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ngth-weight relationships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6초

보리새우 Penaeus japonicus Bate의 생물학적 연구 (A BIOLOGICAL STUDY OF PENAEUS JAPONICUS BATE)

  • 변충규;노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3-102
    • /
    • 1970
  • 1. 1969년 5월 20일부터 거제도 동쪽 연안 장승포, 농포 지선에서 숙란을 가진 어미를 체집하여 두흉갑장과 체장 및 체중과의 관계와 성장에 대하여 조사 검토하였다. 2. 거제도 동쪽 해역에 출현하는 보리새우의 두흄갑장의 평균 범위는 5월산 51mm, 6월산 57mm, 7월산 47mm 이며, 9월산은 50mm였다. 3. 거제도산 보리새우는 조기 산란군과 후기 산란군의 2계군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채집된 보리새우 모하의 두흉갑장($\iota$)과 체장(L) 및 체중 (W)자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5월산 $$L=2.6544{\iota}+3.1258$$ $$W=1.892{\iota}^{1.9844}$$ 6월산 $$L=2.8659{\iota}+2.1796$$ $$W=1.082{\iota}^{2.4323}$$ 7월산 $$L=2.5840{\iota}+3.3090$$ $$W=1.290{\iota}^{2.3094}$$ 9월산 $$L=2.4234{\iota}+4.5775$$ $$W=1.599{\iota}^{2.1857}$$ 관계식들은 회귀 직선과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고, 두흉갑장에 대한 체장, 체중조성은 월산 어미가 가장 높은 편이었다. 5. 6월 산과 9월산 어미의 두흉갑장과 체장, 두흉갑장과 체중과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다 같이 유의의 차가 없이 거의 같은 크기였다. 6. 양식장에서 성장된 보리새우의 두흉갑장($\iota$)과 체장(L), 체중(W)의 관계식은 거제도산 $$L=3.7738{\iota}-0.0005\;(r=0.934)$$ $$W=0.4690{\iota}^{3.0713}$$ 오마도산 $$L=2.9933{\iota}+1.6.155\;(r=0.990)$$ $$W= 0.6328{\iota}^{2.6579}$$ 금당도산 $$L=3.2749{\iota}+0.9055\;(r=0.983)$$ $$W= 0.5768{\iota}^{2.8076}$$ 으로서 거제도산의 조성비가 높은 편이었다. 7. 보리새우 유생기의 경과 일수에 따른 체장의 성장식은 $Z_1\~Z_3$ L=0.1279D+0.2686 (r=0.979) $M_1\~P_6$ L=0.1697D+0.5634 (r=0.994) $P_7\~P_{21}$ L=0.1344D+1.9501(r=0.978)의 회귀 직선으로 표시 할 수 있다.

  • PDF

장려품종 콩의 형태 및 성분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ximate Compositions of the Recommended Soybean Varieties in Korea)

  • 김동만;진재순;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98-404
    • /
    • 1990
  • 국내에서 재배가 장려되고 있는 콩 19품종의 형태학적 특성 조사로 콩의 부위별 무게, 길이, 색 등을 측정하였고 이들 형태학적 인자 상호간 및 일반성분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19품종 콩의 백립중은 $12.28{\sim}25.54g$이었으며 낱콩 무게에 대한 종피 및 배아의 무게 비율은 각각 $6.02{\sim}8.29%,\;1.66{\sim}3.55%$이었다. 이들 콩의 길이, 단폭 및 장목은 $5.95{\sim}7.59mm,\;5.03{\sim}6.95mm,\;6.44{\sim}8.38mm$이었으며 Hunter system에 의한 종피 및 자엽의 황색도는 각각 $15.9{\sim}21.7, \;17.7{\sim}23.1$이었다. 한편, 상관성 분석결과 낱콩의 무게는 자엽무게 및 장폭과, 자엽의 무게는 장폭과 각각 0.97 이상의 높은 정의 상관성을 보였고, 조단백질의 함량은 낱콩의 무게, 자엽의 무게, 길이, 장폭 및 배꼽의 길이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지만 상관계수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목포 주변 해역 갯벌 조간대에 서식하는 종밋

