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ft frontal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6초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에서의 인지적 공감 및 정서적 공감의 신경 상관물 (Neural Correlates of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in Pati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정승원;손정우;이승복;김혜리;이상익;신철진;김시경;주가원;최상철;김양렬;구영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3호
    • /
    • pp.196-206
    • /
    • 2016
  • Objectives: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re considered to have problems with empathy. It has recently been suggested that there are two systems for empathy; cognitive and emotional. We aimed to investigate the neural response to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nd elucidate the neurobiological aspects of empathy in patients with ASD. Methods: We recruited patients with ASD (N=17, ASD group) and healthy controls (HC) (N=22, HC group) for an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All of the subjects were scanned while performing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tasks. The differences in brain activation between the groups were assessed by contrasting their neural activity during the tasks. Results: During both tasks, the ASD group showed greater neural activities in the bilateral occipital area compared to the HC group. The ASD group showed more activation in the bilateral precunei only during the emotional empathy task. No brain regions were more activated in the HC group than in the ASD group during the cognitive empathy task. While performing the emotional empathy task, the HC group exhibited greater neural activities in the left middle frontal gyrus and right anterior cingulate gyrus than the ASD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brain regions associated with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in ASD patients differed from those in healthy individu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ASD might have defects both in cognitive empathy and in emotional empathy.

소나무 향기의 생리 심리적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Pine Scent)

  • 조현주;후지이 에이지로;조태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10
    • /
    • 2010
  • 녹지식물과 접함으로써 얻어지는 생리 심리적 효과를 과학적으로 실증하는 것은 녹지의 심리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지식의 제공과 더불어 인간의 감성을 고려한 녹지공간을 창출에 있어 유용한 근거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5명의 한국인 남성을 대상으로 자연 발산하는 소나무 잎의 향기를 맡는 동안 대뇌활동(뇌혈액동태)과 자율신경계활동(혈압, 맥박, 아밀라제)을 측정하고, SD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과 POMS(Profile Of Mood States)를 이용하여 소나무 향기에 대한 인상 및 감정상태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소나무 향기는 대뇌활동에 있어 전두야의 감정, 판단, 운동을 담당하는 부위와 측두야의 기억을 담당하는 부위의 활성화를 초래하였다. SD법과 POMS에 의한 언어적 평가에서는 소나무 향기는 자연적이지만, 자극적이고 활발한 인상을 가지며, 활기를 주고 혼란한 정서를 안정시키는 향기로서 평가되었다. 한편, 자율신경계활동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실증된 결과를 통해, 소나무 향기가 우리의 생리 심리적인 측면에 활력을 주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검증되었으며, 금후 감성을 고려한 녹지환경 디자인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전방머리자세에 변화에 따른 턱관절 기능 및 정량적 체성감각의 상관분석 (The Function and Quantitative Somatosensory Correlation Analysis of Temporomendibular Joint according to Forward Head Posture)

  • 이은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45-651
    • /
    • 2019
  • 본 연구는 전방머리자세와 턱관절 장애 및 정량적 턱관절의 체성감각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 선정요구를 충족한 62명의 대상자(22.15±2.56세)을 대상으로 전방머리자세에 대한 중재 후 전방머리 자세 변화에 따른 턱관절 기능 및 체성감각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전방머리자세에 대한 중재는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주 3회 총 4주간 총 12회 진행되었다. 전방머리자세를 평가하기 위하여 머리-척추각을 검사하였으며, 턱관절 기능은 입 벌림과 좌, 우측 치우침을 검사 하였고, 체성감각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동역치감각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머리 척추각의 변화에 따른 턱관절 기능(p<0.001) 및 체성감각(p<0.001)의 변화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 결과 전방머리자세와 턱관절 기능 및 체성감각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본 연구를 기반으로 턱관절 장애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턱관절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턱관절의 치료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 될 수 있을 것이다.

