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Styles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6초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cience and engineering)

  • 전미애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40-266
    • /
    • 2013
  • 본 연구는 평생학습자로 살아가야 할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특성을 알아보고,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관계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충남의 H대학교 이공계열 전공 학생 142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검사와 Kolb 학습유형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전체 평균점수가 3.41로 나타나 Guglielmino & Guglielmino(1993)의 점수해석을 기준으로 할 때,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는 '평균'으로 볼 수 있다.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하위영역별 통계치를 보면,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 학생의 Kolb 학습유형 4가지 기본척도 분석결과 능동적 실험(AE)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추상적 개념화(AC)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이공계열 전공 대학생들은 Kolb 4가지 학습유형 중 확산형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수렴형은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하위변인과 Kolb 학습유형 기본척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다음과 같다. (1) 학습기회의 개방성, 배움에 대한 사랑이 구체적 경험과 관계가 있었다. (2) 학습기회의 개방성, 효율적이고 독립적인 학습자로서의 자아개념,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배움에 대한 사랑, 미래지향성이 추상적 개념화와 관계가 있었다. (3)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창의성이 반성적 성찰과 관계가 있었다. (4)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미래지향성이 능동적 실험과 관계가 있었다. 넷째,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평균점수를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Kolb 학습유형과 비교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 학습에서 학습양식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차이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internet-based learning style)

  • 조은순;김인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30
    • /
    • 2005
  •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주로 학습자의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습자를 가르치고 지도하게 되는 교수자들이 인식하는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대한 비교연구는 드문 편이다. 이는 교수자들이 학습자들에 대한 인식을 학습자들 자신과 다르게 하고 있을 경우 학습내용 및 활동의 전개는 물론 학습결과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게 하는 부분이며, 특히 기하급수적으로 확산이 되고 있는 인터넷학습의 경우 학습자들뿐 아니라 교수자들의 학습자 인식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향후 사이버 학습체제로 학교와 가정에서 인터넷 학습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될 초등과 중등 학습자들이 인터넷 학습시 어떤 유형의 학습양식을 선호하고 있으며, 이는 교수자들의 인식과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인터넷 학습에서 고려할 시사점들을 도출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전국의 초등학생 386명, 중학생 627명, 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학습자와 교수자들의 인식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초등 및 중등의 학습자들은 인터넷환경에서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양식을 선호하였으며, 교수자들도 학습자들이 인터넷 자기주도형의 학습양식을 선호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초등과 중등 모두 교수자들은 학습자들이 스스로 판단하는 것보다 상당히 자기주도형 이면서도 의존형이라고 인식함으로서 향후 인터넷학습의 설계와 개발전략에 고려할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논문은 결과로 향후 초등과 중등의 인터넷학습에서 학습자양식을 반영한 설계와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하며, 이는 각 교과목에 반영이 되어야 하고, 교수와 학습전략에서 상당한 변화를 가져와야 하며 사이버교사들의 튜터링에서도 차별화된 전략을 가져와야 함을 강조한다.한다.분야 별로 아키텍쳐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전자 부품은 분야는 오히려 모듈형에 가까웠음). 비단 항공기 개발과정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는 틀을 마련함으로써, 기존 연구개발기회에서 산업기술 분석을 통한 체계적 기획으로 전환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산업기술의 특성과 구조를 반영한 기술개발 방법론으로 아키텍쳐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했으며, 이것은 본 논문이 기대하는 바이기도 하다.쁖잖⨀쁖잖⨀/ࠐ쁡잖⨀焆덐瀆倆Ā뫫뫫ĀĀĀĀꪛ䂇잖⨀?잖⨀⁅잖⨀耇잖⨀梷熸ጁ庆䌀―?⨀က䀜徾遖洀ᘘ⼄ⴟᠯЭ⠘

  • PDF

국내·외 학생조종사들의 비행훈련 학습양식 비교 연구: Kolb 학습양식 모델을 적용하여 (A Comparison Study of College Student Pilots' Learning Styles in Flight Training School: applying Kolb's Learning Style Model)