  • 임현식;박경양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1-130
    • /
    • 1998
  •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growth of the mud mussel, Musculista senhousia, were carried out in the mud-tidal flat near Mokpo from August 1996 to July 1997. The patch distribution of the mussel was observed in the middle part of the tidalflat during the study period. Annual mean density was 8,215${\pm}$1,394 ind./m2 and annual mean biomass was 1,966.43${\pm}$668.49 g TWwt/m2 in total wet weight, 760.04${\pm}$279.13 gMWwt/m2 in meat wet weight, 209.93 ${\pm}$ 49.41 gMDwt/m2 in meat dry weight, and 109.66${\pm}$58.78 gAFDW/m2 in ash-free dry weight. The monthly mean size of shell length varied from 11.00 mm to 16.97 mm.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SL) and shell height (SH) showed a positively significant regression (SH=0.482SL+0.791, R2=0.940, P<0.001). Regressions of total wet weight (TWwt) (TWwt=7.601${\times}$10-5SL3.052, R2=0.905, P<0.001), and meat wet weight (MWwt) (MWwt=1.127${\times}$10-5${\times}$SL3.404, R2=0.784, P<0.001) on shell length were positively allometric, with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SL and meat dry weight (MDwt), and AFDW were MDwt=9.813${\times}$10-6${\times}$SL2.928 (R2=0.421), and AFDW=1.015${\times}$10-5${\times}$SL2.922(R2=0.810), respectively. The condition factor of the mussel has been increased from March and formed a peak in July and August. It was sharply dropped in Septemb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onadal development of the species commenced to be occurred in spring and that main spawning occurred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 PDF

Burley종 담배의 생엽 장폭 측정에 의한 건엽면적과 건엽중의 추정 (Estimation of Cured Leaf Area and Leaf Weight Based on Leaf Length and Width in Burley Tobacco Plant)

  • 이용득;조장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02-606
    • /
    • 1994
  • 담배엽 수량 구성 요인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엽면적이나 엽중을 용역하게 측정 할수 있는 방법을 모색코자 담배 생엽장${\times}$생엽폭의 값과 생엽면적, 건엽면적, 건엽중과의 관계 또는 생엽면적과 건엽면적, 건엽중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 본엽의 생, 건엽장과 폭은 KB103이 가장 크고 KB101과 Burley21은 비슷하였다. 2. 중, 본엽의 생, 건엽면적과 생, 건엽중은 KB103 > Burley21 > KB101 순이었다. 3. 생엽장${\times}$생엽폭의 값과 생엽면적, 건엽면적, 건엽중과의 사이에는 1% 수준의 고도 유의성 관계가 3개 품종 중, 본엽에서 모두 인정되었다. 4. 생엽면적과 건엽면적, 건엽중과의 사이에는 1% 수준의 고도 유의성 관계가 3개 품종 중, 본엽에서도 모두 인정되었다.

  • PDF

Effect of the Polymorphisms of Keratin Associated Protein 8.2 Gene on Fibre Traits in Inner Mongolia Cashmere Goats

  • Liu, Haiying;Li, Ning;Jia, Cunling;Zhu, Xiaoping;Jia, Zhih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6호
    • /
    • pp.821-826
    • /
    • 2007
  • The aim of the experiment was to detect polymorphisms in the keratin-associated protein 8.2 (KAP8.2) gene to determine associations between the genotype and fibre traits in Chinese Inner Mongolia cashmere goats. The fibre traits data investigated were cashmere fibre diameter, combed cashmere weight, cashmere fibre length and guard hair length. Five hundred and forty-two animals were used to detect polymorphisms in the complete coding sequence of the hircine KAP8.2 gene by means of PCR-SSCP. The results identified six genotypes, AA, BB, DD, AB, AD and BD, coded for by three different alleles A, B and D. Two SNPs in the coding region were confirmed by sequencing, which were A214G and T218C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enotypes and cashmere fibre diameter, combed cashmere weight, cashmere fibre length and guard hair length were analyz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between the associations of the different genotypes with cashmere fibre diameter, cashmere weight and hair length. Cashmere length was the only trait that was not associated with the genotypes. The genotype AA (0.73) was found to be predominant in Inner Mongolia cashmere goats and the animals with this genotype had the thinnest cashmere fibre diameter compared with the other genotyp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olymorphisms in the hircine KAP8.2 gene may be a potential molecular marker for cashmere fibre diameter in cashmere goats.

