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ptocylindrus sp.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아산만 연안하구 식물플랑크톤의 2006년 하계 종조성 변화 (Summer Dynamics of Phytoplankton Taxonomic Composition in a Coastal Estuarine System of Asan Bay)

  • 이향화;신용식;양성렬;박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200-210
    • /
    • 2007
  •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하계 종조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6월, 7월, 8월에 매달 두 번씩 실시하였으며 조사 정점은 공간적 분포를 나타내는 5개 정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6월과 7월에 염분은 내만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염은 6월과 7월에 높았으나 8월에 낮은 경향을 보였다. 2006년 여름철 아산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규조류(62.8%), 와편모조류(17.3%), 은편모조류(14.8%), 유글레나류(1.0%), 남조류(0.9%), 녹조류(0.4%) 등 6종과 확인되지 않은 종(2.8%)이 포함되었다. 6월에는 와편모조류(주요하게 Prorocentrum sp.(29.6%))가 우점 하였고 총 현존량의 43.5%를 차지하였지만 7월과 8월에는 규조류(주요하게 Leptocylindrus sp.(21.4%), Chaetoceros sp.(27.6%))가 우점 하였으며 각각 총 현존량의 69.1%, 89.9%를 차지하였다. 이와 같이 하계에도 강우에 따라 아산만 각 정점에서의 우점속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강우에 따른 담수유입이 하계 아산만 식물플랑크톤 종조성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암시한다.

한국 동해 남부해역의 일차생산계 II.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Primary Production System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II. The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 심재형;여환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63-169
    • /
    • 1995
  • 동해 남부해역에서 1988년 5월과 1989년 7월 및 1991년 11월에 관찰된 식물 플랑크톤 집은 총 190종의 출현종을 기록하였고 규조류가 우점하고 있었다. 춘계 에는 Leptocylindrus danicus, Nitzschia pungens, Bacteriastrum delicatulum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하계에는 Skeletonema costatum이 전반적인 우점현상을 보였 으며 Chaetoceros socialis, Rhizosolenia alata f. gracillima 등이 수역에 따라 우점 하였다. 추계에는 Chaetoceros socialis, Nitzschia delicatissima, Nitzschia sp., Gymnodinium sp.. 등이 우점하였다. 종다양성 지수의 평균은 춘계에 1.24, 하계에 1.69, 추계에 2.12로 다소 낮게 측정되었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하 계에는 표층에서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외양적 특성의 수계와 동해 연안의 수계 및 울릉도 주변수등 크게 3개의 수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하계의 40m 수층 집괴분석 결과는 연구해역의 중앙부에서 표층 자료의 수역 구분 과는 별개의 또다른 식물수문학적 수역이 인지되었는데 이곳은 표층 주변의 대마 난류의 영향과 50m 이심의 수층에 존재하는 수온 1$0^{\circ}C$ 수괴의 양면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동해 울진 바다목장 해역의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 1.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Bio-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UMRA), East Sea of Korea. 1.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 윤양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46
    • /
    • 2016
  • 울진 동해바다목장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8년 4월부터 11월까지 9개 정점의 표층과 10 m 수심에서 4회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67속 123종으로 다양하였다. 군집은 규조류가 60.5%, 와편모조류가 34.6%를 차지하였고, 가을에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현존량은 9월 $1.8{\times}10^3cells{\cdot}L^{-1}$에서 4월 $2.4{\times}10^5cells{\cdot}L^{-1}$의 범위로 연평균 $4.8{\times}10^4cells{\cdot}L^{-1}$로 낮았다. 최우점 및 차우점종은 4월 소형인 Thalassiosira sp., Pseudo-nitzschia pungens. 6월은 Leptocylindrus danicus, Guinardia striata, 9월은 Cheatoceros cirvisetus, Ch. decipiens 그리고 11월은 Skeletonema costatum -ls (like species), Pn. pungens가 차지하였다. 종 다양성지수는 4월 낮고 9월에 높은 반면, 우점도 지수는 이와 반대 양상을 보였다. 집괴분석에 의한 해역구분에서는 전반적으로 해안선과 평행하게 연안 및 바깥 해역으로 구분되어,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영양염류 공급과 해수유동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때문에 이러한 해역특성은 동해 바다목장 운영 및 관리에 충분하게 고려되어야만 할 것이다.

