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e Gyu-gyen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오주연문장전산고』 사전(祀典)의 건축 관련부분 해석과 연구 (A Study on the Texts Related to Ancestral Ritual Building in 『Ohju Yeonmun Jangjeon Sango』)

  • 백소훈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6호
    • /
    • pp.45-52
    • /
    • 2012
  • "Ohju Yeonmun Jangjeon Sango" written by Lee, Gyu-gye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ncyclopedias in the period of Chosun-Dynasty. There are two chapters related to architecture in this book, one is "ancestral rite governance·human"chapter, and the other is "architecture·human" chapter. Both of them are hard to understand because they are written in ancient Chinese and consist of various quotations in ambiguous way. This paper as a partial study is deal with the former. It makes difference between writter's original texts and quotations through textual research, and translates to modern Korean, and analyze information about ancient architecture in texts. The texts can divide to three sections. The first introduces three Chinese architectural theory books as "Gogonggi(考工記)", "Yeongjo Beopsik(營造法式)" and "Mokgyeng(木經)", and mentions about the prototype of the royal ancestral ritual building in "Gogonggi Toju(考工記圖注)". The second quotes "Seoyeong(書影)" to introduce "Yeongjo Beopsik". The third quotes "PaePyeon(稗編)" to introduce "Yeongjo Beopsik" and "Mokgyeng", and mentions about the counting unit of columns of the royal ancestral ritual building. Although the purpose for these quotations is not directly mentioned, but we can find it is intended to explain the architectural prototype and lay-out of the royal ancestral ritual building.

백두산 분화로 인한 상수도 시설 피해 관리 기준 설정 연구 (An Study on Development of Water Systems Damage Management Standard Caused by Mt. Baekdu Eruption)

  • 최정렬;김민규;이경빈;정일문
    • 지질공학
    • /
    • 제28권2호
    • /
    • pp.259-266
    • /
    • 2018
  • 백두산 분화시 북풍 또는 북동풍이 발달하게 되면 국내에 화산재가 확산될 가능성이 있으며, 화산재에 의해 민감한 영향을 받는 상수도 시설의 관리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수도 시설의 관리기준 수립을 위해 국외의 다양한 화산에 대해 분야별 피해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상수도 시설의 피해 요인을 퇴적, 흡착/침착, 마모로 나누어 예상되는 피해 정도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위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화산재 퇴적 두께에 따라 상수도 시설의 관리 단계를 4단계로 도출하였으며, 0~1 mm은 VAD(Volcanic Ash Degree) I, 1~3 mm는 VAD II, 3~5 mm는 VAD III, 5 mm 이상은 VAD IV로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관리 단계별 경보 기준, 화산재 영향, 피해 대응 절차 및 방안 등으로 구성된 상수도 시설 관리 기준(안)을 제시하였다.

화산재 피해 저감을 위한 상수도시설 대응매뉴얼 개선방안 (Improvement Manual for Waterworks Facilities to Reduce the Damage of Volcanic Ash)

  • 윤형욱;라다혜;이경빈;김민규;정일문
    • 지질공학
    • /
    • 제28권2호
    • /
    • pp.267-276
    • /
    • 2018
  • 화산 폭발 시 발생되는 화산재는 수백 km 떨어진 광대한 지역으로 확산되며, 화산재가 지표수에 유입될 경우 상수도 시설에 피해를 받게 된다. 상수도시설의 경우 우리 국민들이 먹는 식수와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시설로서 화산재 피해가 발생되면 수질오염 등의 피해발생으로 상수도 공급 중단 시 사회적 혼란이 야기된다. 그러나 재난관리 매뉴얼을 살펴본 결과 화산재 피해 에 대응하기 위한 상수도시설 매뉴얼 수립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수립된 화산 및 수질오염 관련 매뉴얼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신속한 상황판단 및 대응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수도시설 매뉴얼(안)의 적용범위, 재난유형, 관련기관 주요 임무 및 체계, 재난유형별 위기상황 시나리오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