남해 참서대 (Cynogiossus joyneri)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Red Tongue Sole (Cynoglossus joyneri)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백근욱;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7-311
    • /
    • 2004
  • Age and growth of red tongue sole (Cynoglossus joyneri), were studied using samples from the coastal waters off Yeosu,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01. Sagittal otoliths had relatively clear annuli. Marginal index of otolith dropped sharhly in August suggesting that each annulus was formed once a year In August. Monthly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indicated that spawning peaked between July and September. The oldest fish observed in this study was 4 years old for both of females and males. Relationships between the otolith radius (R) and total length (L) were: L=14.1R-0.098 for females, and L=11.9R+1.83 for males. Relationships between total length and body weight $(W)\;were:\;W=0.0021L^{3.24}\;for\;females,\;and\;W=0.0014L^{3.39}$ for males. Growth in length of the fish was expressed by the von Bertalanffy's growth equation as:$L_{t}=29.06\;(1-e^{-0.19(t+2.40)})\;for\;females\;and\;L_{t}=27.44 (1-e^{-0.17(t+2.84)})$ for males.

산란기를 전후한 천지천산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의 비만도와 체장 체중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LENGTH, BODY WEIGHT AND CONDITION FACTOR OF PLECOGLOSSUS ALTIVELIS IN CHUNJI STREAM BEFORE AND AFTER SPAWNING PERIOD)

  • 김을배;정상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51-255
    • /
    • 1976
  • 1973년 8월 25일부터 1974년 9월 14일에 걸쳐 제주도 서귀포소재 천지천에서 채집한 총 362미의 은어에 대하여 체장, 체중관계와 비만도를 산란기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장, 체중관계에 있어 산란전과 산란기에는 그 관계식이 각각 $W=0.008639\;L^{3.1806}$$W=0.01830\;L^{2.7689}$로써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자웅간에는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다. 2. 평균체장이 산란기에 감소현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산란에 참여한 대형어의 폐사에서 온 은어 특유의 현상이라 보았다. 3. 비만도는 산란전인 8월에 평균 $13.45\%_{\circ}$ 였던 것이 9월부터 점차로 감소, 11월 29일에 가서 최저로 평균 $10.25\%_{\circ}$였으며, 다음 해인 2월에는 $11.18\%_{\circ}$로 고복단계에 있었다. 4. 월년어의 대부분은 全전장 $11\~12cm$ 미만의 소형어였다.

  • PDF

Association of Fatty Acid Ethyl Esters in Meconium of Neonates with Growth Deficits at Birth: a Prospective, Single-Centre Cohort Study