  • 황재갑;이근영;윤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97-207
    • /
    • 2021
  • 국내 대학 부설 비행훈련원의 학생조종사를 대상으로 Kolb 학습양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며, 다양한 생각과 상상력이 풍부한 학습양식인 확산자 학습양식으로 비행훈련과정에 입과(100%)하여 학년이 올라가면서 조절자(11.1%)나 융합자(15.9%) 학습양식으로 일부 전이가 일어나나 비율이 낮고 4학년이 되어도 대부분(71.4%) 확산자의 학습양식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국 학생조종사의 경우, 1학년에 융합자(35.5%)와 수렴자 학습양식(24.3%)이 다수를 차지하고 고학년이 될수록 엔지니어 또는 기술자에게서 나타나는 수렴자의 비중이 확대되었다. 중국 학생조종사의 경우는 1학년에서는 융합자(41.5%)와 수렴자(28.4%)가 대부분이었으나, 고학년이 될수록 융합자와 수렴자의 비중이 감소하고 우리나라와 유사한 확산자의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학년의 경우, 조절자는 1학년과 비슷한 수준이나 융합자는 지속적으로 감소(1학년 41.5%, 4학년 27.0%)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생조종사의 학습양식이 엔진니어나 기술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학습양식인 수렴자가 아닌 확산자 학습양식이며 4년 동안 학습양식의 변화가 없게 분석되었다. 향후 국내 비행훈련원 비행훈련 과정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디키-3000을 활용한 초등학교 프로그래밍 교육방안 (A Study on the Programming Education using Diki-3000 for Elementary School)

  • 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627-635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습자 특성에 따른 프로그래밍 교육방안 마련을 위해 구체적 조작활동 교구인 디키-3000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한 후 Grasha와 Reichmann(1974)가 제안한 6가지 학습양식 유형별 프로그래밍 성향 및 성취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양식 유형에 따른 프로그래밍 성향은 의존형보다는 독립형, 협동형 보다는 경쟁형, 회피형 보다는 참여형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성취도 측면에서 는 독립형, 경쟁형, 참여형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 학습자와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한 결과 학습양식 유형별 프로그래밍 학습에 대한 요구사항의 차이를 알게 되었으며 교육환경, 학습교구, 학습내용, 교수방법 측면의 디키-3000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PBL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동기 차이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Analysing Differences of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in Project-Based Programming Learning)

  • 김병욱;김한성;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5-27
    • /
    • 2010
  • PBL(Project Based Learning)은 학업성취도 및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학습 초기의 진입장벽이 높은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PBL의 장점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수업설계시에 학습동기 유발전략이 요구된다. 이러한 학습동기 유발전략은 학습자의 학습양식을 고려하여 적용하였을 때에 효과적이지만, 아직까지 PBL 기반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동기 향상을 위해 학습양식에 따라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PBL 기반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양식에 따라 학습동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설계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RCS 모델을 중심으로 설계된 시뮬레이션을 제작해보는 PBL 프로그래밍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에 학습동기검사, 학습양식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조치 후 사후 학습동기를 검사한 결과,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학습양식에 따른 ARCS 모델의 하위 요소별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PBL 기반의 프로그래밍 수업설계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간호학과 신입생의 성격유형, 학습스타일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Learning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First Year Nursing Students)

  • 윤희장;곽은미;권선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247-255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들의 성격유형과 학습스타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성을 탐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간호학과 신입생 144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6일부터 5월 18일 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와 ANOVA, Chi-square test 그리고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성격유형은 외향적 성향(58.3%)이 내향적 성향 보다 많았으며 감각적 성향(66.7%)과 감정형(77.8%)이 직관적 성향과 사고형 보다 많았고 판단형(50.7%)이 인지형 보다 많았다. 학업성취도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았고(t=3.277, p<.001), 내향적 성향이 외향적 성향 보다 높았다(t=3.541, p<.001). 성격유형별 학습스타일의 차이는 판단형이 다른 성격 유형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chi}^2=18.409$, p<.001). 성별과 TF지표(r=.209, p<.05), 성별과 학업성취도(r=.265, p<.01), JP지표와 학습스타일(r=.262, p<.01), EI지표와 학업성취도(r=.285, p<.01)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간호학과 신입생의 성격유형, 학습스타일, 학업성취도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에게 적합한 교수-학습법의 개발 및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교사 보조 로봇 스타일에 따른 아동 반응 분석 (Analysis on Children's Response Depending on Teaching Assistant Robots' Styles)

