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검색결과 15,844건 처리시간 0.036초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의 상관관계분석 및 매개변수 (Correlation Between Public Library Service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Moderator Variables)

  • 이성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3-10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선, 고객만족도와 충성도사이의 상관관계가 알려진 것처럼 높지 않다는 일부 경영학분야의 연구결과가 공공도서관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들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에도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하는데 있다.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사이의 상관관계는 존재하나 그 정도는 높지 않다, 2) 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들 중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 이용의사'라는 변수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낮다, 3) 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나타내는 지표들 중 '타인에게 사용을 권할 의사'라는 지표와 이용자만족도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다. 다음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간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의 존재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목적이다. 데이터의 질적분석을 통해 발견된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 1) 지리적 접근성, 2) 서비스의 다양성 부족, 3) 주차문제, 4) 도서관 자료의 부족 및 최신성과 다양성 부족, 5) 도서관내의 편의시설 부족.

도서관의 자유와 권리선언에 관한 연구 (Freedom of Library and the Library Bill of Right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40
    • /
    • 2002
  • 모든 도서관은 지식과 정보를 위한 광장이다. 따라서, 도서관은 모든 이용자에게 모든 자료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제도적인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서관 권리선언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가 도서관 권리선언을 채택할 경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도서관 권리선언의 의의를 살펴보고, 미국과 일본의 도서관 권리선언의 변천과 내용을 분석하여 공통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미국과 일본은 공히 공식기구인 도서관협회에서 도서관 권리선언을 채택하고, 권리선언을 유지\ulcorner발전시키고 도서관의 자유가 침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상설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도서관 권리선언의 공통된 구성요소는 자료수집의 자유, 자료제공의 자유, 검열 거부, 관련단체와의 협력, 개인의 도서관이용 권리, 도서관의 시설 이용, 이용자의 비밀유지 등이다.

  • PDF

지역대표도서관 건립 계획에 관한 연구 : (가칭)부산도서관을 중심으로 (New Main Library Project in a Metropolitan City : with a Reference to the Library of Busan)

  • 장덕현;이수상;유재우;이용재;김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19-139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대표도서관 건립을 위한 절차와 과정, 그리고 주요 고려사항들을 분석하여 적절한 계획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역 도서관정책의 허브이자 지역을 대표하는 도서관으로서 지역 도서관 정보정책을 총괄하고 중앙정부와의 협력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핵심 지식정보인프라 역할을 하는 지역 대표도서관의 건립은 꼭 필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이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의 대표도서관 건립 계획을 사례로 하여 시민 모두가 자유롭게 어우러지는 신개념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대표도서관 건립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가늠하고, 향후 지역에서 대표도서관을 건립할 경우를 대비하여 지역대표도서관의 사명과 비전, 기능과 역할, 그리고 건축계획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휴먼라이브러리에 관한 연구- 서울시 성북구의 휴먼라이브러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uman Library: The Case of Human Library in Seongbuk-Gu, Seoul)

  • 조찬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28
    • /
    • 2014
  • 새로운 형태의 도서관으로 휴먼라이브러리는 도서나 인쇄매체가 아닌 사람이 정보자료가 되어 이용자와 직접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도서관서비스의 개념이다. 휴먼라이브러리는 '사람책(휴먼북)'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기존의 도서관서비스와는 다른 특성을 내포하게 되며 새로운 도서관 형태로서의 의의를 지니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성북구에서 실시된 휴먼라이브러리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성북구의 휴먼라이브러리의 배경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2012년과 2013년에 진행된 성북구의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내용과 실태 및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 제시함으로써 휴먼라이브러리에 관한 이해 증진에 일조하고자 한다.

대학도서관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의 특성과 해소방안 연구 (A Study on Traits and Remedy of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Users in Academic Library)

  • 유지윤;정동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1-4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외국인 이용자가 경험하는 도서관불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들의 도서관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외국인 이용자'로 외국인 학생은 물론 외국인 전임교원 및 연구원을 포함하여 다각적으로 도서관불안을 분석하였다. 외국인 이용자수가 가장 많은 S대학교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외국인 이용자 369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전체 도서관불안 점수는 2.96점으로 나타났고, '도서관에 대한 지식'으로 인한 도서관불안을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요인을 분석해 본 결과 신분, 국적, 이용교육 참여 여부, 방문목적, 한국어 실력, 한국문화 이해도의 차이에 따라 도서관불안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서비스, 인적 요소, 환경 및 자원 측면에서 도서관불안 완화방안을 제시하였다.

