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nses

검색결과 937건 처리시간 0.027초

Design and fabrication of plastic diffractive / refractive hybrid lenses for image communication

  • Choi, Ho-Young;Yeo, Sang-Ok;Song, Jin-Han;Moon, Hee-Jong;Park, Man-Hyo;Park, Myung-H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0년도 제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3-164
    • /
    • 2000
  • We discuss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CCD or C-MOS imaging lenses with hybrid diffractive / refractive optics. The hybrid lenses are made of optical grade plastic materials. We have been a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elements while maintaining very high optical quality. This paper describes the conception, design,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hybrid lenses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refractive lenses. The new lens has excellent optical quality, very light weight, compact size and low manufacturing cost.

  • PDF

Comparative Study of Polymerization Environment for Hydrogel Ophthalmic Lens

  • Kim, Duck-Hyun;Sung, A-Young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696-701
    • /
    • 2018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ommercial feasibility of the room temperature and thermal polymerization method as a lens manufacturing method. All samples are found to be transparent after polymerization, thereby indicating that their physical and surface properties are suitable for hydrogel ophthalmic lenses. The opt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lenses are compared. The water content of the samples that are prepared via a room temperature polymerization process decreases with the addition of MMA as compared to the water content of the samples that are prepared via thermal polymerization. When MMA and DMA are used as an additive for improving functionality, the wettability of the lenses increases. By measuring the AFM, the surface roughness is shown to improve more than MMA and DMA. Therefore, it is judged to be an appropriate process for manufacturing hydrogel lenses with high functionality.

콘택트렌즈 회전량 검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ction of Axis-Rotation in Contact Lenses)

  • 이동희;김정희;차정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5-259
    • /
    • 2005
  • 난시 교정용 콘택트렌즈 착용 시 렌즈의 축 방향을 정확하게 하지 않을 경우이거나, 착용 후 순목 시 안검 등에 의해 콘택트렌즈가 회전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이 있을 경우 완전교정상태가 잘못 교정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안정피로를 유발하여 시력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콘택트렌즈가 어느 정도 회전했는지의 파악이 필요하다. 콘택트렌즈가 회전했다면 착용 후 굴절검사에서 잔류 난시가 검출될 것이다. 이것을 이용해서 우리는 콘택트렌즈의 회전량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단매와 대칭 2매로 구성된 DOE 렌즈의 광학성능 비교 및 분석 (The comparison and the Analysis of the optical performances between the single and the symmetrical double DOE lenses)

  • 이환선;임천석;조재홍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8-26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단매와 대칭 2매로 구성된 DOE렌즈를 1/3인치 이미지 센서(크기 4.8mm $\times$ 3.6mm)에 대해 F/2.8, 전장길이(이미지 면 포함 거리) 6.8mm로 최적 설계하였고 그 광학성능 및 각종 특성치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매 DOE렌즈의 단점으로 여겨지는 유효직경 내의 많은 회절링의 수, 설계차수 외로 파장별 회절되는 광에 의해 화면에 나타나는 플레어 및 색번짐, 큰 왜곡수차 등을 대칭 2매의 렌즈를 사용함에 의해 최소가 되도록 할 수 있었다.

국내 유통 NK55 재질 안경렌즈의 내충격 시험 평가 (Impact Resistance Testing of NK55 Ophthalmic Lenses in Domestic Market)

  • 박미정;전인철;황광훈;변웅진;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9-235
    • /
    • 2011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안경 착용자들이 안경렌즈의 파손으로 인한 안전사고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안경렌즈의 내충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4개 회사의 제품으로 NK55(${n_{d}}$ = 1.56)소재의 굴절력 -3D, -6D, +3D, +6D를 가지는 안경렌즈 중 코팅을 통한 강화처리를 하지 않은 160개의 안경렌즈를 대상으로 하여 강철구 낙하 시험(Drop Ball Test)을 실시하였다. 즉, 미국 FDA의 기준에 따라 이들 안경렌즈에 약 16 g의 강철구를 높이 127 cm에서 자유낙하 시킨 후 렌즈의 표면형태를 관찰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다른 4곳 회사에서 제조되는 안경렌즈의 중심두께는 같은 굴절률과 굴절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그 수치가 동일하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철구 낙하시험에서 렌즈 표면에 균열이나 깨짐이 없는 것을 적합한 안전성을 가진 렌즈로 규정하였을 때 +3D, +6D의 볼록렌즈는 모두 안전한 렌즈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중심두께가 얇은 오목 렌즈의 경우 강철구 낙하 시험을 수행하였을 때 렌즈의 깨짐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3D, -6D 오목렌즈의 경우 전체 80개 중 73.8%에 해당하는 59개가 미국 FDA 기준에 부적합한 렌즈로 나타났다. 결론: 본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안경 구매시 시력교정과 더불어 미적인 면과 가격적인 면도 중요하지만 안경 렌즈의 파손에 의한 사고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사항이라 여겨졌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안경렌즈로 인한 안전사고의 방지를 위하여 강철구 낙하 시험의 의무적인 시행과 더불어 이의 철저한 확인이 시급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써클콘택트렌즈의 염료 용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ye Elution from the Circle Contact Lenses)

