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uconostoc sp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18초

발아현미 추출분말 첨가 배추김치의 발효 중 품질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of Korean Cabbage Kimchi add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Powder During Fermentation)

  • 우승미;정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48-654
    • /
    • 2006
  • 동결건조 시킨 발아현미 추출분말(GBREP) 첨가량을 0, 0.67, 3.35 및 6.70%(w/w)로 각각 달리하여 담근 배추김치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H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꾸준히 감소하였고 총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은 담금 직후 GBREP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구간들의 총당 함량이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은 발효 3일째 약간 증가한 후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Leuconostoc sp.은 발효가 진행됨에 띠라 꾸준히 증가하여 발효 12일째 최대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였고 Lactobacillus sp.은 발효 12일째 최대치를 나타낸 후 일정한 균수를 유지하였다. 관능적 기호도에서는 GBREP 3.35% 첨가구에서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ng-term Fermented Kimchi

  • Nam, Min-Hee;Kong, Chang-Suk;Bak, Soon-Sun;Lee, Yang-Bong;Rhee, Sook-Hee;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46-50
    • /
    • 2007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long-term fermented kimchies which are widely available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commercial long-term fermented kimchies were fermented almost more than 6 months. Average values for saltiness, pH and acidity of the long-term fermented kimchies were $3.0{\pm}0.5%$, $4.0{\pm}0.2$, and $1.88{\pm}0.76%$, respectively. The long-term fermented kimchi showed similar Leuconostoc sp. and Lactobacillus sp. counts as baechu kimchi ripened properly during fermentation. The amount of Leuconostoc sp. and Lactobacillus sp. of the long-term fermented kimchi were $10^{7\sim8}$ CFU/mL and $10^{4\sim7}$ CFU/mL, respectively. The long-term fermented kimchi showed $0.32{\pm}0.18$ lightness, $1.73{\pm}0.98$ redness, $0.52{\pm}0.31$ yellowness. Long-term fermented kimchi showed higher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than well-fermented standardized baechu kimchi. Breaking strength of long-term fermented 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well-fermented standard baechu kimchi.

가열 및 비가열 처리 액젓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특성 비교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Anchovy Sauce from Heat and Non-heat Treatments)

  • 강현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9-58
    • /
    • 2013
  • 본 연구는 가열 및 비가열 처리 액젓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을 평가한 것으로 염도를 측정하였을 때 가열 처리 액젓 첨가 김치보다 비가열 처리 액젓 첨가 김치가 0.2% 높았고 pH는 0.09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무기질 분석에서 Ca과 Fe 함량은 비가열 처리 액젓 첨가 김치가 높았고 P, Zn, Na 함량은 가열 처리 액젓 첨가 김치가 높았다. 또한, 환원당은 비가열 처리 액젓첨가 김치에서 수치가 가장 높았고 히스타민 함량은 가열 처리 액젓 첨가 김치가 낮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총 균수와 2종류의 유산균을 실험하였을 때 총 균수는 비가열 처리 액젓을 첨가한 김치에서 많이 검출 되었지만 2종류의 유산균을 비교하였을 때는 가열 처리 액젓의 김치가 더 높았다. 본 결과는 가열 처리한 액젓을 첨가한 김치가 제조 시 대부분의 무기질 및 유산균 등에 좋은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하였으나 향후 다양하고 명확한 분석법을 확립하여 김치 첨가제로써 액젓에 대한 최적의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 후 식품산업 및 조리에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발아현미 농축액 첨가 김치의 숙성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the Kimchi with Addi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Concentrate during Fermentation)

  • 우승미;장세영;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7-394
    • /
    • 2005
  • 발아현미 농축액(GBRC) 첨가량을 0, 1, 3 및 $5\%$(w/w)로 각각 달리하여 담근 배추김치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H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총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은 담금 직후 GBRC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구간들의 총당 함량이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은 발효 3일째 약간 증가한 후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Leuconostoc sp.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여 숙성 12일째 최대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Lactobacillus sp.은 숙성 9일째 최대치를 나타낸 후 일정한 균수를 유지하였다. 관능적 기호도에서는 발효전반에 걸쳐 GBRC $1\%$ 첨가구에서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Metabolic Flux Shift of Weissella kimchii sk10 Grown Under Aerobic Conditions

  • Park, Sun-Mi;Kang, Hye-Sun;Park, Doo-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919-923
    • /
    • 2004
  • The sk10 isolated from kimchi was identified as W. kimchii on the basis of l6s-rDNA sequencing. Studies were made to analyze the metabolic flux shift of the sk10 on glucose under aerobic growth conditions. The sk10 produced 38.2 mM acetate, 16.3 mM ethanol, and 33.2 mM lactate under aerobic conditions, but 2.4 mM acetate, 48.0 mM ethanol, and 44.1 mM lactate under anaerobic conditions. The NADH peroxidase (NADH-dependent hydrogen peroxidase) activity of sk10 grown under aerobic conditions was 11 times higher than that under anaerobic conditions. Under the low ratio of $NADH/NAD^+$, the metabolic flux toward lactate and ethanol was shifted to the flux through acetate kinase without NADH oxidation. The kinds of enzymes and metabolites of sk10 were close to those in the pathway of Leuconostoc sp., but the metabolites produced under aerobic growth condition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Leuconostoc sp. The stoichiometric balance calculated using the concentrations of metabolites and substrate was about 97%, coincident with the theoretical values under both 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s.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metabolic flux of W. kimchii sk10 was partially shifted from lactate and ethanol to acetate under aerobic conditions only.