측면 2차원 얼굴 영상들의 대칭성을 이용한 3차원 얼굴 복원 (A 3D Face Reconstruction Based on the Symmetrical Characteristics of Side View 2D Face Images)

  • 이성주;박강령;김재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1호
    • /
    • pp.103-110
    • /
    • 2011
  • 기존에 널려 쓰이는 3차원 얼굴 복원 방식인 Structure from motion(SfM)은 정면 및 좌우 측면 영상들이 입력할 때, 좌우 얼굴 특정 점들이 검출되어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감시 카메라 환경과 같이 한 쪽 측면 얼굴 영상들이 입력될 경우, 보이는 한 쪽 얼굴 특정 점들만이 입력되므로, 가려진 부분의 얼굴이 제대로 복원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사람의 얼굴이 좌우 대칭이라는 제한 조건을 이용하여 대칭이 되는 얼굴 특정 정들을 생성하였으며, 이렇게 생성된 얼굴 특정 점들과 입력된 얼굴 특정 점들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기존 SfM 기반 3차원 얼굴 복원 방식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제안한 3차원 얼굴 복원 방법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해 3차원 얼굴을 취득하였고, 이를 복원한 3차원 얼굴과 비교한 결과 좌우 대칭 특정 점들을 함께 사용하는 제안한 3차원 복원 방식은 한 쪽 측면 특정 점들만을 사용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분할 정위방사선 치료 시스템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A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System)

  • 이동한;지영훈;이동훈;조철구;김미숙;유형준;류성렬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1호
    • /
    • pp.9-14
    • /
    • 2002
  • 두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pedestal mounting system과 couch mounting system의 장점을 수용한, 새로운 형태의 분할 정위방사선 치료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두부 고정을 위한 프레임은 두랄루민으로 제작하였고, 카우치에 부착되게 하였다. 프레임 내에서 환자의 두부를 고정하기 위해 치아 고정장치와 3.2 mm 열프라스틱으로 전두부와 후두부에 마스크를 제작할 수 있다. 정위 좌표 구현을 위한 전산화 단층촬영 localizer는 각 병원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Brown-Roberts-Walls(B.R.W)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고 제작 단가도 낮추고자 하였다. 프레임 mounting system은 pedestal mounting system을 수정, 보완한 형태로 개발하였다. 시스템은 카우치를 지지하는 바닥 면에 고정되어 카우치에 부착된 프레임과 결합할 수 있고, 시스템과 카우치의 잠금 장치를 푼 채 자유롭게 x, y축으로 유동할 수 있다. 프레임 mounting system의 중심축은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포인터 형태로 제작하여, 치료기의 구동 정확성을 검증하는 정도 관리에 응용 가능하다. 개발된 시스템의 재현성과 정확도 검증을 위해 아크릴 팬텀과 포인터를 제작하였고,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에서 획득한 팬텀 내 목표점의 정위 좌표를 dial-gauge와 E.C.L 필름으로 검증하였다. 실험의 결과 x축 방향의 재현성 오차는 0.71$\pm$0.19 mm, y축 방향은 0.45$\pm$0.15 mm, z축 방향 재현성 오차는 0.63$\pm$0.18 mm로 나타났고, 최대 1.3 mm 이내의 우수한 재현성을 보였다. 연구 결과로 개발된 분할 정위방사선 치료 시스템은 재현성이 우수하고, 전체 중량이 가벼워 사용하기 쉽게 제작되었다. 특히 수정된 pedestal frame mounting system으로 설계되어 후두부 방사선 조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 PDF

자연치열에 설치한 pivot의 전후방 일치변화에 따른 하악의 moment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DIBULAR MOMENTS ACCORDING TO ANTERO-POSTERIOR PLACEMENT OF PIVOT ON LOWER NATURAL DENTITION)