  • 정재경;최종홍;한정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95-203
    • /
    • 2007
  •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과 로봇 기술의 발달과 함께 지능형 로봇은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점차 그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견된다. 많은 서비스 로봇들 중에서 교육용 로봇을 이용한 r-Learning의 개념과 함께 다양한 필드 스터디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교사 보조 로봇은 곧 실용화를 앞두고 많은 HRI 연구가 요구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로봇의 교수 스타일에 따라 학생의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평균키의 양팔이 달린 교사보조 로봇 프로토 타입을 제작하고, 동일한 영어단원에 대하여 두 가지 교수 스타일(명랑, 진지)의 컨텐츠를 개발하여 탑재한 후 초등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흥미도, 성취도, 집중도가 어떻게 다른지를 실험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학생의 흥미도는 명랑한 로봇과 함께 수업한 집단이 높았지만, 성취도는 로봇의 스타일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으며, 집중도는 진지한 교수 스타일의 로봇과 함께한 그룹의 시간이 길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보조 로봇의 컨텐츠를 제작함에 있어, 중요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 PDF

교육과정별 간호학생의 학습유형과 간호분야 선호에 관한 일 연구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Nursing Specialties of Nursing Students)

  • 이명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4-7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learning styles, learning stages, and preferred nursing specialties between two groups of nursing programs, regular BSN and RN-BSN. The survey instrument was a simplified version of the Kolb's Learning-Style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 self- reported learning style questionnaire with twelve questions related to the four learning stages. The sample of the study was the 218 nursing students in a university in Korea which consisted of 58 junior and 67 senior students in the regular BSN program, and 58 junior and 35 senior students in the RN-BSN program.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the following. 1) Over all, the major learning style was either the diverger or the accomodator; the most preferred learning stage was the concrete experience and the leastly preferred learning stage was the abstractive conceptualization learning stage; and the most preferred nursing specialty in the future was the clinical nursing. 2) Students in the BSN program preferred four learning stages with rather equal proportion, whereas the students in the RN-BSN program preferred the concrete experience learning stage as high as 60.3% and the abstractive conceptualization learning stage as low as 9.5%. 3)For the future career, the junior students of both programs preferred clinical and educational nursing areas, and the senior students of both programs preferred clinical and research areas. The main reason of the difference seemed to result from the different courses such as Health Education or Teaching Method for the juniors and the Nursing Research for the seniors of both groups. Because the sampl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a university,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for the entire nursing students in Korea. Continuous studies with larger numbers of nursing students and nurse educators, and experimental studies measuring the effects of new curricula are needed for the future.

  • PDF

문학 자료를 활용한 통합적 과학 탐구 학습의 초등 과학 학습에 대한 효과 (An Effect of Integrated Science Inquiry Learning Method through Literature Materials on the Elementary Science Learning)

  • 한영욱;이우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9-2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grated science inquiry teaming method through literature materials on the learner's science concept formation, inquiry ability, and attitude related to science when it was applied to the unit 'The temperature of atmosphere and winds', 'The journey of water' in the 5th grade, and to find out the effect on science learning according to teaming styles. To study these subjects, 4 classes of 5th grade in J elementary school in Busan were sele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grated science inquiry learning method through literature materials was more effective for concept formation than conventional teaching method. In science inquiry ability,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between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n attitude related to scienc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interest in occupation related to science. The visual modality learner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tatistics than the other modality learners in the post-investigation into the science concep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isual and the kinesthetic modality learners in the result of post-test on science inquiry ability.

  • PDF

일개 간호학과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학년별 특성에 관한 조사 (Nursing Student s Methods of Learning)

  • 이명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521-1530
    • /
    • 2000
  • This descriptive study identifies nursing students' methods of studying related to the learning stages, based on a sample of 251 nursing students in a Korean university.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ajor learning styles of nursing students were accomodation (68.6%), divergen (53.6%), and convergence (38.8%) for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year group. For all students, the majority (71.3%) showed accomodation or the divergence. The learning styles for grade lev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x2=110.021, df=9, p=0.001). The stage of concrete experience was the majority for all of the first year group (51.8%), the second year group (57.1%), and the third year group (61.3%). But, active experimentation (41.9%) was the majority for the fourth year group.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ages of learning by age (x22= 64.391, df=9, p=0.001). The most significant result of the study was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 modes of learning stages by year, thus supporting the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he greatest change of style from the first year group to the second year group was reflective observation (7.3%longrightarrow12.9%). That from the second year group to the third year group was the abstractive conceptualization (14.3%longrightarrow21.3%); and that from the third year group to the fourth year group was active experimentation (12.0%longrightarrow41.9%). This reflects the same cycle as indicated by the experimental learning theory of Kolb. According to the study, nursing students' learning stages tended to be more unbalanced as year increases. Therefore this calls for a careful review of the current nursing curricul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