감태 첨가가 배추김치의 숙성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cklonia cava on the Quality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이현아;송영옥;장미순;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3-88
    • /
    • 2013
  • 감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5^{\circ}C$에서 28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pH와 산도, 젖산균수 변화, 환원당 함량, 색도의 변화 및 관능성을 측정하였다. pH 및 산도는 담근 초기에는 감태 첨가량이 많을수록 pH는 낮아지고 산도는 높았다. 그러나 감태 첨가량이 많을수록 pH가 완만하게 감소되어 감태 첨가 김치의 발효숙성이 더디어짐을 알 수 있었다. Leuconostoc sp.와 Lactobacillus sp. 등의 젖산균수는 담금 초기에는 감태 첨가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발효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Leuconostoc sp.의 경우 배추김치는 숙성 16일째, 감태 첨가 김치에서는 숙성 20일째까지 그 수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환원당 함량에서는 감태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환원당의 함량도 높았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군에서의 환원당 함량이 감소되었다. 감태 첨가 김치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명도가 감소하였고, 감태김치의 적색도는 적숙기까지는 증가하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생김치일 때 관능적 특성을 보면 전체적인 선호도는 감태를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배추김치보다 높았고, 감태 첨가량에 따른 선호도는 15%가 가장 높았다. 적숙기 상태의 김치에서도 생김치일 때와 동일하게 감태 15% 첨가 김치의 평가가 가장 좋았다.

김치에서 분리한 Leuconostoc속의 RAPD 법을 이용한 유전적 변이도 추론 (Studies on the Genetic Diversity using RAPD in Leuconostoc sp. Isolated from Kimchi)

  • 김은경;류춘선;소명환;김영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63-1066
    • /
    • 1997
  • 김치에서 분리한 Leuconostoc속 4종 34주를 RAPD-PCR방법으로 분석하여 기존의 동정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상사도 0.5이상의 수준에서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및 L.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균주들은 각 각 3 및 2의 cluster를 형성하였고 L. paramesenteroides 및 L. lactis는 각 각 하나의 cluster를 형성하였다. 각 각의 표준 균주들도 같은 종 혹은 아종의 cluster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a 및 b cluster의 상사도는 0.2 이하의 수준이며 c cluster는 이들과 상사도가 더욱 낮아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균주들은 유전적 상사도가 낮은 다양한 종류의 집단임을 추정 할 수 있었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ome Promoter Sequences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SY2 Isolated from Kimchi

  • Park, Ji Yeong;Jeong, Seon-Ju;Kim, Jeong A;Kim, Jeong 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9호
    • /
    • pp.1586-1592
    • /
    • 2017
  • Some promoters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from the genome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SY2, an isolate from kimchi,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vegetable. Chromosomal DNA of L. mesenteroides SY2 was digested with Sau3AI and ligated with BamHI-cut pBV5030, a promoter screening vector containing a promoterless cat-86. Among E. coli transformants (TFs) resistant against Cm (chloramphenicol), 17 were able to grow in the presence of $1,000{\mu}g/ml$ Cm and their inserts were sequenced. Transcription start sites were examined for three putative promoters (P04C, P25C, and P33C) by primer extension. Four putative promoters were inserted upstream of a promoterless ${\alpha}$-amylase reporter gene in $pJY15{\alpha}$. ${\alpha}$-Amylase activities of E. coli TFs containing $pJY15{\alpha}$ (control, no promoter), $pJY03{\alpha}$ ($pJY15{\alpha}$ with P03C), $pJY04{\alpha}$ (with P04C), $pJY25{\alpha}$ (with P25C), and $pJY33{\alpha}$ (with P33C) were 66.9, 78.7, 122.1, 70.8, and 99.3 U, respectively. Cells harboring $pJY04{\alpha}$ showed 1.8 times higher activity than the control. Some promoters characterized in this study might be useful for construction of food-grade expression vectors for Leuconostoc sp. and related lactic acid bacteria.

Amylase와 Protease의 활성이 높은 현미 발효 미생물의 선별 (Screening for Fermentative Microorganisms that Grow on Brown Rice with High Amylase and Pretense Activities)

  • 김기연;김희규;송병철;차창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0-163
    • /
    • 2006
  • 현미는 백미에 비하여 식품영양학적 가치 및 식이섬유의 함유량이 높은 쌀겨 및 배아를 포함하고 있으나 소화가 잘되지 않는 단점 이 있다. 따라서 발효현미는 소화력을 높임과 동시에 좋은 영양 공급원이 될 수 있으므로 높은 amylase와 pretense의 활성으로 현미를 발효할 수 있는 미생물을 선별하였다. 2.5%(w/v)의 현미분말을 유일한 영양원으로 한 액체배지를 생장배지로 사용하여 생장능력과 효소 생산능력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8종의 Bacillus 와 11종의 유산균 중에서 모든 Bacillus 균주와 두 종의 유산균이 생장과 효소활성을 보였다. 생균수는 $10^7CFU/mL$을 초과하였으며 Bacillus sp. Bacillus sp. B2, Bacillus sp. B11, Leuconostoc gelidum, Pediococcus pentosaceus 가 생산하는 최고 amylase 활성은 각각 17.85, 17.50, 17.10, 17.10, 3.24 U/ml이었고, 최고 pretense 활성은 각각 22.48, 22.04, 23.76, 12.13, 3.80 U/ml이었다. 따라서 이 균주들은 발효 현미 제조를 위한 접종균주로서 이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