진주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천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Environmental Factor on the Success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Jinju Bay, Korea)

  • 오석진;이종석;박종식;노일현;윤양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8-104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 남해안에 위치한 진주만에서 수온, 염분 그리고 소광계수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 환경변수가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천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는 2003년 4월, 7월, 10월 및 12월에 22개 정점에서 실시하였다. 수온은 10.4-$21.8^{\circ}C$로, 염분은 4.34-33.21 psu로 시 공간적으로 크게 변동하였다. 소광계수는 0.09-3.08로 만 중앙부의 일부 해역을 제외하고는 모든 해역에서 1이상의 높은 값을 보였으며, 특히 7월은 하천 하구역에서 2이상의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진주만에 출현하는 식물풀랑크톤 군집 종조성은 총 51속, 95종이었다. 식물플랑크톤은 전 관측기간에 걸쳐서 규조류가 우점하였다. 우점종은 4월에 Thalassionema nitzschioides,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sp., 7월에는 S. costatum, Leptocylindrus danicus, 10월에는 Chaetoceros debilis, S. costatum, C. curvisetus, Pseudonitzdshia pungens 그리고, 12월에는 S. costatum, Asterionellopsis glacialis, C. debilis가 우점하였으며, 특히 S. costatum은 4계절 주요 우점종이었다. 기존의 생리학적 문헌을 고려할 때 S, costatum은 조도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광온 광염성으로 진주만과 같이 시 공간적으로 넓은 수온, 염분 분포와 높은 소광계수를 가지는 해역에서 개체군 확대에 유리한 위치에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진해만 서부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The Characteristics on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Western Jinhae Bay, Korea)

  • 유만호;송태윤;김은수;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4호
    • /
    • pp.305-314
    • /
    • 2007
  • 남해 진해만 서부해역에서 2003년 11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식물플랑크톤의 시 공간 분포특성 및 해양환경요인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해양환경요인은 균일한 공간분포를 보였고, 식물플랑크톤 종조성은 돌말류와 와편모류가 주를 이루었으며 개체수는 연간 $16{\times}10^3\;cells\;l^{-1}{\sim}5,845{\times}10^3\;cells\;l^{-1}$(평균 $555{\times}10^3\;cells\;l^{-1})의 범위로 변화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대발생은 고현항 내측수역에서 하계에 발생하였다. 계절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2월(동계)과 8월(하계)에 높고, 5월(춘계)과 11월(추계)에 낮았다. 연구기간동안 Skeletonema costatum, Akashiwo sanguinea, Pseudo-nitzschia pungens, Dactyliosolen sp., Leptocylindrus danicus, cryptomonads 등이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특히, S. costatum은 하계에 극우점하여 출현하였으며, A. sanguinea(추계와 춘계), Pseudo-nitzschia sp.(하계), Guinardia striata(춘계), 미동정 편모류(하계), cryptomonads(춘계) 등은 특정시기에 높은 우점률을 보였다. Chl a 농도는 연간 $0.6{\mu}g{\cdot}l^{-1}{\sim}16.7{\mu}g{\cdot}l^{-1}$(평균 $3.4{\mu}g{\cdot}l^{-1}$)로 나타났다. 정준대응분석 결과 진해만 서부해역은 크게 두 개의 수역(고현항 내측과 외측)으로 나눠지며, 높은 밀도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Chl a 농도를 보인 고현항 내측의 경우 수온, 용존산소, 영양염류($SiO^2$, TN, TP and etc.) 등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환경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현항 내측수괴는 동계에 가조도와 칠천도 사이의 중앙 수역까지 확장되어 나타났다.

