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isure Competenc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서울시 초등학생의 과잉 텔레비전 시청과 관련된 건강지표 (Association of Health Indicators with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 신선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4-113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valenc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Methods: Secondary data, representative sample of 11,082 subjects in Seoul was used. After prevalence of the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was identified by using factor analysis, 6 main factors explaining the ecological indicators was founded. After identifying prevalence of the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by using factor analysis, we found 6 main factors explaining the ecological indicators. After categorizing factors into socio-psychological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we were investigated the odds ratio of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per characteristics by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prevalence of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was 29.7%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Seoul. The prevalence were higher in male, higher grade, and non-South of the Han River. Socio-psychological indicators which expressed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were annoying or bullying, scolding from teacher, depressed mode, thought for a runaway from home, an experience of diet, and negative body image. Life style indicators were a lower intake of fruit and vegetables, a higher intake of Ramyun and soft drink, a worse life style of hand washing, and wearing safety equipment. Conclusion: Lifestyle of television viewing was the comprehensive results from family, school, and society rather than a personal prefer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hazard of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to reenforce the students' health competence, to activate a safe leisure program as an alternate of television viewing, and to develop a recommendation.

  • PDF

주거지역에 따른 청소년 내 하위집단들의 복식문화 연구 (A Study on the Culture of Clothing of Subgroups among Adolescents by Residence)

  • 남궁윤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23-63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lture of clothing of subgroups among adolescents by residence. In this research informants were selected by selective sampling and ethnographic methods such as field work 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descriptions were employed to interpret their culture of clothing. The results were followed. First our adolescents enjoyed the popular song as leisure and these popular culture was their inspiration source of style. Second adolescents were grouping the Kang-Bouk and the adolescents group preferred the style of popular singers and the Kang-Nam adolescents group preferred the musical competence of singers and specific type particularly Hip-Hop style. And in acception pattern of fashion style the Kang-Bouk groups accepted the recent fashion style continuously and wanted to be striking while the Kang-Nam groups accepted the various Hip-Hop styles and sought to comfort and suitability of that style. Third to consider the connotations of marketing the Kan-Bouk groups shopped on the street perceived as fashionable among peer groups and sought to the lower price but the Kang-Nam groups used the shops selling their original ip-Hop style without regard to the price and sites. Although there existed a two years'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research(1996-1998) subgroups among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residence have had their own culture of clothing constantly. And a segmentation tendency by clothing behavior within the same adolescent generation is revealed more visibly.

  • PDF

스포츠에 참여 중인 대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hysical Self-concept on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ports : Focusing 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 박영찬;고의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18-329
    • /
    • 2017
  • 이 연구는 스포츠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요인별 중요도에 따라서 위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경북 S시에 소재한 4곳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77명을 표집하였다. 총 354부를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자기효능감의 자기 조절효능감 요인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체적 자기개념의 요인으로 자기 존중감, 지구력, 건강, 유연성 요인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체적 자기개념 요인 중 신체활동 요인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 조절 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과의 자신감과 신체적 자기개념과의 관계에서는 자기 존중감, 건강, 근력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제 난이도 선호와 신체적 자기개념과의 관계에서는 지구력이 좋을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신체활동을 높게 지각할수록 과제 난이도 선호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갱년기 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자아힘돋우기(self-empowerment)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Self-Empowerment in Climacteric Women)

  • 박명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01-21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mpowerment and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climacteric wome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ng intervention. The subjects were 246 women who visited the sports center in Taegu, Korea and ranged in age from 40 to 59.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2nd to December 15th, 2001. The instruments were the revised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developed by Park, In Suk(1997) Originally the instruments were developed by Spreitzer(1995) and Jung Hea Joo(1998), who translated it into Korea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Mean score of total empowerment was 3.76 and the subcategory 'meaning', had the highest score at 4.08. 2.Mean score of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2.83 and in the subcategory,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sanitary life', followed by 'harmonious relationships' and 'self actualization'. The lowest degree was 'professional health management'. 3.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age, education and self-empowerment was found. 4.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age, marital status, leisure time activity (hobbies/community service) and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found. 5.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empowerment(r=.4592).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the highest positively related to the subcategory 'impact' (r=.4329). 6.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was impact which accounted for 19% of the total variance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d. Five variables, impact, age, meaning, marital status and leisure time activity(hobbies/community service) accounted for 26% in promoting a healthy life style.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 1) Adopting the concept of self-empowerment is required in broad nursing fields. 2) Using and making a self-empowerment promoting program which can cause positive effects on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are required. 3) It is required to check the rank of the subcategories such as meaning, competence, self determination and impact according to the subjects. 4) It is required to check the effects of all variances of self-empowerment, self-efficacy and self-esteem variances through the repeated studies.

