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ptotrombidium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6초

Serosurveillance of Scrub Typhus in Small Mammals Collected from Military Training Sites near the DMZ, Northern Gyeonggi-do, Korea, and Analysis of the Relative Abundance of Chiggers from Mammals Examined

  • Kim, Heung-Chul;Lee, In-Yong;Chong, Sung-Tae;Richards, Allen L.;Gu, Se-Hun;Song, Jin-Won;Lee, John S.;Klein, Terry 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8권3호
    • /
    • pp.237-243
    • /
    • 2010
  • Comprehensive quarterly serosurveillance on scrub typhus in small mammals collected from military training sites located near the Demilitarized Zone (DMZ),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ROK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rodent-borne and associated ectoparasite disease risks to military personnel. A total of 1,196 rodents and insectivores representing 8 species, Apodemus agrarius (87.3%, n = 1,044), Mus musculus (5.4%, n = 65), Crocidura lasiura (3.3%, n = 40), Microtus fortis (2.6%, n = 31), Micromys minutus (0.3%, n = 4), Tscherskia triton (0.3%, n = 4), Rattus norvegicus (0.3%, n = 4), and Myodes regulus (0.3%, n = 4) were assayed for the presence of antibodies to Orientia tsutsugamushi. O. tsutsugamushi antibodies were detected in 6 of 8 species and seroprevalence determined; A. agrarius (45.6%), M. musculus (23.1%), M. fortis (48.4%), M. minutus (50.0%), T. triton (50.0%), and R. norvegicus (25.0%). A total of 31,184 chigger mites collected from 508 rodents and insectivores were slide-mounted and 10 species belonging to 4 genera were identified. Leptotrombidium pallidum (53.4%) wa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followed by L. pal pale (15.7%), Neotrombicula tam/yai (14.3%), L. orientate (10.7%), L. zetum (3.1%), Walchia fragilis (2.1%), and L. gemiticutum (0.8%), while the remaining 3 species, L subintennedium, N. gardellai, and Euschoengastia koreaensis were rarely observed (prevalence < 10%). In contrast to previous surveys, higher chigger indices of the primary scrub typhus vectors, L. pallidum (165.4), L. orientale (45.0), and L. palpate (21.4), were observed during the spring season.

한반도 중남부 내륙지방에서의 쭈쭈가무시병 혈청형과 매개종의 지리적 분포상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ectors and sero-strains of tsutsugamushi disease at mid-south inland of Korea)

  • 이한일;이인용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171-180
    • /
    • 1997
  • 쭈쭈가무시병을 매개하는 털진드기에 대한 연구는 주로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의 중부지방과 전 북. 전남 및 경남 등 남부지방에서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저자들은 지금까지 전혀 연구된 바 없는 중남부 내륙지t:1 12개 지역에서 들쥐와 털진드기를 채집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채집된 총 177개체의 들쥐 중 등줄쥐(Aponemwosrulif)가 154(87.0%)였다. 들쥐에 기생 고 있던 털진드기 25.707개체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14종이 확인되었는데 대잎털진드기 (Leptotrombidium pallidum)가 79.8%로 우점종이었고. 다음이 수염털진드기(1.pohole)로 8.9% 였다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인 대잎털진드기가 12개 조사지역 중 11개 지역에서 우점종이었고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인 상주시 초오 2동의 chigger index는 201.8이었고 가장 낮은 지역인 충주시 단월동은 40.7이었다 또 활순털진드기(L. scueuaye)의 경우 김천시 운수리에서만 chigger index 61.6으로 높은 개체군 밀토를 보였고 금릉군 여배리와 미평리에서는 각각 1.4와 1.2였으며 기타 지역에서는 극소수 채집되었거나 전혀 채집되지 않았다 활순털진드기 서식 북방 한계선은 전북 익산군 - 충남 공주군 - 경북 김천시 - 경북 경주시 - 경북 영덕군으로 연평균기온이 $10.0^{\circ}C$ 이상인 지역과 일치하였다. 등줄쥐 157개체의 혈청을 간접형광항체법으로 검사한 결과 60 개체가 양성으로 항체양성률 38.2%였고 가장 높은 지역은 금릉군 여배리로 85.7%였고 가장 낮은 지역은 문경시 고요리의 7. l%였으며 김천시 운수리에서는 양성률 0으로 나타났다 혈청형은 Karp 48.3% william 1.7% 및 Kuroki 3.3%였으며. 나머지 46.7%(28개체)는 2개 혈청형 이상이 같 은 항체가를 보여 혈청형을 확인할 수 없었다.