한국해역의 식물플랭크톤의 연구. IV. 동해, 남해 및 서해해역의 식물플랭크톤 (Phytoplankton Studies in Korean Waters. IV. Phytoplankton in the Adjacent Seas of Korea)

  • 최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9-67
    • /
    • 1969
  • A quantitative phytoplankton study in Korean waters was commenced in 1964 as a part of the primary production studies of Koreans seas, and it was continued with the cruises for Cooperative Studies of the Kuroshio(C.S.K) in 1965-1968. Phytoplankton samples were taken by dipping about 500ml of sea water from the surface, and then fixed by ading neutralized formlin. This report deals with the results obtained during 1965-1966. I examined a total of 298 samples of surface phytoplankton collected in the wate neighboring Korea in the above-mentioned period, and detected 147 species of diatoms and 22 species of dinoflagellates. Among them 123 species of diatoms and 18 species of dinoflagellates occured in the Japan Sea region, 133 species of diatoms and 11 species of dinoflagellates occured in the Korea Strait region, and 49 species of diatom and 8 species of dinoflagellates occured in the Yellow Sea region. And thd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are dept in a fair abundance in the Japan Sea area all the year round, and are poor in the Yellow Sea area. The seas surrounding Korea are divided into seven regions by the planktological characteristics; north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Japan Sea, eastern, west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Korea Strait, southern and northern parts of the Yellow Sea. The representativ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each sea region is generalized as follows; northern part of the Japan Sea is dominant with Chaetoceros group, southern part of the Japan Sea is dominant with Chaetoceros group and Skeletonema costaum, eastern part of the Korea Strait is dominant with Chaetoceros group and Pleurosigma sp., southern part of the Korea Strait is dominant with Chaetoceros group and Rizosolenia group, western part of the Korea Strait is most poor in phytoplankton, southern part of the Yellow Sea is dominant with Pleurosigma sp. and Coscinodiscus group, and northern part of the Yellow Sea is dominant with Pleurosigma sp. and Eucampia zoodiacus. Chaetoceros curvisetus, Leptocylindrus danicus, Pleurosigma normanii, Thalassionema nitzschioides, Thalassiothrix flauenfeldii appeared all the year round in the neighboring sea of Korea. There were 24 species (18 species of diatoms and 6 species of dinoflagellates) of the pecuriar phytoplankton in the Japan Sea, 27 species (25 species of diatoms and 2 species of dinoflagellates) of that in the Korea, and 7 species (5 species of diatoms and 2 species of dinoflagellates) of that in the Yellow Sea, respectively.

  • PDF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in Korea

  • Lee, Jin-Hwan;Chae, Jin-Ho;Kim, Won-Rok;Jung, Seung-Won;Kim, Jong-Ma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45-253
    • /
    • 2001
  •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s and the their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a study was conducted at 6 selected st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9 to October 2000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f Tongyeong. One hundred ninety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including 146 diatoms, 38 dinoflagellates, 4 silicoflagellates and 2 euglenophytes.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varied extensively by months and stations, ranging from $3.0{\times}10^4\;cells/l\;to\;1.0{\times}10^6\;cells/l.$. The dominant species varied from the vertical distribution as well as seasonal changes. In April and July 1999, Skeletonema costatum and Ceratium fusus were predominant in both the surface and the bottom water columns. Leptocylindrus danicus was the dominant species in April and June 2000, and Thalassiosira spp. were also predominant in bottom waters in June 2000. Pseudonitzschia pungens and Chaetoceros spp. were the dominant species at both surface and near bottom waters in August and October 2000, respectively. Zooplankton abundance was comparatively high in April and July in 1999, and April, June, and October in 2000, but extremely low in November 1999. The density of dominant zooplankton was higher in 2000 than in 1999. Copepods were the most predominant group except for July 1999 when the bivalve larvae showed extremely high abundance. Acartia omorii and Oithona similis were the dominant or subdominant copepod species mainly in April 2000, and June/July, while O. davisae and O. plumifera had peaks in August and October 2000. Corycaeus affinis and Paracalanus sp. also showed higher peaks in April and June (or July), even though they occurred in all sampling time. Centropages abdominalis occurred abundantly only in April 1999. Oikopleura dioica, a gelatinous zooplankton, was another important zooplankton, showing high density in all samples except in July 1999.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