  • PDF

주거용부동산의 거주유형에 따른 베블런효과에 관한 연구: 과시소비성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Veblen Effect according to Residence Estate: Focused on Conspicuous Consumption)

  • 장서윤;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107-119
    • /
    • 2015
  • 최근 부유층 주거지에 특정 목적에 의한 중 저소득층이 진입, 준거집단에 합류하며 과시효과를 누리고 싶어 한다. 이 현상으로 주거용부동산에 대해 유한계급층이 아닌 일반 소비자들의 과시효과에 대한 욕구를 유추할 수 있다. 과시소비를 함으로써 고가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준거집단에 속한다는 우월함과 고가를 지불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부를 전시하는 효과를 얻는다고 볼 때 자신의 사회경제적 능력을 보이기 위한 과시적 소비성향은 주거용부동산에도 영향을 미치리라고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부동산의 거주유형에 따른 베블런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심리적 특성, 주거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베블런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PLS 경로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차가거주자가 자가거주자에 비해 과시소비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면민감성은 자아존중감과 주거유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는 과시소비성향으로 이어진다. 또한 거주면적이 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과시소비성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운항승무원의 항공기 2개 형식 운항관련 국내외 기준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gulation on Mixed-fleet Flying of Flight crew)

  • 이구희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03-425
    • /
    • 2015
  • 운항승무원은 항공기 운항에 필요한 적합한 자격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항공기 운항에 필요한 자격요건과 항공기간 유사성 등으로 인해 불필요한 자격요건이 무엇인지 확립되어 있어야 한다. 시카고협약은 국제민간항공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국제조약이며 시카고협약 체약국은 시카고협약 부속서에서 정한 '표준 및 권고방식(SARPs)'에 따라 항공법규를 제정하여 운영 중이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기준 수립 및 적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운항승무원의 항공기 2개 형식 운항에 대한 ICAO, 한국, FAA, EASA 등의 국내외 기준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관련 제도를 개선 보완하고자 한다. 운항승무원의 항공기 2개 형식 운항에 대한 국내외 기준을 비교하면서, 한국의 관련 법규가 국제기준 대비 불합리한 측면이 있어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기본적으로 항공기 운영자는 기장 또는 부기장이 동일 형식의 비행기로 90일 내에 적어도 3회의 이륙과 착륙을 행한 경험이 없는 기장 또는 부기장을 해당 항공기를 운항하도록 승무시켜서는 아니 된다. 또한 운항승무원은 모든 운항하는 항공기 형식에 대하여 장비 및 절차에 대한 중요 차이점에 익숙해야 한다. 또한 항공기 운영자는 조종사의 조종 기능 및 비상절차 수행능력이 해당 항공기 형식에서 수행능력이 있도록 적합한 방법으로 심사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해 정기적으로 기량심사가 수행되어야 한다. 한편 항공기 운영자가 운항승무원에게 항공기 간의 유사성을 토대로 서로 다른 항공기 형식을 운항하도록 하는 경우, 항공당국은 각각의 항공기 형식을 운항하기 위한 면제 요건을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운항승무원이 2개 형식의 항공기를 운항하기 위해서는 해당 형식 항공기 운항을 위한 유효한 자격이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에 합당한 훈련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한다. 따라서 특별히 요건이 면제되거나 요구량을 축소하여 적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는 한, 2개 형식 항공기를 운항하기 위해서는 항공기 형식 간의 유사성을 토대로 적용할 수 있는 진보된 훈련 프로그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항공기 형식에 필요한 모든 운항자격을 충족해야 한다. 항공기 제작사는 표준비행절차 및 안전운항을 위해 새로 항공기를 개발함에 있어서 항공기 시스템에 대하여 기본적인 틀을 유지하면서 기능을 보완 개선하고 있어 항공기 간에 표준화된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항공기 간의 차이수준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또한 다양한 항공 비즈니스 출현 및 레저용 항공시장의 활성화로 운항승무원이 서로 다른 항공기를 번갈아 운항할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운항승무원의 훈련 및 운항자격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신규도입 항공기에 적용할 항공기 간의 차이수준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르게 적용할 수 있는 관련 법규 및 체계가 전무한 상태이며, 2개 형식 이상의 항공기를 운항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은 물론 이와 관련하여 항공안전을 위해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기준도 없기 때문에 항공기 운영자의 정책적인 판단에 따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항공당국은 비행표준평가위원회 제도를 도입하여 비행표준평가를 통해 항공기 간의 차이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운항승무원이 합당한 교육훈련 및 자격요건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항공기 간 차이수준별 자격요건체계를 수립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간의 차이수준 평가 및 2개 형식 이상 항공기 운항에 대한 국내외 항공법규를 고찰하고 합리적인 제도 운영을 위한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이 1) 정부, 학계 및 항공사 등 유관부문에서 항공안전증진을 위한 국제 동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2) 국내 항공법규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 3) 아울러, 국제표준 준수 및 항공안전증진에 기여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