  • Lee, Hyun-Seung;Kim, Yeon Hee;Kwak, Ho-Seok;Han, Jung-Yeol;Jo, Sun-Jin;Lee, Hae Kook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50호
    • /
    • pp.318.1-318.10
    • /
    • 2018
  • Background: In this prospective cohort stud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fatty acid ethyl esters (FAEEs) in meconium as biomarkers of prenatal ethanol exposure and growth deficits, as birth outcomes, that constitute several of the key cardinal features of fetal alcohol syndrome. Methods: A total of 157 meconi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nrolled infants within 24 hours of birth, and nine FAEEs were quantified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The relationships between cumulative concentrations of nine species of FAEEs in meconium and birth parameters of growth (age-sex-specific centiles of head circumference [HC], weight, and length) and respective and combined birth outcomes of growth deficits (HC ${\leq}10th$ centile, weight ${\leq}10th$ centile, and length ${\leq}10th$ centile) were determined. Result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higher cumulative concentrations of meconium FAEEs correlated with elevated risks for HC and length, both, 10th percentile or less (adjusted odds ratio [aOR], 2.94; 95% confidence interval [CI], 1.12-7.74; P = 0.029) and HC and weight and length, all of them, 10th percentile or less (aOR, 3.27; 95% CI, 1.12-9.59; P = 0.031). Conclusion: The elevated cumulative FAEEs in meconium were associated with combined growth deficits at birth, specifically HC and length, both, 10th percentile or less, which might be correlated with detrimental alcohol effects on fetal brain and bone development, suggesting a plausible alcohol-specific pattern of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섬진강 수계 어류군집 특성과 우점종 피라미(Zacco platypus)의 전장 - 체중 관계 분석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ies and Length-weight Relationships of Dominant Species (Zacco platypus) in Seomjin River)

  • 이선호;김효겸;조현빈;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4권1호
    • /
    • pp.12-23
    • /
    • 2021
  • 어류군집은 자연적인 환경 변화뿐만 아니라 인위적 교란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어류상 및 군집 분석을 통해 수생태계의 서식처 건강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섬진강 수계 본·지류 총 14개 지점을 대상으로 어류상 및 피라미의 전장-체중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18년 7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어류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채집된 어류는 한국고유종 19종과 법적보호종 2종을 포함하여 14과 49종으로 확인되었다. Bray-Curtis 유사도에 따르면, 14개 지점은 어류군집 구성에 따라 크게 A, B 두 개의 그룹과 그룹 내 속하지 않는 2개의 지점(그룹 C, D)으로 나뉘었다. 특히, 그룹 A와 B 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ANOSIM R=0.722, p=0.002), 참갈겨니(8.55%), 배스(6.90%), 블루길(4.90%)이 두 그룹의 차이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A는 외래종인 배스, 블루길의 출현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룹 B는 국내 하천 생태계 최 우점종인 피라미와 참갈겨니의 출현이 주요하였다. 본 조사에서 우점한 피라미를 대상으로 전장-체중 관계식에 의한 지점별 회귀계수 b값은 2.82~3.80까지 나타나 지점별로 다양한 성장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섬진강 수계의 전반적인 어류상과 피라미를 바탕으로 어류의 성장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두의 근계에 관한 연구 제 1 보 지상부와 근계와의 관계 (Studies on the Root System of Soybeans I. Relations between the top and the root)

  • 장권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3권
    • /
    • pp.77-81
    • /
    • 1973
  • 대두의 근계에 관한 연구의 제1보로 3개품종을 상토와 모래의 2개토양에서 각시기별로 재료를 채취하여 몇 개형질에 대한 조사측정을 하고 통계처리를 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직경의 비대는 발육초기 1개월까지는 완만하며 8월하순이후부터 급격하여지고 모래보다 상토에서 그 비대정도가 높았다. 2. Top의 길이의 신장도 발육 1개월이후부터 급격하여지고 모래보다 상토에서 더욱 신장이 잘된다. 3. Top길이보다 Root길이가 발육초기 1개월까지는 길고 Root의 길이는 반대로 상토보다 모래에서 신장이 잘된다. 4. Top무게도 발육초기 1개월까지는 완만히 증가하고 모래보다 상토에서 무겁게 나타나나 Top길이보다 Top무게의 경우에 그 증가의 정도가 완만하다. 5. Top무게보다 Root무게는 발육초기 1개월까지는 무거우며 상토에서 모래보다 무겁게 나타난다. 6. 5개형질 상호간에는 모래, 상토, 전체에 있어서 어느것이나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Root길이와의 관계를 보면 Top무게, Top길이, Root무게, 경직경의 순서로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7. Root무게와의 관계를 보면 경직경, Top무게, Top길이, Root길이의 순서로 상관계수가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