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Mentoring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7초

멘토링을 통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탐구지향적 교수실행 변화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quiry-Oriented Teaching Practice through Mentoring Program)

  • 남정희;김현옥;고문숙;고미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44-556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멘토링 과정을 통하여 초임중등과학교사의 탐구지향적 교수실행이 어떻게 변화해 나가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직 경력 3년 이하의 초임중등과학교사 3명을 멘티교사로 선정하고, 교직 경력 10년 이상의 멘토교사 3명과 짝을 이루어 멘토링을 실시하였다. 멘토링에 의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탐구지향적 교수실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멘토링 전과 멘토링이 진행되는 동안 총 5차시의 수업을 녹화한 후 분석을 위하여 전사하였다. 멘토 교사는 멘티교사의 수업을 관찰한 후 실시한 멘토링을 통해 멘티교사들에게 지속적으로 교수실행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멘티교사들의 전문성 발달을 유도하였다.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 탐구지향적 교수실행의 정도을 알아보기 위해 RTOP(The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을 수업분석도구로 활용하였다. 수업을 분석한 결과 멘토링 실시 전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은 교사주도의 내용 전달에 치중한 수업이 주로 진행되고 있었고, 수업 중학생들의 다양한 탐구활동이나 문제해결이 장려되지 못하고 학생들의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부족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멘토링이 진행되는 동안 초임중등 과학교사들은 학생활동이 강화된 실험활동과 주제발표 및 토론 수업 등의 다양한 수업을 시도하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멘토링 후반부로 갈수록 교사가 학생들의 다양한 표현을 격려하고 토론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제시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고 노력하였다.

기업 내 세대 교류의 가능성: 국내외 리버스멘토링 (Reverse Mentoring)프로그램 도입 및 성공요소 사례연구 (Possibility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in Corporations: A Case Study of Reverse Mentoring on its Purpose and Success Factors)

  • 김주현;이아영;정순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457-475
    • /
    • 2021
  • 한국사회가 고령사회에 진입하며, 노동현장에서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상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리버스 멘토링(reverse mentoring)을 세대 교류의 차원에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문헌연구와 인터뷰를 이용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국내외 기업의 리버스멘토링 도입목표를 유형화하고, 의도적 표집방법으로 추출된 미국의 A사와 국내의 B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리버스 멘토링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실행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틀로는 사회교환이론, 조직연령이론, 세대연대이론을 바탕으로 1) 상호이익성 2) 동등한 기여, 3) 지속가능성의 세가지 명제를 제시하였다. 사례분석결과, 리버스멘토링의 도입 목표는 크게 세 가지로 소셜미디어 교육, 기업의 다양성 증진, 젊은 세대의 트렌드 이해로 나타났다. 미국의 A사와 국내의 B사의 경우 상호이익성과 동등한 기여에서는 유사성이 나타났으며 지속가능성의 경우 미국의 A사와는 달리, 한국의 B사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앞으로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노동 조직 내에서 리버스멘토링이 세대교류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된다.

대학생 교사제의 효과 분석: 사범대학 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The Effect of Teaching Experience in After-School Learning Programs: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 주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3호
    • /
    • pp.295-313
    • /
    • 2006
  • University teacher education programs have sought for ways of how to improve student teaching in order to supply mathematics teachers with practical theory to achieve the goals of the current educational reform in school mathematic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udent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in the after-school mathematics programs and the ways of how to develop the after-school learning programs as an effective site for learning to teach based on the inquiry into student teachers' own teaching experience. For the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student teachers who had taught after-school mathematics class. In addi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class observation, and seminal meetings with the student teachers in order to supplement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 analysis. Data analysis focused on the student teachers' experience with teaching in after-school mathematics classes, that is, what and how they had learned as teachers, what kinds of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in their teaching and supports that they expect to improve their learning through teaching. The analysis shows that the teaching experience in the after-school programs had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ir development as future mathematics teachers. Specifically, the after-school programs provide the site for learning through teaching at the early stag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after-school programs provided the students teachers for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peripherally in educational practice of school. Through the participation, the student teachers developed positive attitudes toward teaching career and became to have more solid ideas about how to teach mathematics. Based on the analysis, this research provides following suggestions concerning how to improve student teaching.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 teachers to participate into the practice of teaching at the early stag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Second, it is important to give students teacher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eaching at peripheral and legitimate positions. Final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mentoring networks to support student teachers to move from a peripheral position toward a center of teaching practice.

