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ies

검색결과 3,979건 처리시간 0.026초

관종별 도서관 사서의 직무환경요인과 직무만족도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Work Environment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of Librarians Working in Different Types of Libraries)

  • 김종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37-155
    • /
    • 2012
  • 본 연구는 국 공립대학도서관, 사립대학도서관, 전문대학도서관,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공도서관을 선정하여 관종별 도서관 사서들의 직무만족도의 차이점을 측정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항목으로 10가지 직무만족 요인을 선정하여 전체적인 사서의 직업만족도와 직무만족, 고용만족, 승진제도 만족, 업무분장만족, 보수제도 만족, 복무제도 만족, 시설환경 만족, 교육훈련 만족, 후생복지 만족,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 요인을 비교 분석 하였다. 첫째, 전체적인 사서의 직무만족도는 5점 척도 만점에 3.940으로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관종별로는 사립대학 도서관, 전문대학 도서관, 공공도서관, 국 공립대학 도서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요인에 선정된 10가지 항목에 대한 전반적인 관종별 만족도 순위는 교육훈련, 직업, 복무제도, 인간관계, 고용제도, 업무분장, 시설환경, 보수제도, 후생복지, 승진제도 만족 순으로 측정되었다.

일제하의 공공도서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Korean Public Libraries under the period of the Japanese Rule)

  • 김포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6권
    • /
    • pp.137-163
    • /
    • 197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d that (l) How the public Libraries under the Japanese Rule since the end of the Yi-Dynasty were recepted and generated by the people and (2) How they were organiged and managed. (3) Also it examined that how the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the libraries of today. 1. The following are the analyzed results: Three types of the public Libraries under the Japanese Rule for a period of 36 years engaged busily in colonization were Private's Public Libraries, Local Self-Government's Libraries and the Central Governmental Libraries, and were in order established. 2. They were eatablished by individuals, Confucian School Foundation, Young Men's Clubs, School Associations, Korean brethren residing abroad, or The Press Centering around the Local Self-Governments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3. In 1932 of the period of the Japanese Rule, the number of Libraies gained the summit and reached 80 Libraries. The Public Libraries including the Central Governmental Libraries remained in existence until the end of the War had been kept up the functions of the Libraries, but the Private Libraries operated by the Koreans were very small and poor. As a result, most of them were closed up and some Libraries transferred their controls to the public. Until the end of the war, only a little over 10 Private Libraries were Kept up. From the aspects of it's organization system, the most of their libraries replaced their chief librarians with non-professional county-headmen or Local supporters. From the aspect of collections, they wate mainly consists of Japanese books for the proper quidance of the public thought based on the ideology of Japanese Rule to Korea and on the industrial promotion rather than books about Koreanology or Western books. At that time, the Library users were with the jobless men and students as the central figures. And the next ranking by the social position of readers was children, farmers, merchants, industrialists, public servants, miscellaneous and educators. Their reading tendencies laid stress on linguistics and literature, physical sciences and medicine, While the reading trend of military sciences and medicine, while the reading trend of military sciences and engineering were very inactive. This was becaus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had not kept the military collections on file. Besides, they were reluctant to make Korean's learn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o the main reference materials of technology not provited. Most of the Libraries put practiced in circulation services were very important circulation in withinder of the reading room rather than in outside of the Library building. On the other hand, their circulation services has above came with many limitations. As stated above, the public Libraries' managements and activitives under the period of Japanese Rule were the way and means to achive the colonial and imperialistic purpose of the Japanese Empire.