  • 김소라;강유라;서보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1-177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면봉으로 문지르기를 하였을 때 써클콘택트렌즈로부터의 염료 용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총 7종의 써클콘택트렌즈를 면봉으로 문질렀을 때 표면의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20^{\circ}C$$36.5^{\circ}C$에서 각각 다목적용액에 1 주일간 담가두었을 때의 염료용출과 비교하였다. 결과: 면봉으로 문지르기를 하였을 때 전면 혹은 후면에서 염료가 용출되어 나오는 렌즈는 총 7종 중 5종으로 나타났으며, 염료 용출 여부는 써클콘택트렌즈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고 동일 써클콘택트렌즈라 하더라도 전면과 후면에서 상이하였다. 염료가 용출된 경우는 문지르기로 인하여 염료 부분이 긁혀 나감을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목적용액에 $20^{\circ}C$ 혹은 $36.5^{\circ}C$에 1 주일간 담궈 두었을 때에는 염료는 용출되지 않았다. 실험 대상 써클콘택트렌즈 중 50% 이상의 제조사에서 착색제의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염색방법 등과 같은 기본정보들이 부실하게 제공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인 힘이 가해졌을 때 써클콘택트렌즈의 염료 용출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고 써클콘택트렌즈의 개발 및 안전한 착용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다목적 콘택트렌즈 용액에 대한 미용 칼라렌즈의 탈색 관찰 (Bleaching Observation of Cosmetic Color Lenses According to Multipurpose Contact Lens Solutions)

  • 김효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5-303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렌즈 관리에 이용되는 다목적 콘택트렌즈 용액에 의한 탈색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6개월용 착용렌즈로 굴절력이 0.00 D이며, 주변부가 다른 제조공법으로 착색된 세 가지 칼라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였고(타입 1: pigment application method, 타입 2: chemical bonding process, 타입 3: sandwich method), 다목적용액은 성분이 다른 두 종류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칼라 콘택트렌즈는 다목적용액에서 20일간 보관하면서 1일 15초 동안 소용돌이 혼합(vortexing) 하였다.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에 형광흡광도, 표면사진 그리고 명도지수와 색좌표지수를 측정하여 탈색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두 종류의 다목적용액에서 모든 타입의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형광 흡광도 값은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면사진은 렌즈의 전면은 모든 타입에서 매끄러웠고, 후면은 타입 3은 1과 2 보다 돌출된 정도가 적었다.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 렌즈 표면색의 색차 변화는 타입 3이 타입 1과 2보다 유의하게 변화도가 작았으나 모두 허용오차 안에 들었다. 결론: 소프트 콘택트렌즈 다목적 용액에 의한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탈색은 형광 흡광도와 표면색 측정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따라 렌즈 후면의 돌출된 정도는 달랐다.

안경 렌즈의 국소적 투과율 균일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Local Transmittance Homogeneity of the Ocular Lens)

  • 박상국;이형철;장윤석;성덕용;강성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71-476
    • /
    • 2015
  • 목적: 다양한 안경렌즈의 투과율 분포를 국소 투과율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렌즈의 광학적 균일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안경렌즈 표면에 집광된 레이저의 국소적 투과율을 광검출기, 락인앰프 그리고 전동이송장치로 측정하였다. 5종 25장의 멀티코팅된 무착색렌즈와 9종 45장의 멀티코팅된 착색렌즈가 시료로서 분석되었다. 결과: 굴절률과 코팅 종류에 따른 무착색렌즈의 투과율과 렌즈별 투과율 편차는 거의 균일하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착색렌즈의 경우 렌즈별 투과율 편차가 무착색렌즈에 비해 약 3.7배 크게 측정되었다. 또한 렌즈의 국소적 투과율 불균일도도 무착색렌즈에 비해 착색렌즈가 평균 약 3.1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무착색렌즈에 비해 착색렌즈가 렌즈별 투과율의 편차와 투과율 불균일도가 모두 큰 것을 국소 투과율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 국소 투과율 현미경을 통한 이러한 분석은 렌즈의 성능 평가와 광학적 균일성 향상에 적용될 수 있다.

