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uconostoc sp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18초

Leuconostoc sp.에 의한 Sucrose로부터 Glucoes-1-phosphate의 생산 (The Production of Glucose-1-phosphate from Sucrose by Leuconostoc sp.)

  • 엄익춘;황기철;방원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70-576
    • /
    • 1993
  • For the production of glucose-1-phosphate from sucrose, bacteria having sucrose phosphorylase were isolated from Kimchi. Among them, JS-05, newly isolated strain having high activity of sucrose phosphorylase was selected and identified as Leuconostoc sp. The specific activity of sucrose phosphorylase of Leuconostoc sp. JS-05 was the highest when the strain was cultured at 25C for 20 hrs in the medium (pH 7.5) containing 10 g sucrose, 5g corn steep liquor, and 2.5g yeast extract per liter.

  • PDF

김치에서 분리한 Leuconostoc 속 균주들이 생산하는 Dextransucrase의 활성 (Dextransucrase Activity of Leuconostoc sp.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 한영숙;오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6-89
    • /
    • 1999
  • The liquid of ripened Kimchi was spread on phenylethylalcohol sucrose medium and incubated at 20$^{\circ}C$ for 2 days in order to isolate Leuconostoc sp. strains. Twenty isolated colonies were identified as Leuconostoc sp. strains from sugar fermentation test. Dextransucrase activities of the isolated strains were determined and the strain J-2 showed highest activity. The morphological, cultural and physiological studies on these 5 strains showed that gram(+), spores(-), motility(-) and produced gas from glucose, acid in Whittenbury C. Only Y-1 strain produced ammonia from arginine.

  • PDF

Plasmid-associated Bacteriocin Production by Leuconostoc sp. LAB145-3A Isolated from Kimchi

  • Choi, Yeon-Ok;Ahn, Che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6호
    • /
    • pp.409-416
    • /
    • 1997
  • Leuconostoc sp. LAB145-3A isolated from kimchi produced a bacteriocin which was active against food pathogens, such as Listeria monocytogenes, Enterococcus faecalis, and E. faecium. Bacteriocin production occurred during the early exponential phase of growth and was stable upto the late stationary phase of growth. Optimum conditions for bacteriocin production were $37^{\circ}C$ with an initial pH of 7.0. The bacteriocin of LAB145-3A was sensitive to proteases, but stable for solvents, pH change and heat treatment. It was stable even at autoclaving temperature for 15 min. The bacteriocin exhibited a bactericidal mode of action against Lactobacillus curvatus LAB170-12. The bacteriocin produced by Leuconostoc sp. LAB145-3A was purified by CM-cellulose cat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and Sephadex G-50 gel filtration. The purification resulted in an approximate 10,000-fold increase in the specific activity. Approximately 4% of the initial activity was recovered. Purified bacteriocin exhibited a single band on the SDS-PAGE with an apparent molecular weight of 4,400 daltons. This bacteriocin was named leucocin K. Leuconostoc sp. LAB145-3A had two residential plasmids with molecular sizes of 23 kb and 48 kb. A comparison of plasmid profiles between LAB145-3A and its mutants revealed that the 23 kb plasmid (pCA23) was responsible for bacteriocin production and immunity to the bacteriocin in Leuconostoc sp. LAB145-3A.

  • PDF

저염 오징어젓갈 숙성중 젖산균의 변화 (Changes in Lactic Acid Bacteria of Squid with Low Salt during Fermentation)

