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Hak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5초

상산심학과 양명심학의 차별성 연구 - '송학'과 '명학'의 차별적 관점에서 - (The research about difference between Sangsan-Simhak and Yangming-Simhak -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between 'Song-Hak' and 'Ming-Hak'-)

  • 이상호
    • 철학연구
    • /
    • 제105권
    • /
    • pp.321-350
    • /
    • 2008
  • 이 논문은 '상산 심학'과 '양명 심학'의 차이를 '송학'과 '명학'이라는 차별성을 가지고 규명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산학을 양명학의 전단계 학문정도로 이해하는 일반적 인식에서 벗어나 전체 성리학사에서 독자성을 가진 철학체계로 자리매김 시키려 했다. 이것은 전체 성리학사를 '리학'과 '심학'으로 이해하는 일반적 인식에서 벗어나, 시대적으로 변모된 철학적 패러다임에 근거해서 성리학의 전개를 이해하려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은 흔히 성리학을 리학과 심학으로 나누고, 전자를 정주학으로 후자를 육왕학으로 보는 일반적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렇게 되면서 상산학은 양명학의 전단계 학문으로만 인식되어, 전체 성리학사에서 독자적인 자리매김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상산학은 주자학과는 철학적으로 대척점에 선 것으로 이해되면서, 이 둘 사이에는 이론적 동일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했다. 그러나 상산학은 '리학'적 패러다임이 일반화 되어 있던 '송학'의 배경 속에서 탄생되었으며, 양명학은 '기학'적 패러다임이 일반화 되어 있던 '명학'의 배경 속에서 탄생하였다. 이와 같은 '송학'과 '명학'의 차이는 실제 이들을 같은 학문으로 규정하게 하는 '심즉리心卽理'라는 명제에서도 의미 차이를 발생시킬 수밖에 없는데, 대부분의 연구는 바로 이 점을 간과하였던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송학'과 '명학'의 철학적 차이점을 먼저 규명하고, 이것을 중심으로 상산학과 양명학을 같은 계통의 철학체계로 이해하게 했던 '심즉리'라는 명제가 가진 함의를 각각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심즉리'의 개념이 어떻게 수양론에 적용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산학과 양명학의 철학 차이를 확인하고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리학'적 패러다임에 바탕한 '송학'과 '기학'적 패러다임에 바탕한 '명학'의 '리'의미 해석에 초점을 맞추어서, 여기에 대한 의미 차이가 '심즉리'의 의미 차이로 드러난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주자학과 상산학이 가지고 있는 '송학'적 패러다임의 특징과 양명학이 가지고 있는 '명학'적 패러다임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논증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산학은 양명학의 전단계 학문이 아니라, 그 자체의 체계성을 갖춘 성리학으로 자리매김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산대셈 개방법(開方法)에 대한 《산학정의》의 독자적 성취: 어림수[상(商)] 배열법 개선을 통한 증승개방법(增乘開方法)의 정련(精鍊) (The Unique Achievement of 《SanHak JeongEui 算學正義》on KaiFangFa with count-wood: The refinement of ZengChengKaiFangFa through improvement of estimate-value array)

  • 강민정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273-289
    • /
    • 2018
  • The KaiFangFa開方法 of traditional mathematics was completed in ${\ll}$JiuZhang SuanShu九章算術${\gg}$ originally, and further organized in Song宋 $Yu{\acute{a}}n$元 dinasities. The former is the ShiSuoKaiFangFa釋鎖開方法 using the coefficients of the polynomial expansion, and the latter is the ZengChengKaiFangFa增乘開方法 obtaining the solution only by some mechanical numerical manipulations. ${\ll}$SanHak JeongEui算學正義${\gg}$ basically used the latter and improved the estimate-value array by referring to the written-calculation in ${\ll}$ShuLi JingYun數理精蘊${\gg}$. As a result, ZengChengKaiFangFa was more refined so that the KaiFangFa algorithm is more consistent.

KaiFangShu in SanHak JeongEui

  • 홍성사;홍영희;김영욱;김창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13-218
    • /
    • 2013
  • This paper is a sequel to the paper [8], where we discussed the connection between ShiShou KaiFangFa originated from JiuZhang SuanShu and ZengCheng KaiFangFa. Investigating KaiFangShu in a Chosun mathemtics book, SanHak JeongEui and ShuLi JingYun, we show that its authors, Nam ByungGil and Lee SangHyuk clearly understood the connection and gave examples to show that the KaiFangShu in the latter is not exact. We also show that Chosun mathematicians were very much selective when they brought in Chinese mathematics.

지상 LiDAR자료를 이용한 사면변화 탐지 (Slope transformation detection by using Terrestrial LiDAR data)

  • 박건;양인태;최승필;김성학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318-323
    • /
    • 2008
  • 국부적이지만 수 mm단위까지 스캔이 가능한 지상LiDAR 장비를 이용하여 사면을 스캐닝한 후에 사면의 6개 지점에 대하여 강제로 변화를 준 후 다시 스캐닝하여 분석한 결과 0.008m의 평균편차를 나타내었다. 이것을 볼 때 미세변화 탐지를 위한 기법으로 지상 LiDAR자료의 적용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