구면 및 비구면 디자인 RGP 콘택트렌즈의 선호도와 경험적 피팅 성공률 비교 (Comparison of preference and Empirical Fit Success Rates for Spheric and Aspheric RGP Lenses)

  • 김재민;김수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16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구면과 비구면 디자인 RGP렌즈를 착용하여 선호도와 경험적 피팅의 효용성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건강한 대학생 37명을 대상으로 우안에는 직경 9.3 mm의 구면 디자인, 좌안에는 직경 9.6 mm의 비구면 디자인렌즈로 피팅하였다. 경험적 피팅(on-K 피팅, 평균 K값-0.5D(또는 -1.0D) 피팅, 제조회사 가이드라인)의 베이스커브를 진단 피팅의 베이스커브와 비교하였다. 두 디자인 렌즈의 선호도와 피팅 형태(안검부착 피팅과 안검 사이 피팅)를 피팅 후 2주일에 조사하였다. 결과: 33명의 성공적인 RGP렌즈 착용자 중 구면 디자인 선호자는 76% 인 반면, 비구면 디자인 선호자는 24%로 나타났다. 안검 부착 피팅이 구면 디자인에서 67%이었고 비구면 디자인 에서는 64% 이었다. 진단 피팅과 비교하여 ${\pm}$0.50D이내 베이스커브의 수용할 수 있는 피팅 성공률은 구면 디자인 의 경우 on-K 피팅은 97%이고, 평균 K값-0.5D 피팅은 100%, 제조회사 가이드라인 피팅도 100%를 보였으나 비구면 디자인은 ${\pm}$0.50D 이내 베이스커브에 피팅이 되는 경우가 On-K 피팅은 91%, 평균 K값-1.0D 피팅은 79%, 제조 회사 가이드라인 피팅도 94%로 나타났다. 결론: 비구면 디자인의 시장 규모가 클지라도 여전히 검사 대상자들은 구면을 더 선호하였다. 경험적 피팅 중에서도 평균 K값-0.5D 피팅과 제조회사 가이드라인 피팅은 구면디자인에서 가장 적합한 피팅 방법일 수 있지만 비구면 디자인은 경험적 피팅 방법이 수용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대생의 미용 컬러렌즈 착용에 따른 이미지 변화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Change Effect by Wearing Color Len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방효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13-123
    • /
    • 2016
  • 경기도와 강원도 소재의 대학생 221명을 대상으로 컬러렌즈 착용 유무에 따른 이미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평가요인을 살펴보았고, 평가요인에 따른 이미지 효과의 차이 및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컬러렌즈의 착용이 여성의 눈과 얼굴 이미지 변화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컬러렌즈 착용 이미지에 대한 감성평가는 화려함, 매력적, 세련됨, 호감도 등을 의미하는 항목이 높게 인지됐지만, 미착용 이미지는 편안함, 부드러움, 청순함 등을 의미하는 항목이 높게 인지되었다. 평가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컬러렌즈 착용 이미지는 매력성, 청아함, 친숙성, 장식성 순으로 분류되었고, 컬러렌즈의 미착용 이미지는 친숙성, 매력성, 청아함, 장식성 순으로 분류되었다. 컬러렌즈를 착용한 눈의 장식적, 매력적, 청아한 요인은 눈과 얼굴 이미지를 변화된다고 인지하였다. 컬러렌즈 착용 유무의 각 요인과 이미지 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착용 이미지에서는 장식적, 청아함, 매력적으로 인식할수록 눈과 얼굴 이미지를 변화시키는데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컬러렌즈의 착용은 눈과 얼굴의 이미지가 매력적, 청아함, 장식적으로 보이는 효과가 있었으며, 이러한 컬러렌즈 착용 효과는 자신의 개성에 맞도록 눈과 얼굴 이미지를 보완하기 위한 중요한 표현 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