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support

검색결과 2,904건 처리시간 0.03초

전직지원교육이 구직효능감과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몰입과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Effects of Outplacement Support Program for Discharged Soldiers on Job-seeking Efficacy and Psychological Stability -With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Commitment and Program Satisfaction-)

  • 이용재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265-289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의 원활한 사회적응을 돕기 위하여 국가보훈처에서 전직지원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실제적으로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전직지원교육 과정에 입교하여 수료한 323명의 제대군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AMOS 7.0 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는 학습몰입, 교육 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조직지원은 교육 만족도와 심리적 안정감에 직접적인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나 학습몰입에는 부(-)의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교육프로그램은 학습몰입, 교육 만족도, 구직효능감, 심리적 안정감에 직접적인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학습몰입은 구직 효능감, 심리적 안정감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교육만족도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교육만족도는 학습동기, 교육프로그램과 구직효능감, 심리적 안정감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였으나 학습몰입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전직지원교육이 실질적으로 제대군인에게 구직효능감과 심리적 안정감을 가져다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직지원교육 성과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교육프로그램 설계시 제대군인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사회적응에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을 해야 한다. 이 연구는 특정시점에서 제대군인을 대상으로 횡단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향후에는 취업이나 창업 성공 여부를 결과변수에 추가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종단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Effects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Students on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Goal Orientation

  • Kim, Jeong-R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61-168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has low school satisfaction level and course maturity. Also, they have various problem such as relatively large digital divide when compared to general student. To solve such problem, we designed, developed, and applied a software education program on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nalyze its effect on their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goal orientation.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llowed the main stages of ADDIE model and was designed into experience Sharing, Requirements analysis, Sharing, Grouping, and Organizing. 20 of 6th graders in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were chosen as subject for software education program. The effectiveness has been analyzed through pre, and pro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 developed software education program has meaningful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Goal Orientation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elementary students.

An Empirical Analysis of Trade Support System and Export Performance in Korean SMEs

  • KIM, Byoung-Goo
    • 융합경영연구
    • /
    • 제8권1호
    • /
    • pp.36-49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factors that affected the utilization of trade support policies and further analyzed how the utilization of trade support policies affected export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ith a sample of 223 small and medium-sized export firms from South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the utilization level of trade support system such as export market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network capability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Export market orient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tilization of the trade support system and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the utilization of trade support system. And network capabilities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utilization of the trade support system bu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the utilization of trade support system. The utilization of the trade support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export performance. Conclusions -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organization have affected small and medium-sized export firms use of trade support systems. The utilization of trade support system can enhance positive export performance by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and resource to external knowledge and also to complementary resources from the external partners.

사이버학습환경에서 온라인 과제가치, 학교의 지원,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n-line task value, University support, Satisfaction, Learning persistence in Cyber Education)

  • 주영주;최혜리;이영희;이유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41-353
    • /
    • 2010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과제가치, 학교의 지원, 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과제가치와 학교의 지원을 외생변인으로,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내생변인으로 설정하고 W사이버대학의 2009학년도 1학기 재학생을 대상으로 웹 서베이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온라인 과제가치와 학교의 지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이들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온라인 과제가치, 학교의 지원 및 만족도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학교의 지원과 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온라인 과제가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만족도는 온라인 과제가치, 학교의 지원과 학습지속의향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변인들 간의 간접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학습환경으로서 미래교육시설구성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A Study of the Level of Awareness of Teachers Regarding Future Learning Environments)

  • 이경희;홍경선;유화영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1-1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uge the level of awareness of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school teachers regard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learning space, and support for technology-based instruction in current and future school education, thereby providing essential data for seeking future improvement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Towards this end, a survey questionnaire (sectionalized into teaching-learning activities, learning space, and support for technology-based instruction) was developed. Subsequently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a random sampling of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school teachers in the Kyonggi, Kangwon, and Chonra Provinces. An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797 questionnaire responses thus attained, focusing on the teachers'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learning space, and support for technology-based instruction, the correlation of the findings of the three areas in question, and the differences of the finding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ose surveyed.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s of this study propose the following: First, that school administrators take into account the level of awareness of frontline teachers regard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learning space, support for technology-based instruction.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safe and secure learning environment conducive to the synergic interplay of the three areas in question, by realizing true ICT in the classroom. Third, teachers in the classroom must endeavor to achieve a meaningful synthesis between educational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s well as to serve as harbingers of improvements in the way we conduct the business of education.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 지원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예측력 검증 (Prediction of Learning Flow, School Flow and School Support on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 Engineering College)

