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Qi Theory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3초

동무(東武)와 노사(蘆沙)의 사상적(思想的) 연계 가능성에 대한 고찰 -이기(理氣)관계를 중심으로- (A discussion on the philosophical associations between Dongmu (東武) and Nosa (蘆沙): an approach based on the Li-Qi (理-氣) theory)

  • 이준희;고병희;이의주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23
    • /
    • 2011
  • 1. Objectives: This study reviews the general theory on Li-Qi (理-氣) found in Dongmu Lee Jema (東武 李濟馬) and Nosa Gi Jeongjin (蘆沙 奇正鎭)'s works and explores the associations between their philosophical systems. 2. Methods: The main ideas on Predisposition (氣稟論) found in Dongmu's works were explored in connection with the Li-Qi (理-氣) theory and compared with the perspectives suggested by Nosa. 3. Results and Conclusions 1) Nosa criticized the "weakened supervision of Li (理)" and the "separation of Li (理) and Qi (氣)", proposing that this problem can be overcome through "mutual embracement of Li and its manifestations (理分圓融 理分相涵)". 2) When Dongmu's theory on Predisposition (氣稟論) is interpreted in terms of Li-Qi (理-氣), the Seong-Li (laws governing the organ scheme) (性理(臟理)) represents the Li (理) while the formational variations in organ scheme(臟局短長) and and the level of self-cultivation (心地淸濁) represents the Qi (氣). 3) The concept of "Diversification of Li (理之異)", bearing similarities to Nosa's Li-Qi (理-氣) theory,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Dongmu's theory on Predisposition (氣稟論), which presumably built the fundamental theories in the Sasang Constitutional Typology. 4) Within Dongmu's theory of Predisposition (氣稟論) can be found a dichotomous division of "similitude between the morally unaccomplished and the morally accomplished" in the ontological plane and "dissimilitude between the morally unaccomplished and the morally accomplished" in the axiological plane; this dichotomy is more extensive and developed compared to Nosa's attempt to find a consistent logic in both the ontological and axiological plane through a Li-Qi (理-氣) structure with Li-predominance.

신유학(新儒學), 장횡거(張橫渠)의 기일원론(氣一元論)과 이동원(李東垣)의 내상학설(內傷學說) (Neo-confucianism(新儒學), Zhang Heng-qu(張橫渠)'s Qi-monism(氣一元論) and Li Dong-yuan(李東垣)'s Theory of Internal Injury(內傷學說))

  • 이용범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18
    • /
    • 2013
  • Objective : This paper was designed to confirm the relation between Li Dong-yuan(李東垣)'s theory of internal injury(內傷學說) and Neo-confucianism(新儒學)'s academic orientation, particularly Zhang Heung-qu(張橫渠)'s 'Qi-monism(氣一元論)'. Method : Through a comparative literature review, I searched for the commonality between Li Dong-yuan(李東垣)'s theory of internal injury(內傷學說) and Neo-confucianism(新儒學)'s academic orientation, particularly Zhang Heung-qu(張橫渠)'s 'Qi-monism(氣一元論)', and also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meaning of 'Primordial Qi(元氣)' in Qi-monism and that Lee Dong-yuan proposed. Result & Conclusion : The central theme of Neo-confucianism, 'Staying on the Golden Path(允執厥中)', has a commonality with Li Dong-yuan's theory of internal injury that emphasized Primordial Qi, and the concepts of "Great Vacuity as Qi(太虛卽氣)", "Two Properties Inherent in a Single Object(一物兩體)", and "the Nature of Acquired Disposition(氣質之性)" have commonality with the concepts of "The Given from the Vacuity of Natural World(所受於天)", Up & Down Movement(升降運動), and Yin Fire(陰火) of Primordial Qi in Li Dong-yuan's theory of internal injury respectively. However, the concept of Primordial Qi in the Theory of Qi-monism refers to the building blocks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whereas the concept of Primordial Qi that Li Dong-yuan proposed has no meaning of component of body but driving force that maintains the phenomenon of life.

愚潭丁時翰心性論淺析 - 以退溪, 栗谷, 愚潭比較為中心 (On Woodam Jeong Si-Han's Xin and Xing Theory)

  • 洪軍
    • 한국철학논집
    • /
    • 제27호
    • /
    • pp.447-468
    • /
    • 2009
  • 愚潭丁時翰(1625-1707)是朝鮮朝中期退溪學派的主要代表人物之一, 他一生隱居求志躬行心得為後世儒者所敬仰。 作為近畿主理論學者他同李玄逸(1627-1704, 字翼升, 號葛庵)一起, 對退溪的四七理論作了積極維護和系統闡述。 本文從比較的角度, 對愚潭的理氣說, 四端七情說, 人心道心說進行了簡要論述。 儘管他在理氣關係及四七理論的解釋上有些折衷退溪與栗谷思想之傾向, 但是從四七說以及對理氣關係的主僕, 上下位關係的解釋中我們還是可以看出其基於退溪的尊理貶氣, 理氣互發之義上的為學特色。 在人心道心說方面的特點在於, 其對朱子所講的實然之"心"的重視。