광역도서관위원회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Metropolitan Library Committee)

  • 김보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75-199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지역도서관 정책 추진에 따른 주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광역도서관위원회의 운영 개선을 위해 지역도서관 정책의 중심축에 따라 두 가지 개선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1안의 모델은 본청 내 도서관 정책부서 중심으로 광역도서관 정책 추진에 따른 광역도서관위원회 도서관 정책 심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으며, 제2안의 모델은 광역대표도서관 중심의 지역도서관 정책 추진에 따라 광역도서관위원회는 정책 거버넌스 역할을 하도록 제안하였다. 제안한 광역도서관위원회 운영 개선 방안의 실효성 있는 추진을 위해서는 제2안에 따라 「도서관법」에서의 광역도서관위원회 기능과 위원장 및 부위원장에 대한 격상이 필요하다. 그리고 광역지방자치단체별 광역도서관위원회 운영에 관한 사항에 관하여 표준화된 자치법규로 규정될 수 있도록 표준 자치법규(안)을 제안하였다.

Ranganathan, Dewey, and Bong-Suk Park

  • 오동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27
    • /
    • 2012
  •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lives and careers of three great librarians in India, USA, and Korea: S. R. Ranganathan, Melvil Dewey, and Bong-Suk Park, respectively. It also explored their influences and contributions. Their births and early years, and marriage; college years; commitment toward librarianship and careers; achievements in other areas; personalities; and commemorative activities, among others, were analyzed. Their contributions to librarianship and library community in the general theory of library science, professional education, classification and cataloging, library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and library associations and library movement were also investigated. Special focus was on Bong-Suk Park, with a special regard to his unrealized dream for the Korean library community as well as insufficient estimation related to him and his achievements.

현단계 어린이도서관운동의 내용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ildren Library Movement of the Present)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09-327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현재 전개되고 있는 어린이도서관운동인 시민단체에 의해 진행되는 '기적의 도서관운동'. 부천지역 '마을마다 작은 도서관 만들기 운동', 개인 및 단체에 의해 주도되는 민간의 '어린이 작은 도서관운동'을 고찰하였다. 각 운동의 내용과 특성,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어린이도서관운동의 방향과 과제를 조망해 보았다.

  • PDF

교수들의 도서관 이용과 서지교육 인식도 (Library Use Patterns among Faculty Members & Awareness Toward Bibliographic Education)

  • 강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9-8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easure library use behaviors among faculty members and faculty awarenesses toward bibliographic education for undergraduates. Questionnaire listings offered by C university library were sent 200 faculties. 56% respond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circledS1$They used library one more times per a month and during vocations & prefered to use scholarly journals. $\circledS2$They wanted 'subscription for scholarly journals,' 'inter-library loan,' but they seldom experienced in inter-library loan. $\circledS3$They gained the library skills in experiences and they had the average level of library skills. They used secondary sources and recognized traditional reference services. $\circledS5$They intended to bibliographic education for the faculty and the wanted group of 10 less and education for the new faculty members. $\circledS6$They though the students should be able to learn needed library skills. but wasn't necessary. $\circledS7$They intended to intergrate bibliographic education and cooperate with librarians. But they hadn't been familiar with librarians and encouraged students to use library.

  • PDF

외국의 문헌분류법이 중국의 문헌분류법에 끼친 영향 -중국의 현대 3대 문헌분류법과 관련하여- (Influence of Foreign Library Classification Schemes on the Chinese Classification Systems in the Library)

  • 이창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43-167
    • /
    • 2002
  • 이 연구는 외국의 문헌분류법이 중국의 문헌분류법에 끼친 영향을 DDC, ББK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아울러 도서관을 국책 수행 상 중요 기관으로 인식하는 중국의 도서관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중국의 현대 3대 문헌분류법인 중국인민대학도서관도서분류법, 중국과학원도서관도서분류법, 중국 도서관분류법에 대하여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