  • 이현식;박남수;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94-410
    • /
    • 1993
  • This study was accomplished for appreciation of the mandibular moments according to antero- posterior movement of pivot placed on the lower natural dentition. For this study, 20 subjects(male, $21\sim30$ yrs., average age 24) in the category of normal occlusion were selected, and the intraoral Vitallium clutches were cast and fabricated for each subjects. A 2-dimension PSD(Position Sensitive Detector, Hamamatsu Photonics Co., Japan) was attached to maxillary clutch in a mode of three dimensional control and LED (Light Emit Diode, Hamamatsu Photonics Co., Japan) was set up on mandibular clutch. Both clutches were set into oral cavity of each subjects and adjusted. Then the subjects were allowed to intercuspated with maximal bite force while the pivoting ball in the mid-line moving from anterior toward posterior position. The displacement scales were recorded by CCD camera(Sony, CCD-TR-705) and VCR,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 1. When the subject was allowed to bite the metal pivoting ball in the midline of lower dentition with maximal bite force voluntarily while moving from lower central incisor to canine, 1st premolar, End premolar, 1st molar and 2nd molar. The lever actions on the pivot were revealed in all subjects. The equilibrium of moment were revealed on the pivots of 1st premolar(14 subjects), End premolar(4 subjects), and canine(2 subjects) areas. 2. The changes of loading on the TMJ according to antero-posterior positional changes of metal pivoting ball were able to recognize as follow. Compression on the TMJ was increased when the pivot moves anteriorly from the equilibrium point, and tension on the TMJ was increased when posteriorly. 3. 13 subjects were recognized their habitual chewing sides(Rights, Left8), and 7 subjects were not. During maximal biting, mandible was displaced toward their habitual chewing sides on the metal pivoting ball in the frontal plane. 4. In cephalometric analysis, the average genial angle of 20 subjects was $116.75^{\circ}$ and the average mandibular body length was 79.77mm. The equilibrium points of mandibular moment were positioned more posteriorly in the subjects having larger Genial angle than in the smaller(p<0.05). Relationships among the angle between FH plane and occlusal plane, the angle between occlusal plane and mandibular plane , and mandibular body length were not significant(p>0.05).

  • PDF

언어 중추 영역에 대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시각적, 청각적 지시 과제에 관한 비교 (Functional MR Imaging of Language System : Comparative Study between Visual and Auditory Instructions in Word Generation Task)

  • 구은회;권대철;김동성;송인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41-246
    • /
    • 2003
  •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언어생성과제의 시각적 지시과제와 청각적 지시과제에 대한 기능적 MR영상들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6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기기를 이용하였다 시각적, 청각적 언어 지시과제는 명사의 언어를 이용하여. 휴지기. 확성기를 각각 6번 구성하였다. 뇌의 활성영역의 휴지기와 확성기의 신호변화에 따른 데이터는 MRDx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였고 cross correlation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시각적, 청각적 지시과제의 분석방법은 lateralization index 공식으로 뇌 반구의 활성화 voxel의 총합과 좌$.$우 반구의 픽셀 수를 구하였고, 지시 과제에 대한 활성화 영역을 “Area of Activation Cells” 값에 따라 4등급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시간적 청각적 지시과제에서 Broca, Wernicke 영역 등에서 크기는 다르지만 모두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lateralization index에서 뇌반구의 활성화 값에 차이는 시각적 지시과제에 비해 청각적 지시과제가 높은 활성화 값을 보였다. 그러므로 언어영역에 대한 뇌의 기능적 영상을 얻는데 두 방법 모두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Regional Differences in Blood-Brain Barrier Permeability in Cognitively Normal Elderly Subjects: A Dynamic Contrast-Enhanced MRI-Based Study