장현광 성리설의 연원에 대한 고찰 - 나흠순 성리설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ources of Jang Hyeongwang's Theories of Li and Ch'i)

  • 김용헌
    • 동양고전연구
    • /
    • 제41호
    • /
    • pp.7-35
    • /
    • 2010
  • 나흠순의 이기일물론과 인심도심성정설은 장현광의 성리설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장현광의 경위설은 리기불상리의 원칙에 충실하다는 점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나흠순의 이기일물설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없지 않다. 그러나 장현광의 이기경위설은 나흠순의 이기일물설과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첫째, 장현광이 리와 기가 두 가지 존재가 아님을 강조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의 이론체계에서 리와 기는 내용적 일치의 관계에 있지 않다. 둘째, 장현광의 철학체계에서 최고 범주는 어디까지나 리라는 점이다. 그의 이기론이 지닌 이러한 특징은 나흠순의 이기설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면모이다. 장현광이 도심을 성, 인심을 정으로 본 것은 나흠순의 인심도심성정설의 영향이 분명하다. 다만 그는 체는 용을 겸할 수 있다는 논리로 도심이 미발뿐만 아니라 이발도 겸한다는 논리를 펼쳤기 때문에 그의 인심도심설이 나흠순의 설의 단순한 답습이라고 하기 어렵다. 더욱이 공과 사를 기준으로 도심과 인심을 구분한 인심도심공사설은 인심과 도심을 모두 이발의 정 층위에서 이해했다는 점에서 나흠순의 인심도심성정설과는 차원을 달리한다. 그렇다면 장현광 성리설의 형성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한 마디로 장현광의 철학이론은 호발설을 비판하는 맥락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주된 철학적 관심사는 리(사단 도심)와 기(칠정 인심)를 두 근본으로 여기는 학설을 비판하고 리와 기를 하나로 통합하는 철학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결국 리기경위설로 대표되는 그의 성리설은 당시 조선유학계의 학문적 상황에 대한 고민의 산물이었다는 결론이 가능하다.

『의관(醫貫)』에서 명문진군(命門眞君) 개념의 도출(導出)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eduction of the Concept of Mingmen(命門) as the Monarch of the Body)

  • 殷晳玟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9-93
    • /
    • 2021
  • Objectives : This study analyzes the theoretical and clinical reasoning process of Zhao Xian-Ke that argued that the Mingmen is the true monarch of the body. Methods :The analysis focuses on how the arguments of Li Dong-yuan and Zhu Danxi was succeeded and supplemented by Zhao Xian-Ke into a new theoretical system in the Yiguan(醫貫). Results & Conclusions : Zhao's argument that the Mingmen is the true monarch of the body is a result of emphasis on the meaning of innate Qi that is separate from the Water and Fire of the Heart and Kidney, which is derived from the innate Qi concept of Li Dong-yuan's Spleen-Stomach Theory. Zhu Danxi's Ministerial Fire Theory was also accepted through the innate Qi concept of Ministerial Fire and True Yin, which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al theory on Mingmen, Miniterial Fire, and True Yin as constituents of innate Qi. In conclusion, the Neijing's explanation that the Heart radiates Shenming as the monarch organ has been modified into innate Qi from the Mingmen reaching the Heart to radiate Shenming.

기품론(氣稟論)에 관(關)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A Bibliographic Study on the Theory of the 'Qi-Pum(氣稟)')

  • 김혁;김달래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1-341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induce that the conception of 'Qi-jul(氣質) and Qi-pum(氣稟)' was introduced to the Sasang(四象) Constitutional Medicine from bibliographic study on the theory of 'Qi-pum(氣稟)'. The conclusions summerized as followings. 1. In the oriental medicine, qualitative difference of 'zheng-qi(正氣)' among the individuals, the opposing power against a disease, is regarded as constitution. Having been used as 'nature(素)', 'quality(質)' and 'character(氣質)' in the oriental medical book, the word of 'Che-Jil(體質)' was used in good earnest at the end of 'Qing(情)' dynasty. 2. The nature(性) is divided into two, original nature(本然之性) and charicteristic nature(氣質之性) in the 'New confucianism(新儒學)' and the former means a principle(理), is a pure and good thing and used as a conception of universality, the latter is a principle of character and a imperfect imitation of principle(理). 3. It was repeatedly confirmed that 'Qi-jil and Qi-pum' meant the difference among the individuals by the dispute of 'Li-Qi(理氣)' caused by Lee Hwang(李滉) and Lee Yi(李耳) and by that of 'Ho-Rak(湖洛)' in the Ch'o-son(朝鮮) dynasty. 4. Han Sok-Ji, based on Meng-Zi(孟子)'s doctrine that man's inborn nature is good, criticized the theory of 'Qi-pum' which was 'Zhu-Zi(朱子)'s opinion and his opinion about the life(命) was thought to clue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Sasang(四象)' invented by Lee Je-Ma as Park Se-Dang's theory that everyone has common nature but has different life(命). 5. By introducing the theory of 'Qi-pum' and the conception of life(命) which was understood as a special character by Han Sok-Ji and Park Se-Dang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Lee Je-Ma explained the reason why each man who was classified four constitutions, 'Taiyang'(太陽), 'Taiyin'(太陰), 'Shaoyang'(少陽), 'Shaoyin'(少陰), had the different formation of the visceral department(臟局).

