-관찰수업, 병렬 스테이션 수업 등으로 구분하였다. 넷째, 시간 운영 차원에서는 한국의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시간표 편성 방식을 고려하였다. 다섯째, 기술통합의 차원에서, 통합모형은 PICRAT 모형을 도서관협력수업의 관점에서 수정, 반영하였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운영현황과 효과분석 (An Analysis of the Operation of Digital Resources Room and ie Effect in School Librarie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71-414
    • /
    • 2005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개선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설치 사업은 학교도서관의 환경개선 및 정보화의 기반 구축, 정보자료 확충,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제공, 원문정보 제공, 독서교육, 도서관 활용수업 등 다양한 정보 및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이 초$\cdot$중등학교의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및 자기주도적 학습환경 조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첫째. 국가수준의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둘째, 독서교육 및 정보활용교육을 제도화해야 한다. 셋째, 도서관 활용수업을 정규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한다. 넷째, 전문 사서교사를 배치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관련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