  • Il Heon Ha;Changmok Lim;Yeahoon Kim;Yeonsil Moon;Seol-Heui Han;Won-Jin Moo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7호
    • /
    • pp.1152-1162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blood-brain barrier (BBB) permeability of cognitively normal elderly participant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BBB permeability with a clinically feasible, 10-minute dynamic contrast-enhanced (DCE) MRI protocol. Materials and Methods: This IRB-approved prospective study recruited 35 cognitively normal adults (26 women; mean age, 64.5 ± 5.6 years) who underwent DCE T1-weighted imaging. Permeability maps (Ktrans) were coregistered with masks to calculate the mean regional values. The paired t test and Friedman test were used to compare Ktrans between different regi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Ktrans and the factors of age, sex, education, cognition score, vascular risk burden, vascular factors on imaging, and medial temporal lobar atrophy were assess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d the Spearman rank test. Results: The mean permeability rates of the right and left hippocampi, as assessed with automatic segmentation, were 0.529 ± 0.472 and 0.585 ± 0.515 (Ktrans, x 10-3 min-1), respectively. Concerning the deep gray matter, the Ktrans of the thalamu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the putamen and hippocampus (p = 0.007, p = 0.041). Regarding the white matter, the Ktrans value of the occipital white matter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the frontal, cingulate, and temporal white matter (p < 0.0001, p = 0.0007, p = 0.0002). The variations in Ktrans across brain regions were not related to age, cognitive score, vascular risk burden, vascular risk factors on imaging, or medial temporal lobar atrophy in the study group.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d regional differences in BBB permeability (Ktrans) in cognitively normal elderly adults using a clinically acceptable 10-minutes DCE imaging protocol. The regional differences suggest that the integrity of the BBB varies across the brains of cognitively normal elderly adults. We recommend considering regional differences in Ktrans values when evaluating BBB permeability in patients with neurodegenerative diseases.

덕흥리(德興里) 고분벽화(古墳壁畵)의 복식사적(服飾史的) 연구(硏究) (A Study of Historical Costume from the Mural Tombs of Dukheungri)

  • 박경자
    • 복식
    • /
    • 제5권
    • /
    • pp.41-63
    • /
    • 1981
  • The mural portraits of the ancient Dukheungri tombs are very important for the study of our traditional costume because the tomb contains a stone. with the in-scription of the date of its erection, 408 A.D. and the name, and official status of the buried. The costumes shown in the mural paintings will be the basis on which historical research can be made concerning costumes before and after 400 A. D. The costume in the mural paintings is classified into five different categories; You (jacket), Po (overcoat), Go (trousers), Sang (skirt), and Gwan (hat). Comparing these categories with those of other mural paintings lead u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length of the You (jacket) reaches below the buttocks and the sleeves are narrow. The edges of the sleeves are decorated with stripes. The You (jacket) over-laps on the right, center, and left sides, and there are many Jikryong (V-collar) and Danryong (rounded collar) styles, but it has a similar tendency to others of the Pyongyang area which exhibit many foreign influences. In a departure from tradition. the belts on the men's You (jackets) have only 3 knots in the front, with the back having more knots than the front. The belts of the women's You (jacket) seem to have had a band or button for fastening. We must re-evaluate the assumption that the You (jacket) and Go (trousers) of the northern peoples had the common characters of a belted You (jacket) and Po (over-coat) and that the Gorum originated from the Goryo or Unified Silla dynasty. The outside of the sleeves are longer and more to the side than the inner garment (underwear) so that the sleeves of the inner garment frequently overlapped the outer dress. The above mentioned facts have lead to the discovery of the "Hansam," "Tosi" and "Geodoolgi." 2. The Po (overcoat) was used only by the upperclasses and differs from those found in other mural tombs. The Po (overcoat) of the noble on the tomb mural is centered with an overlapping Jikryong (V-collar) while the other Po (overcoats) of the upperclasses are characterized by an overlap on the left, a Danryong (rounded collar) with two types of sleeves (wide and narrow). Foreign influences and traditional influences coexist in Po (overcoat). Belts have frontal knots without exceptions. The facts that the belts on the You (jackets) are on the front and the belts on the Po (overcoats) are on the back must be reexamined. 3. Go (trousers) is usually narrow, being wider in the rear and narrower below the knees. They were used by hunters on the back of horses with similar Go (trousers) from the Noinwoowha tombs being typical of the northern peoples. 4. Sang (skirts) are pleated as commonly seen in the Goguryo murals. The size of the pleat is varied, each pleat being characteristically wider and having different colors. Same types of pleat are discovered in Central Asia and China. It is uncertain whether the pleat of Goguryo was originated in Central Asia and China or only interrelated with those of the areas. 5. There are three kinds of Gwan (hats); Nagwan, Chuck, and Heukgun. Nag-wan was worn by the dead lords and their close relations. Chuck has three cone shaped horns. Heukgun was worn by military bandmen and horsemen. There are two kinds of hair styles. The up-style was used by the upperclass people closely related to lords, and other people used the Pungimoung hair style. The hair styles of the men and women are characterized by the Pungimoung style. which is a Chinese influence, but still retain their originality. The costume has a similar tendency from those from Yaksuri mural tombs, Anak No. 2 and Anak No. 3. We need to reexamine the costumes from $4{\sim}5$ century murals according to the Dukheungri murals. The costumes of Goguryo share many common factors with those of Western Asia, Central Asia and Ancient China (Han). It seems due to the cultural exchanges among the Northern peoples, the Western and Central Asians, and the Ancient Chinese. It may have resulted from the structural identity or morphological identity of the peoples, or their common social and natural environments and life styles. It will be very valuable to study the costumes of Japan, China, and Korea to find out the common factors. It is only regretful that the study is not based on direct observations but reported information made by 77 persons, because Dukheungri is an off-limits area to us.