  • PDF

다문화 멘토의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cultural Mentor's Capacity)

  • 박미숙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879-88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멘토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멘토 역량 중진을 위한 교육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기간은 2016년 6월부터 2016년 9월까지이며 다문화멘토링에 1년 이상 참여한 멘토 10명에게 자신이 다문화멘토링에 참여한 결과 다문화멘토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하여 심층인터뷰한 후 전사하여 교육적,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역량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멘토가 갖추어야 할 학습적 역량은 멘티를 가르칠 수 있는 지적능력과 교수스킬이다. 둘째, 심리적 역량은 멘티의 말을 경청하려는 자세와 이를 상담할 수 있는 스킬이다. 셋째 사회적 역량은 대화 능력과 의사소통 기술, 그리고 책임감이다. 넷째, 문화적 역량은 다양성을 인정해주고 멘티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를 바탕으로 멘토의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교육방안은 첫째, 멘토링 투입 전에 멘토의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멘토링을 통한 멘토들의 자기성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한다. 셋째, 멘토들에게 주기적인 상담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멘토의 역량에 중요성을 인식하고 멘토링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Looking at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rom the Developmental Network Perspective

  • Chang, Jihyun;Kim, Taesu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5권3호
    • /
    • pp.195-206
    • /
    • 2018
  • Paying close attention to those new to an organization, whether fresh or experienced, whose primary interest is in (re)socialization, the current study intends to (1) further the concept of mentoring from a bilateral relationship to a community and culture fostered by developmental networks, (2) propose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fo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3) suggest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This study reviews, analyzes, and integrates research assets and subsequently re-conceptualizes the aggregate information as valid propositions and a conceptual framework. The findings include (1) 11 proposit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among network characteristics (embeddedness, diversity), developmental functions (career support, psychosocial support, and role modeling), and socialization outcomes (learning and attitudinal outcomes); and (2)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that depicts a comprehensive mechanism through which developmental networks conduce to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comers. Implications are that developmental networking must be an individual's fundamental competency and an essential part of organizational onboarding processes, and imperative for both members' career development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By integrating research assets on the developmental phenomenon into conceptualizations, this study furthers the concept of mentoring to organizational culture and stimulates a substantive discourse for theory-building towards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rom the developmental network perspective.

완전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전자멘토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f e-Mentoring System for Full Inclusion)

  • 이재호;이준석;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453-456
    • /
    • 2010
  • 이 연구는 완전통합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전자멘토링 시스템을 구축 및 사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스템 설계를 위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내 외 시스템과 연구들을 분석한 후, 완전통합교육 지원에 적절한 전자멘토링 수행모형을 도출했다. 특히, 설계와 구현에 있어서는 온라인의 수평적 멘토링 구현과 다양한 멘토링 형태의 지원, 상호보완적 관계형성, 그리고 활동에 대한 피드백 제공 등에 역점을 두고 시스템을 구축했다. 개발된 전자멘토링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위해 운영자 2명, 멘토 5명, 멘티 5명을 선정한 후, '멘토링 지원(인지적 지원, 정서적 지원, 적용가능성)'과 '기술 지원(편의성, 정확성, 심미성)' 등 2가지 영역, 총 10개의 문항을 통해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통합학급 담당교사와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사용성 평가 결과, 완전통합교육 지원을 위해 개발된 전자멘토링 시스템은 모든 영역에 걸쳐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장기간 지속적인 적용을 통해 개발된 전자멘토링 시스템의 실질적 효과성을 검증해 보는 연구가 요청된다.