  • PDF

학위논문의 정리와 이용 (Organization and use of theses collections in university libraries)

  • 최달현;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2권
    • /
    • pp.161-198
    • /
    • 1985
  •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organization and use of theses collections in university libraries of Korea.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31 questions on 6 items was sent to 44 university libraries of which 40 libraries responded.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igures concerning registration of theses can be tabulated as follows. 2. In differentiation of oriental and occidental theses, 20 libraries (50%) depend on the basis of the text language. 3. Thirty-four libraries (85%) classify the theses and 27 (80%) of them use the same tables with book classification schedules. For classification level, 17 libraries (48.6%) classify them in section numbers whereas 13 (37.1%) in sub-sections. 4. Catalog or index cards of theses are made in 35 libraries (87.5%) of which 20 libraries are using the second level of bibliographic description. 5. Roman alphabets in a title are described a such 27 libraries (67.5%). 6. Most of respondents are preparing author, title and classified catalog cards for users. The research reveals that only 8 libraries are giving subject headings to the theses. 7. Twenty-three libraries (63.9%) have theses catalogs in separation from their book catalogs. 8. Most helpful bibliographic elements in an entry for users are reported to be author, title, date and notes. In general, theses collections have many different features in various aspects compared with book material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ocess the former differently with the latter. Firstly, it would be more convenient to register theses on the different register from the book register. Secondly, minute classification of theses would be necessary for their users. thirdly, text language is the common basis of discriminating oriental materials and occidental ones. Fourthly, a simple catalog would be quite good enough to use theses collection, for most helpful elements in an entry are limited to author, title, date and notes. Fifthly, it is strongly recommendable to transcribe all the roman alphabets on the titles into Korean alphabets. Sixthly, the research revealed that our library would needs to develop subject heading work which is for behind other library works.

  • PDF

작은도서관에 관한 법제적 고찰 (A Study on Legal Issues of Small Libraries)

  • 김유승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81-410
    • /
    • 2014
  •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관련 법령과 조례를 통해 작은도서관의 양적 팽창과 그에 따르는 문제들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와 문헌 분석을 통해 작은도서관의 연혁과 현황을 조사하고 사회운동으로서의 작은도서관이 지니는 성격을 논하였다. 법령 분석을 통해, "도서관법"에 나타난 작은도서관의 법적 지위의 변화와 의의를 살피고, "작은도서관 진흥법"을 비롯한 작은도서관 관련 법령의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자치법규 시스템과 국가법령정보시스템을 통해 추출한 114건의 자치법규를 일반현황, 상위 법령, 정의, 시설 및 장서 기준, 운영 인력의 자격요건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작은도서관 관련 법제도의 당면과제를 시설 및 자료 기준, 운영 인력, 지원 및 관리의 세 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한국군 교육기관 도서관의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Libraries in Korea)

  • 오수국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5-95
    • /
    • 1997
  •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23 libraries affiliated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Korean miltary. Materials and data used in this analysis were obtained from a variety of statute books, Korean Library Association publications, past works in military-related researc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ith library staff. For each mili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background to its foundation and Its current operations are briefly reviewed. Library characteristics subjected to analysis pertain to the following 8 areas: location and architecture, stack arrangement, furniture and furnishings, personnel, service elements, budget, book stock, and extent of computerization. The affiliated library (consisting of reading rooms and/or stack rooms) is then classified as belonging to one of the following three levels: graduate-school level (total of 4 libraries), university level (5 libraries), and technical-school level (14 libraries). When necessary. particular libraries are examined in detail. This research reveals that while most graduate-school and university level libraries are being operated on a relatively sound basis, there are significant disparities among university level libraries. As for technical-school level libraries, the lack of professional staff and service elements for users is seriously impairing their operations. In order to address these problems and support military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age of segyehwa and inform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Korean military formulate comprehensive measures to modernize library facilities and improve their operations.

  • PDF

도서관 RFID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equency Characterization of the RFID Systems in Libraries)

  • 최재황;곽승진;배경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35-353
    • /
    • 2009
  • RFID 시스템이 1990년대 말에 처음으로 도서관에 도입된 이래, 13.56MHz 주파수를 활용하는 HF 시스템과 900MHz 주파수를 활용하는 UHF 시스템에 대한 논란도 계속하여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F RFID 시스템과 UHF RFID 시스템의 특징을 분석하고, 도서관 현장에서 적용되는 실제 상황에서의 장단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도서관의 RFID 시스템 도입현황과 국내의 대표적인 4개의 도서관 RFID 시스템의 도입사례(HF, UHF 각각 2개 도서관)를 분석하였다. 또한 HF RFID 시스템과 UHF RFID 시스템의 기능적 특징, ISO/DIS 28560에서의 주파수 논의, 각 시스템의 공급자 및 사용자 의견도 조사되었다.