  • PDF

비치매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대뇌 아밀로이드 병리 예측을 위한 정량화 뇌파 지표: 예비연구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m Markers for Predicting Cerebral Amyloid Pathology in Non-Demented Older Individuals With Depression: A Preliminary Study)

  • 박선영;채수현;박진식;이동영;박지은
    • 수면정신생리
    • /
    • 제28권2호
    • /
    • pp.78-85
    • /
    • 2021
  • 목 적 : 노년기 우울증 환자에서 우울증상이 알츠하이머병의 전구 증상으로 나타났는지를 감별하는 것은 중요한 임상적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화 뇌파(quantitative EEG) 지표가 노년기 우울증 환자의 알츠하이머병 병리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기능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치매로 진단 받지 않은 55세 이상의 우울증 환자 63명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여성 76.2%; 평균 연령 ± 표준편차 73.7 ± 6.87세). 연구 대상자들은 [18F] florbetabenPET 결과에 따라 아밀로이드 양성(Aβ+, n = 32)과 음성으로(Aβ-, n = 31) 분류하였다. 뇌파는 7분 간의 눈을 감은 상태(eye-closed, EC)와 3분 간의 눈을 뜬 상태(eye-open, EO)로 촬영하였으며,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스펙트럼 분석을 시행하였다.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 안구 개폐 알파파 반응성 지표(EC-to-EO alpha reactivity index)가 노년기 우울증 환자의 아밀로이드 침착을 예측할 수 있는 신경생리학적 마커가 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알파 밴드 파워에서 아밀로이드 침착 여부(Aβ+ vs. Aβ-), 안구 개폐 조건(EC vs. EO), 지형학적 요인(laterality, polarity)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고 사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Aβ+군과 Aβ-군에서 각 주파수 밴드의 평균 파워 스펙트럼 밀도 중 EO phase의 알파 밴드 파워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F = 6.258, p = 0.015). 알파 밴드에서의 Group (Aβ+ vs. Aβ-) × Condition (EC vs. EO) × Laterality (Left, midline, or right) 3-way interaction이 연령, 성별, 교육 연수, 전반적 인지 기능, 약물 사용, MRI상 백질 고신호강도를 보정한 뒤에도 유의하였다(F = 3.720, p = 0.030). 하지만 대뇌 관심영역 별로 아밀로이드 침착에 따른 알파파 반응성을 비교한 사후 분석에서는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노년기 우울증 환자에서 EO phase의 알파 밴드 파워 증가가 대뇌 아밀로이드 침착과 관련이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했던 안구개폐 알파파 반응성 지표는 알츠하이머병 병리를 예측하지는 못했다. 보다 많은 대상자를 포함한 추후 연구로 해당 결과를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