  • PDF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 문제점 (An Analysis on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Problems in their Teaching Practi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 박지훈;남정희;권정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57-56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프로그램에 참가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대학교 과학교수학습센터에서 주관한 중등과학교사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멘토링 연수 프로그램에 참가한 24명의 교사 중 5번의 멘토링 과정을 모두 이행한 6쌍(1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멘토 및 멘티 저널, 일대일 멘토링 녹음본 및 전사본, 멘토링 중간과 사후에 실시한 인터뷰 녹화본과 전사본, 멘토링 초기와 후기에 실시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서 얻은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멘티교사는 수업을 준비할 때 수업목표를 명확하게 정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수업내용을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적인 개념 이해에서도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멘티교사는 한 차시에 너무 많은 내용을 수업하였으며 발문의 형태는 학생들의 사고를 이끌어내는 발산적 발문보다는 수렴적 발문이 대부분 이였다. 또한 학생들의 행동을 잘 통제하지 못하여 실험수업이나 탐구수업 수행 시 힘들어 하였으며 대부분의 수업에 학생의 참여가 없는 교사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멘티교사들 중 일부는 자신의 교수실행에 대해 문제라고 인식한 부분에 대한 반성을 하였고 교수실행의 개선으로 이어졌다. 같은 문제점을 가진 멘티교사라도 자신의 문제점에 대해 인식하고 반성을 한멘티교사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반성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멘토링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동일한 문제점을 나타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초임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 대한 반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과대학 소그룹 지도 프로그램 운영의 사례연구: SNU 학습멘토링, 피어튜터링, 학습코칭, 의학연구 멘토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Small Group Teaching Programs in Medical School: SNU Mentoring, Peer Tutoring, Coaching, and Research Mentoring Programs)

  • 김지영;이승희;김은정;김혜림;황진영
    • 의학교육논단
    • /
    • 제14권2호
    • /
    • pp.78-85
    • /
    • 2012
  • This paper will discuss the issues in four different small group teaching programs administered b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will address and propose solutions to those issue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Medical school has a particular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differs from the rest of the university. Therefore, program managers should develop better models to fit medical school needs by reviewing our practices and planning for improvement. As managers of these programs, the authors interviewed students applying to participate. If our responsibilities for these programs continue fo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and we have a sufficient number of participants hereafter, we will do a survey and generate more reliable conclusions from quantifiable data. However, given that these programs are in their early stages, we present here some introductory remarks on the theory behind the programs and the outcomes we expect. The discussion will define and explain the different needs and roles of each participant (professor, student, and manager) in the program, and will suggest some practical ways for the managers in the programs to make improvements to the existing model so that the enhanced programs can better suit the needs of the medical school.

Capstone Design Project by Team Activities

  • Shim, Joon-Hwan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33-37
    • /
    • 2010
  • This paper deals with the introduction of capstone design project by team activities in Department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This course is referred to as Creative Engineering Design for spring semester of 4th-year undergraduates. The course focuses on creative thinking and cooperative mind to students by learning engineering design skills, realizing their idea through design project and recognizing practicality of their systems. The intent of the course is to provide a true "capstone" experience, where students can combine their skills to achieve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a project. This paper describes class process and evaluation method, and cooperative works with mentees and industrial mentors connected through Hanium network for IT mentoring activities.

  • PDF

소외계층 영재학생을 위한 온라인 학습 멘토링 설계 (Design of Online Learning Mentoring for Disadvantaged Gifted Student)

  • 김성원;김영민;류지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637-63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소외계층 영재학생을 위한 온라인 학습 멘토링 운영 방안을 도출하였다. 소외계층 영재학생에게 필요한 맞춤형 과제, 실생활 문제, 학업 관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맞춤형 과제와 피드백, 학업 상담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학습 멘토링 운영 방안을 도출하였다. 맞춤형 과제에서는 소외계층 영재학생의 수준에 따라 실생활 주제를 활용한 과제를 제시하였으며, 피드백을 통하여 과제의 결과물을 평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학업 상담에서는 학업 계획 및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문가와 함께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멘토링을 소외계층 영재학생에게 운영하고, 온라인 학습 멘토링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