역사적 흐름 속에서의 공공도서관과 점자도서관 - 일본의 역사적 배경과 도서관의 변천을 중심으로 - (Libraries in the Current of History - The Japanese Historical Context for the Changes in Braille and Public Libraries -)

  • 김지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3-13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점자도서관을 깊게 이해하는 데 있다. 즉 기존의 점자도서관 연구처럼 점자도서 관만을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배경의 흐름과 그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변화라고 하는 객관적인 시점, 점자도서관을 벗어난 외부의 시점에서 점자도서관을 바라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초기 점자 도서관은 공공도서관의 성립과 그 목적이 같고 역할도 같았으나, 전쟁이라는 사회적 배경을 지나면서 도서관과는 전혀 다른 복지적인 방향으로 역할이 이루어졌고, 시각장애인이용자의 독서권운동이 일어난 1970년을 기점으로하여 점자도서관의 도서관적 역할을 재고하며, 도서관적 모습을 되찾으려는 움직임을 볼 수 있었다.

  • PDF

한국 공공도서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Problems and Solutions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 송정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99-421
    • /
    • 2003
  • 정보화 시대에 공공도서관이 필수불가결한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보의 생산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경쟁력 회복과 정보격차의 해소를 지원하기 위해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복지의 핵심기관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 한국의 공공도서관은 그 수가 절대 부족하고, 장서도 부족하며, 인력활용이 비효율적이고, 제공하는 서비스도 영세하며, 도서관의 건축구조도 적합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이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기업, 시민이 협력하여 공공도서관의 건립운동을 전개하여 절대수를 늘리며, 장서구입비도 대폭 확충하고, 다양한 서비스 프로그램도 개발하며, 사서는 이용자와 자료의 중개자로서의 전문적인 직무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하며, 도서관은 도서관의 이념을 구현할 수 있도록 건축되어야 한다.

  • PDF

미국 주 도서관 서비스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State Library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 곽철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03-218
    • /
    • 200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대표도서관의 서비스 방향을 고려하기 위해 미국의 주 도서관의 서비스 내용을 분석하였다. 통계자료와 주 도서관 웹 페이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주 도서관은 주마다. 차이가 많이 있지만 핵심 기능은 지역 도서관에 대해 예산, 서비스, 교육 등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지역주민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는 지역의 공공도서관에 비해 그 규모는 작지만 주 단위의 역사 및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며, 동시에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미국 사례를 비추어볼 때, 우리나라 지역대표도서관은 지역의 공공도서관을 지원하며 공공도서관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대표도서관은 각 지역 특성에 맞는 형태로 운영되어야 한다.

전문도서관의 정보자원 공동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ource Sharing in Korean Special Libraries)

  • 신은자;오경묵
    • 정보관리연구
    • /
    • 제32권3_4호
    • /
    • pp.56-72
    • /
    • 2001
  • 전문도서관은 특정주제 분야의 장서를 집중적으로 수집하는 수서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므로 핵심 연속간행물은 구독을 계속하고 거의 이용이 되지 않는 연속간행물은 구독을 취소하며 취소한 연속간행물의 원문요구에 대해서는 원문제공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내의 전문도서관이 원문제공 서비스를 추진하는 방법 가운데 영역별 도서관협의회 가입은 보편적이면서도 적절한 방법인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으로 타관종과 전문도서관의 상호협력보다는 전문도서관간의 상호협력이 보다 활발했기 때문이며 아울러 공동활용의 성패에 영향을 주는 공동수서까지도 원만하게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주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