  • PDF

조선 유학자들에 비친 여헌의 인물됨과 학문 (Yeoheon's Personality and Learn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Joseon Confucian scholars)

  • 장숙필
    • 동양고전연구
    • /
    • 제57호
    • /
    • pp.67-102
    • /
    • 2014
  •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1554-1637)은 17세기 전반기 영남유학을 대표하는 산림처사이자 철학자이다. 그는 당대 지식인들로부터 진정으로 군자다운 사람, 아동(我東)의 공자(孔子), 심지어 신인(神人), 성인(聖人)으로까지 칭송되었으며, 사문(斯文)의 주석(柱石), 사림의 의범(儀範)으로 인정받았다. 경세가로서의 그의 모습은 두 차례의 지방관에서는 유가적인 도덕정치, 즉 민생안정과 교화의 정치를 실현한 인물로 평가되었고, 산림으로 초빙되었을 때는 왕으로부터 바르고 어질고 겸손하고 검소하여 옛사람의 풍도(風度)가 있다고 평가받았으며, 학자들로부터는 당대 정치의향배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되었다. 그의 학문은, 이학(易學)에 있어서는 철저하게 정주학에 근본하면서도 정주의 해석을 넘어서는 업적을 세웠으며, 우주사업은 실천학으로서의 유학의 성격을 밝혔고, 예설은 회암(晦庵)의 유서(遺書)를 따르되 고예(古禮)를 서로 참조하여 말속(末俗)의 오류를 씻어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성리설의 경우, 퇴율이후의 당파성을 넘어서서 이기사칠설(理氣四七說)의 본질을 밝힘으로써 실천지학으로서의 유학 본연의 가치를 회복하기 위해 제시된 이기경위설(理氣經緯說)은 그것이 퇴계의 호발설과 합치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영남의 퇴계학파 및 근기남인에 의해 비판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여헌의 학문은 조선유학이 주이(主理),주기(主氣)로 대분되는 단편적인 것이 아니라 보다 입체적이고 다양한 모습을 갖춘 것임을 확인시켜주며, 또한 그의 우주사업과 노인사업은 조선유학의 도덕론이 단순히 공리공론이 아닌 실천적인 것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동원(李東垣) 『비위론(脾胃論)』에 담겨 있는 생리기반이론 (Basic Principles of the 『Spleen-stomach theory』 by Li Dong-yuan)

  • 최희윤;김광중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11-920
    • /
    • 2010
  • The basic principles in the "Spleen-stomach theory(脾胃論)" sets up the phases and roles of spleen-stomach (脾胃) by establishing Earth(地 坤 土) and exposing the reality of spleen-stomach(脾胃) of human body which has its own shape and form with Heaven's reality exhibited. The meaning of Earth is based on the constant meaning of Earth in 'Earth Original-Earth as extended and stable ground(坤元一正之土)' giving form and shape, and Earth's movement with circulation, then exposes itself as 'Earth as plowing land(耕種之土)' concerning both the application of Five Phases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rth. The Yin-Yang recognition on Earth is revealed as Yin Earth(陰土)-Yang Earth(陽土). Spleen(脾) was established as Yin Earth(陰土) and Stomach(胃) as Yang Earth(陽土). The seasonal assignment of Earth is Indian Summer(長夏), which is divided from Summer, and becomes Heat(熱), and the Yin-Yang recognition of Earth comes to be the meaning of the center and border. According to the Five Phasic recognition, it becomes Earth(土) and gets to be Dampness(濕) in accordance with Six Qi(六氣). 'Extreme Yin(至陰)' indicates Qi's status exposing the fundamental meaning regarding the role of creating, changing, and propelling Spleen-Stomach(脾胃) as a characteristic Yin Earth. Earth comprehends 'Four Courses(四維)' meaning, recognizes them as four parts of the 12 Earth's Branches(辰戌丑未) and the terminals of four seasons(四季之末), and has the meaning of the president of the change in four seasons. The theory of principle in the "Spleen-stomach theory(脾胃論)" stands on the basis of the 'Form Qi theory(形氣論)' and that of 'Upbearing, Downbearing, Floating, and Sinking theory(升降浮沈論)'. It manifests the theory of movement in the interaction between Form(形) and Qi(氣), and 'Qi Interior Form Exterior(氣裏形表)' indicates that Qi(氣) moves interiorly and Form(形) exteriorly.