  • 조진호;오세욱;김영명;정동효;김정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08-1212
    • /
    • 1997
  • 수분활성을 조절한 오징어육으로 제조한 저염 오징어젓갈의 우점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고 숙성중 변화를 조사하였다. 우점미생물은 젖산균으로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revis, Leuconostoc sp., Pediococcus sp., Streptococcus sp.,로 동정되었으며 총균수의 80%를 차지하였다. 숙성중 Leuconostoc, Streptococcus, Pediococcus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숙성적기 이후에 급속히 감소하였으며 Lactobacillus는 숙성적기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한편, yeast는 숙성중기 이후에 검출되었으며 숙성말기에 급격히 증가하여 주로 부패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유산균 접종에 의한 하수 슬러지의 가용화 (Solubilization of Sewage Sludge by Inoc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 양현상;최정은;이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33-239
    • /
    • 2008
  • A new approach to the solubilization of excess activated sludge by the inoc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as studied to reduce the amount of sludge produced in the activated sludge treatment process. Aerobic microorganism in sludge was lysed in anaerobic condition and the cytoplasmic substance eluted was utilized as a carbon source by lactic acid bacteria. On the basis of sludge solubilization efficiency, Lactobacillus brevis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were selected the best candidates among five kinds of Lactobacillus sp. and seven kinds of Leuconostoc sp. The sludge solubilization efficiency by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was more efficient than that of homofermentative bacteria. Initial value of soluble COD (sCOD) was 1050 mg/L at the initial inoculation time increased to 3070 mg/L (192% solubilization) at 96 h of the incubation time. The inoculation of lactobacillus brevis to the sludge resulted in 2824% increase in sCOD value after 96 h of incubation than the control experiment.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showed 152% increase of solubilization and 30% increase of S-COD/T-COD on 96 h of incubation time. Considering the increase of S-COD by the inoculation of Leuconostoc sp. on 24 h, 10% inoc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to the sludge was most effectiv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listerial Bacteriocin Produced by Leuconostoc sp. W65

  • Oh, Se-Jong;Kim, Myung-Hee;Churey, John-J.;Worobo, Randy-W.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5호
    • /
    • pp.680-686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aracterize the antilisterial substances produced by Leuconostoc sp. W65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H, temperature, and time on inhibitory activit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Leucocin W65, an antilisterial substance produced by Leuconostoc sp. W65, markedly inhibited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L. innocua, and L. ivanovii, whereas other pathogens including Gram-negative bacteria were not susceptible. The pH was the most effective factor with regard to bacteriocin activity, while temperature and time of heat treat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Fifty percent of inhibitory activity remained after 22.8 min at pH 4.2 and $121^{\circ}C$. Leucocin W65 was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and tricine-SDS-PAGE. Compositional analysis originally estimated the peptide to be 56 amino acids in length without asparagine, glutamine, and tryptophane. The sequence of partial N-terminal amino acid residues of purified bacteriocin was identified as follows: $NH_{2}-XGXAGVXPXGGQQPXVPLXYP$.

야콘 첨가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과 발효 품질 평가 (Evaluation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Fermentation Qualities of Kimchi Supplemented with Yacon)

  • 이동호;지설희;한우철;이재철;강순아;장기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08-413
    • /
    • 2012
  • 본 연구는 김치에 첨가되는 야콘(Smallanthus sonchifolius)이 김치 발효 중에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과 발효 품질에 미치는 효능을 관찰하였다. 5개의 다른 야콘 농도, 즉 0.1%, 0.5%, 1%, 및 5% 농도의 야콘을 김치에 첨가하였고, 야콘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를 대조군으로 비교하였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전체 산도와 유산농도, 미생물의 수가 증가하는 반면에, pH는 김치를 담근 직후 5.5~5.7에서 21일간 발효 후에는 4.6~4.8으로 감소하였다. 야콘을 5%로 첨가한 군에서는 발효 7일째의 유산 함량이 다른 군들보다 높게 나타나 Leuconostoc 생균수 증가와 연관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5% 야콘을 김치에 첨가시 Leuconostoc sp. 등의 김치 미생물들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고압 이산화탄소에 의한 Leuconostoc sp.의 살균 효과 (Effect of High Pressure Carbon Dioxide on Inactivation of Leuconostoc sp.)