  • 주영주;정애경;최혜리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9권1호
    • /
    • pp.30-38
    • /
    • 2012
  • 본 연구는 공학계열생들의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이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 예측여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준거변수로 하는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국내 D 대학의 2010년 1학기 기초학습 능력강화 프로그램에 속한 공학계열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예측변수의 준거 변수에 대한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몰입(${\beta}$= .22)과 학교몰입(${\beta}$= .20)은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학교몰입(${\beta}$= .32), 학교의 지원(${\beta}$= .23)과 만족도(${\beta}$= .22)는 학습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만족도는 학습몰입과 학습지속의향, 학교몰입과 학습지속의향을 매개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 변수가 학습자들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임을 시사하며, 특히 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을 높이는데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학계열생들의 성공적인 교육을 위한 학습전략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upport set의 중앙값 prototype을 활용한 few-shot 학습 (Few-shot learning using the median prototype of the support set)

  • 백으뜸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1호
    • /
    • pp.24-31
    • /
    • 2023
  • 메타 학습(meta learning)이란 즉각적으로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별하는 메타 인지로 적은 양의 데이터로 스스로 학습하고, 학습한 정보와 알고리즘으로 새로운 문제에 적응하며 해결하는 학습 방식이다. 그 중, few-shot 학습 방법은 메타 학습 방법의 한 종류로 매우 적은 학습 데이터 (support set)으로도 질의 데이터(query set)를 올바르게 예측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클래스의 mean-point vector로 생성한 프로토타입의 한계점인 높은 밀도값을 낮추면서 이상치(outlier)값을 극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방법을 해결하기 위해, 딥러닝 모델에서 feature를 추출하고, 획득한 feature사이의 요소별로 중앙값 계산하여 프로토타입을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 후, 앞서 생성한 중앙값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few-shot 학습 방법에 사용한다. 제안한 방법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필체 인식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기존의 방법보다 향상된 성능을 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중등교육 지원을 위한 e-Learning 적용 방안 연구 : 교육격차 해소,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 영재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f e-Learning Utilization to Support Elementary & Secondary Education)

  • 이준;이경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71-82
    • /
    • 2004
  • 본 연구는 공교육이 기본적으로 책임져야 할 영역 중에서 교육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일부 영역을 검토하고 해당 영역에서 e-Learning을 적용함으로써 공교육을 보다 내실화 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 분석 및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e-Learning이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3개 영역 - "소외계층 학생 지원", "선택교육과정지원", "영재교육 지원" - 을 도출하고 각 영역에 따른 현황 및 문제점을 검토한 후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였다. 아울러 e-Learning관련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수반되어야 할 전략적 기반으로서 관련 법제도의 개선, e-Learning 콘텐츠 공유 및 질 관리의 필요성을 함께 제시하였다.

  • PDF

Power Quality Disturbances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Novel Hybrid Kernel Function

  • Zhao, Liquan;Gai, Meijia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5권2호
    • /
    • pp.422-432
    • /
    • 2019
  • A hybrid kernel function of support vector machine is proposed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power quality disturbances. The kernel function mathematical model of support vector machine directly affects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Different types of kernel functions have different generalization ability and learning ability. The single kernel function cannot have better ability both in learning and generaliza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we propose a hybrid kernel function that is composed of two single kernel functions to improve both the ability in generation and learning. In simulations, we respectively used the single and multiple power quality disturbances to test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support vector machine algorithm with the proposed hybrid kernel function. Compared with other support vector machine algorithms, the improved support vector machine algorithm has better performance for the classification of power quality signals with single and multiple disturbances.

면역 알고리즘 기반의 서포트 벡터 회귀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신뢰도 추정 (Estimation of Software Reliability with Immune Algorithm and Support Vector Regression)

  • 권기태;이준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29-140
    • /
    • 2009
  • The accurate estimation of software reliability is important to a successful development in software engineering. Until recent days, the models using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statistical algorithm and machine learning method have been used. However, this paper estimates the software reliability using support vector regression, a sort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 Also, it finds the best set of optimized parameters applying immune algorithm, changing the number of generations, memory cells, and allele. The proposed IA-SVR model outperforms some recent results reported in the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