태극권(太極拳)의 원리(原理)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f theory of Tae-Geuk-Guan)

  • 나대관;오민석;송태원
    • 혜화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87-295
    • /
    • 2001
  • Tae-Geuk-Guan'(太極拳) Tae-Geuk(太極) is arranged Yum-Yang-O-Hang(陰陽五行) and created from Mu-geuk(無極). Mu-geuk(無極) means great chaos. Jin-sik Tae-Geuk-Guan(陳式太極拳) has tenth essential theory. There are Li(理), Qi(氣), Samjul(三節), Sacho(四稍), Ojang(五臟), Samhap(三合), Yukjin(六進), Sinbup(身法), Bobup(步法), Gangyou(剛柔). Li(理) is Rules of all things. Qi(氣) is body. Body is divided into Samjul(三節), Sacho(四稍). Ojang(五臟) is inside body and make human'body and Qi(氣). Samhap(三合) is union of mind & intention, Qi & power, muscle & bone. Yukjin(六進) is movement of body. Sinbup(身法) has Chong(縱), Hoeng(橫), Ko(高), Jeo(低), Jin(進), Toe(退), Ban(反), Chuk(側). Bobup(步法) has Jin(進), Toe(退), Ban(反), Chuk(側). Yang-sik Tae-Geuk-Guan(揚式太極拳) has tenth essential theo. There are Songyo, Heolungjungkyung(虛靈頂勁), Hamhungbalbae(含胸拔背), Chimgyunsuju, Bunheosil(分虛實), Yongeuibulyonglyuk(用意不用力), Sanghasangsu(上下相隨), Naeoeisanghap(內外相合), Sangyunbudan(相連不斷), Dongchungguchung(動中求靜).

  • PDF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의 심설(心說)과 척사논리(斥邪論理)의 상관(相關) 관계(關係) (A study on the mutual relation between logic of Simjuriseol and the movement to "reject heterodoxy" of Yi, Hang-no)

  • 박성순
    • 동양고전연구
    • /
    • 제34호
    • /
    • pp.257-286
    • /
    • 2009
  • 이항로는 태극(太極), 즉 이(理)가 지닌 주재(主宰)와 묘용(妙用)의 측면을 적극적으로 강조하면서 그것을 명덕(明德), 즉 심의 본질이라고 하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그것은 리와 기를 상보적인 것으로 보는 기존의 심설에서 벗어나 리와 기의 차별성을 보다 분명히 하고자 함이었다. 특히 그는 학문의 목표는 대인(大人)의 경지에 오르는 것이며, 그것은 먼저 인심과 도심의 구별에서 출발하는 것임을 말하고자 한 것이다. 즉 인심과 도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은 서세동점(西勢東漸)이라고 하는 당시의 특수한 상황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이항로는 리로 표현되는 물아일체적(物我一體的) 도덕률(道德律), 즉 천명의식(天命意識)을 부정하고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는 서양인들의 윤리관에 대해서 반대하고 있었다. 이항로는 그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태극이 곧 우리 마음의 본체라는 점을 일깨우려고 한 것이다. 그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도덕심(道德心)이란 것은 인간이 사사로이 거스를 수 없는 태극의 원리, 즉 천명(天命)'이라는 사실이었다. 이와 같이 이항로가, 인간이 사사로이 거부할 수 없는 도덕심의 당위성을 강조한 것은, 그것 이외에는 당시 조선사회를 격동시키던 서양 문화의 힘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병인양요(丙寅洋擾)(1866)가 발생하자, 이항로는 동부승지로 발탁되어 상소(上疏)와 주차(奏箚) 등을 통해서 척사의 방책을 진달하였다. 평소 인심과 도심의 구분을 통해서 인간으로서의 도심을 준수해야 한다고 역설한 그의 주장은 척사 상소에서도 그대로 전개되었다. '양이(洋夷)'의 침투에 맞서 주전론(主戰論)과 통상불가론(通商不可論) 등을 피력한 이항로의 척사소는 그 궁극적인 해결책으로서 군주의 도심을 강조하는 형식을 띠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항로의 심설은 그대로 병인양요 때에 제시된 척사소에 반영된 것이다. 이것은 이론과 실천이 일치될 수밖에 없었던 이항로 심주리설의 특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