  • 홍석인;박완수;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02-1207
    • /
    • 1997
  • 가열 살균을 대체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는 새로운 비가열 살균기술로서 고압 $CO_2$, 처리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김치에서 분리한 Leuconostoc sp.를 대상 미생물로 가압 조절인자를 달리하여 이 균주에 미치는 고압 $CO_2$의 살균 효과를 검토하였다. 사용 압력과 온도,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이에 반해 작업용량은 감소할수록 균체의 사멸율이 증가하였으며, $30^{\circ}C$, $60\;kg/cm^2$$CO_2$가압 조건에서 젖산균 배양액을 $10^{-3}$만큼 감균하는데 약 150분이 소요되었다. 실험 결과로부터 고압 $CO_2$에 의한 미생물 살균은 기본적으로 $CO_2$의 세포내 침투에 의해 좌우되며, 따라서 세포 내부로의 $CO_2$ 전달 과정이 전체적인 살균 효율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단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부추김치와 배추김치 발효양상 (Fermentation Patterns of Leek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 안순철;김태강;이헌주;오윤정;이정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4-238
    • /
    • 2001
  • 배추김치와 부추김치의 발효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20^{\circ}C$$10^{\circ}C$로 나누어 발효과정 중의 총 균수, 젖산균 수, pH 및 총 당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20^{\circ}C$에서 발효한 배추김치의 경우 총 균수와 Leuconastoc속과 Lactobacillus속 젖산균 모두 발효 초기인 2일째에 최대에 도달하다가 그 이후에는 점점 감소하였다. 그러나 $20^{\circ}C$에서 발효한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Leucanostoc속은 발효 3일째에 최대에 도달한 후 점차 감소하였지만 Lactobacillus속은 발효 15일 이후까지 그 균수가 유지되었다. $10^{\circ}C$에서 발효한 경우에는 배추김치, 부추김치 모두 $20^{\circ}C$에서 발효한 경우보다 Leuconostoc속과 Lactobacillus 속의 균수가 서서히 중가하다가 감소하였다. pH 변화는 배추김치 경우에는 3일 후에 적숙기 김치의 pH인 4.2 부근에 도달한 후 발효 5일째에 3.5 까지 낮아져 그 후에도 계속 유지되었으나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발효 10일째까지 적숙기 김치의 pH인 4.2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10^{\circ}C$의 경우 배추김치는 6일 후 pH 4.2 정도였으나 부추김치는 24일 후에도 pH 4.2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발효 기간에 따른 총 환원당의 함량은 배추김치와 부추김치 모두에서 발효초기부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감소하였지만 $10^{\circ}C$에서 발효한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감소정도가 매우 완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부추김치가 배추김치보다 젖산균의 종식이 더디어 배추김치에 비해 발효가 서서히 진행됨을 알았다.

  • PDF

김치의 보존성 증진을 위한 자초.감초의 혼합 첨가와 Chitosan 침지 효과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Glycyrrhiza uralensis and Dipping of Chitosan on Shelf-life of Kimchi)

  • 이신호;조옥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67-1372
    • /
    • 1998
  • 한약재 혼합 효과와 chitosan 병용효과가 김치의 보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초·감초 추출액 혼합 첨가(LG)와 절임 배추를 1% chitosan 용액에 침지 후 혼합 한약재를 첨가한 김치(LGDC)를 $10^{\circ}C$에서 25일간 발효시키면서 김치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김치 숙성 중 pH, 산도 총균수, 유산균수, 유산균 분포의 변화, 색택, 기호성을 대조구와 비교한 결과, LG군과 LGDC군은 대조구와 비교시, pH 감소속도는 완만하였고, 산도증가도 더 낮게 나타났으며, 총균수, 유산균수, Leuconostoc sp., L. plantarum 균수의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LGDC군은 그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특히 Leuconostoc sp., L. plantarum과 김치 유산균에 대해 초기부터 높은 억제능을 나타내었으며 이로써 chitosan에 대한 유산균 특이성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김치의 관능검사 결과 신맛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향, 종합적 기호도 등은 대조구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자초, 감초 및 chitosan은 김치 숙성을 지연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