  • PDF

전라남도에서 쯔쯔가무시병 매개체인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에 관한 조사 (Population density of chigger mites, the vector of tsutsugamushi disease in Chollanam-do, Korea)

  • 송현제;김개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1호
    • /
    • pp.27-34
    • /
    • 1996
  • 쯔쯔가무시병 환자가 집중 발생하는 10월부터 12월에 걸쳐 전라남도 6개 지역에서 들쥐와 들쥐에 기생하는 털진드기의 지리적 분포상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hemla식 wooden trap 814개를 사용하여 총 142마리의 들쉬를 포획하였는데 등줄쥐(Aponemr agrarius)가 131마리(92.3%)를 차지하여 절대 우점종이었고, 땃쥐(Crocidurarnwa)가 11마리로 7.7%였다 털진드기의 기생률은 들쥐 142마리 중 92마리에 털진드기가 기생하고 있어 69.0%이었고 총 10.532따리의 털진드기가 채집되어 74.2개체의 chi껄erindeu를 보였다. 이 중 등줄쥐는 73.3%의 기생률과 80.깊개체의 chiggor index를 땃쥐는 18.2%의 기생률과 05개체의 chiggor index를 보였다. 총 10.532개체 채집된 털찐드기는 4속 11종으로 동정되었는데 쯔쯔가무시병의 매개종인 Leptotrombidium pallidum과 L. scutellgre가 각각 8.038개체(76.3%)와 1.359개체 (12.9%)가 채집되어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에 대한 지리적 분포상이 종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여 각 조사지역마다 우점종이 다르게 나타났다. 장흥군 장흥읍과 보성군 복내면에서는 L. sueuwe가 8.9개체(100%)와 13.7개체(41.5%)로 절대 우점종이었고, 화순군 능주면과 곡성군 삼기면은 L. pallidum이 각각 191.9개페(88.8%). 46.0개페(59.2%)로 우점종이 었으며 함평군 월야면은 L. zetum이 5.1개체(77.3%) 담양군 담양읍은 L. pdpole가 2.6개체 (63.4%)로 우점종이었다. 지역별 털진드기의 밀도 비교에서 화순군 능주면이 216.2개체(62.4%) 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곡성군 삼기면의 77.7개체(22.4%)로 많았다.

  • PDF

국내 털진드기(Acarina: Trombiculidae)의 계절적 소장 및 지리적 분포 조사 (Seasonal Prevalence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rombiculid Mites(Acarina: Trombiculidae) in Korea)

  • 이인용;이한일;홍한기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08-415
    • /
    • 1993
  • 털진드기 개체군에 대한 지리적 분포상과 계절적 소장에 관한 조사를 1990년 8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herman trap을 사용하여 포획한 325마리의 들쥐들로부터 총 15,679개체의 털진드기를 채집하여 4속 12종을 동정하였는데,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인 Leptotrombidium pallidum이 4,751개체로 전체의 30.3%를 차지하여 우점종이었고, 제2의 매개종으로 알려진 L. scutellare는 1,132개체로 전체의 7.2%을 차지하였다. 털진드기 개체군의 지리적 분포상이 종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이며 각 조사 지역마다 우점종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경기도 고양군 도래 5리에서는 L. pallidum, 포천군 산정리에서는 Neotrombicula kwangneungensis, 파주군 장곡리에서는 N. tamiyai, 전북 익산군 장신리에서는 L. orientale, 이리시 신용동에서는 L. scutellare 등이었다. 털진드기 개체군의 계절적 소장을 보면, L. pallidum은 2개의 정점을 보였는데 10-11월에 큰 정점을, 4-5월에 작은 정점을 보인 후 여름에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고 L. scutellare는 10월에만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 PDF

Relative Abundance of Vectors of Scrub Typhus in Jeonnam Province, Korea

  • 송현제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7-370
    • /
    • 2011
  • Studies on the relative abundance of potential vectors of scrub typhus was conducted from April to October 2009 at the Jangseong of Jeonnam Province, Korea. Among the total 62 field rodents collected by the Sherman collapsible traps, 56 rodents were $Apodemus$ $agrarius$ (90.3%), 4 were $Crocidura$ $lasiura$ (6.4%) and 2 were $Cricetulus$ $triton$ $nester$ (3.2%). Out of the 62 field rodents, 39 were parasitized by chiggers, showing 62.9% of the infestation rate and 80.0 of the chigger index. Chigger index of $A.$ $agrarius$ and $C.$ $triton$ $nester$ were 79.9, 82.0, respectively. But chigger mite was not collected from $C.$ $lasiura$. From the trapped field rodents, 3,120 chigger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with 6 species of 2 genera. $Leptotrombidium$ $scutellare$, the vector species of tsutsugamushi disease, was the dominant species, showing 2,276 chiggers (72.9%). $L.$ $pallidum$ was the second dominant species showing 346 chiggers (11.0%). The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was showed the different dominant species according to seasons. $L.$ $pallidum$ was the predominant chigger collected in April (34.8%), May (77.8%) and Jun (39.3%), whereas $L.$ $scutellare$ was the predominant chigger collected in September (78.78%) and October (76.8%).

관악산과 그 인근 주거지역에 서식하는 양치류의 진드기류 분포 (Distribution of Mites on Rodents in Mt. Kwan-ak and its near Residential Area)

  • Lee, Byoung Un;Nam-Kee Chang;Meung-Hai Kim;Hai Poong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1권1호
    • /
    • pp.17-28
    • /
    • 1988
  • Five hundrad and eight rats were caught in Shiheung-dong and Mt. Kwan-ak from 1986 to 1987 in this survey. Ectoparasites were got from these rats and class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9,191 mites (16 genera, 30 species), 408 fleas (4 genera, 4 species), and 521 lice (3 genera, 5 species) were observed in this survey. In the residential area, Rattus norvesicus(71.74%) was dominant species and in Mt. Kwan-ak Apodemus agrarius(93.62%). In these areas, the mites belonging to suborder Mesostigmata were dominant (Laelaps nuttli, 52.61%; Ornithonyssus bacoti, 36.05%). In Mt. Kwan-ak, family Frombiculidae belonging to suborder Prostigmata were dominant (Leptotromibidium orientalis, 31.04%; Leptotrombidium palpalis, 30.00%). In this way, it was discover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regions in dominant species was noticeable. As for the hosts parasitized by mites, L. nuttalli in R. norvegicus (54.85%), L. nuttalli in R. rattus (32.90%), and L. orientalis in A. agrarius (31.27%) were dominant species, respectively. In the mites parasitizing on A. agrarius in each altitude, the species were more varied as the region was lower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more concentrated as it was higher.

  • PDF

국내 쭈쭈가무시병(양충병)의 매개종 (Determination of the vector species of tsutsugamushi disease in Korea)

  • 이한일;이인용;조민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87-92
    • /
    • 1991
  • 1989년 7월∼11월에 걸쳐 9개 지역에서 생포한 48마리의 등줄쥐(Apodemus agrarius)로부터 4,142개체의 털진드기(Acarina: Trombiculidae) 유충을 채집하였다. 이들 중 10종 990개체를 해부하여 그 내용 물질로부터 쭈쭈가무시병의 병원체를 간접 면역형광항체법으로 조사하였다 L. pallidum 유충 447개체 가운데 2개체에서 병원체인 Rickettsia tsutsugamushi를 발견하여 본중이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임을 확인하였고, 감염률은 0.4%이었다.

  • PDF

강화도와 영종도의 털진드기 계절 분포 (Seasonal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in the Kanghwa Island and Yongiong Island)

  • 이인용;윤상선;이한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41-346
    • /
    • 1993
  • 1992년 10월부터 1993년 8월에 걸쳐 경기도 강화도와 인천직할시 영종도 2개 섬에서 털진드기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포획한 42마리의 들쥐로부터 1,290개체의 털진드기를 채집하여 4속 8종을 동정하였다. 강화도에서는 전 계절을 통하여 Leptotrombidium pallidum이 93.0%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영종도에서는 L. palpale가 38.4%를 차지하여 우점종이었고, L. pallidum은 한 마리도 채집되지 않았다.

  • PDF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odents and Chiggers with Orientia Tsutsugamushi in the Republic of Korea

  • Park, Jung Wook;Yu, Dae Sung;Lee, Gi Seong;Seo, Jin Jong;Chung, Jae Keun;Lee, Jae 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8권5호
    • /
    • pp.559-564
    • /
    • 2020
  • A survey of rodents and chiggers associated with Orientia tsutsugamushi was conducted in a rural region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 between 2014 and 2018. Overall Apodemus agrarius 15.2% had the highest seropisitive for O. tsutsugamushi, followed by Myodes regulus 11.4%. Monthly risk factor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not associated with O. tsutsugamushi infections in rodents. The overall prevalence rate of O. tsutsugamushi among chiggers was 0.3%. The chigger (Leptotrombidium scutellare) and monthly (October) risk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O. tsutsugamushi human infections (P<0.05). Orientia tsutsugamushi infections are endemic in rodents in Korea and people, for example, soldiers who are active outdoors, must employ preventive measures, especially during October (P<0.05). When there are many reports of O. tsutsugamushi infections in Korea. The Boryong strain 85.7% (2/14) was the most common strain detected in chiggers, followed by the Shimokoshi 7.1% (1/14) and Karp 7.1% strains.

전남 곡성군에서 포획한 들쥐 분포 및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ensity of Rodents and Chigger Mites in Gokseong-gun of Jeollanam-do, Korea)

  • 송현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42-246
    • /
    • 2016
  • 2013년 4월부터 11월까지 전라남도 곡성군 지역을 대상으로 들쥐를 포획하고 기생하는 털진드기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597개의 trap에서 79마리를 포획하여 포획률은 13.2%였고, 종류별로는 등줄쥐가 92.4%를 차지하여 절대 우점종이었다. 79마리의 들쥐중 68마리에 털진드기가 기생하고 있어 86.0%의 기생률을 보였고, 74.5개체의 chigger index를 보였다. 5,063개체의 채집한 털진드기는 2속 6종으로 동정되었고, 활순털진드기가 3,535개체(69.8%)로 절대적인 우점종이었다. 계절별로 봄철에는 대잎털진드기, 가을철에는 활순털진드기가 높은 밀도로 채집되어 진드기종의 분포가 채집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