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Contents System

검색결과 1,123건 처리시간 0.029초

Learners' Attitude toward E-Learning: The Effects of Perceived System Quality and E-Learning Usefulness, Self-Management of Learning, and Self-Efficacy

  • Um, Nam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7권2호
    • /
    • pp.41-47
    • /
    • 2021
  • The coronavirus pandemic has brought about dramatic changes in education, evidenced most clearly by the increase in e-learning. Thus, to identify how learners' attitudes toward e-learning are affected by diverse factor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ceived system quality and usefulness, the self-management of learning, and self-efficacy. A total of 236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study's proposed hypotheses. The study findings suggested that learners' attitudes toward e-learning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perceived e-learning usefulness, self-management of learning, and self-efficacy. However, the perceived system quality had no influence an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초등수학의 개별학습을 위한 학습자 진단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arner Diagnosis System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dividualized Learning)

  • 허정원;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12
    • /
    • 2002
  • 본 논문은 초등학생의 수학과 학습능력을 진단하여서 결과에 따라 개별학습을 할 수 있는 LED 시스템 (LEarner Diagnosis system)을 설계 구현한 것이다. 수학과와 같이 위계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는 교과는 선수학습을 제대로 성취하지 못하면 후속학습에 곤란을 겪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LED 시스템은 학습 전에 학습자의 선수 학습 능력을 진단한다. 진단 결과 학습 결손이 있을 때는 보충학습을 통해 결손을 보충하고 본 주제학습을 한다. 또한 매 학습이 완전학습이 되어 더 이상의 학습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학습 후에도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완전학습이 이루어졌을때만 후속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LED 시스템을 이용하면 학습자는 학습결손을 방지할 수 있고 완전학습을 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학습 목표에 도달 할 수 있게 된다.

  • PDF

A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based Dynamic Smart On/Off-line Learner Tracking System

  • Lim, Hyung-Min;Jang, Kun-Won;Kim, Byung-Gi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6권4호
    • /
    • pp.609-620
    • /
    • 2010
  • In order to provide a tailored education for learners with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it is critical to undertake an analysis of the learning activities of learners. For this purpose, SCORM (Sharable Contents Object Reference Model), IMS LD (Instructional Management System Learning Design) and other standards provide learning design support functions, such as, progress checks. However, in order to apply these types of standards, contents packaging is required, and due to the complicated standard dimensions, the facilitation level is lower than the work volume when developing the contents and this requires additional work when revision becomes necessary. In addition, since the learning results are managed by the server there is the problem of the OS being unable to save data when the network is cut off. In this study, a system is realized to manage the actions of learners through the event interception of a web-browser by using event hooking. Through this technique, all HTMLbased contents can be facilitated again without additional work and saving and analysis of learning results are available to improve the problems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standards. Furthermore, the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can be supported by tracking down learning results when the network is cut off.

스마트 학습 환경에서 웹 콘텐츠 적응을 위한 부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gmentation for Adaptation of Web Contents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 서진호;김명희;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25-333
    • /
    • 2016
  • The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y has brought the conversion of closed traditional e-learning contents into open flexible smart learning contents consisting of learner-centered modules,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by use of smart devices from the uniformed and passive classroom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t has been demanded an open, personalized and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smar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according to wide supply of various smart devices. In this paper, we discuss about the status of the smart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web contents for smar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by use of smart devices. And we propose a method how to block web contents, to extract them, and adapt personalized segments of web contents by adaptive algorithm into smart learning devices. We extract blocks from the web contents based on the smart device information and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learners from existing web contents without the hassle of learners environment. After specifying a block priority from the extracted web contents by the adaptive segment algorithm, it can be displayed directly to the screen to fit the individual learning progress of the learners.

ADL기반의 학습수준별 동적 콘텐츠 구성 (ADL based Construction of Dynamic Contents for Learner's Tailoring Learning)

  • 정화영;홍봉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371-378
    • /
    • 2009
  • 많은 학습시스템이 학습자의 학습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학습 난이도를 평가 및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적용방법들은 학습 전 또는 학습 후 학습결과를 분석할 때 산출되어 학습자가 학습도중에 난이도를 변경하면서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수준을 학습 과정 중에 적용하고, 이 수준에 맞는 학습 콘텐츠를 다음 학습에 바로 적용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사전 검사를 통해 설정된 난이도에 따라 다음 학습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어 학습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효과적인 e-learning 콘텐츠 생성 및 관리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Efficient e-learning Content Creation and Maintenance Method)

  • 조수현;김영학;김명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5-25
    • /
    • 2008
  • 최근에 e-learning의 사용이 증대되면서 교수자들은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하여 새로운 온라인 강의 코스를 개발하고 그 결과를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한다. 이러한 콘텐츠들은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새로운 정보로 갱신되어야하고, 또한 새로운 콘텐츠가 이들 콘텐츠를 재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교수자들이 자신의 컴퓨터에서 여기저기에 저장된 콘텐츠를 찾고 편집하고 관리하는 일은 많은 시간을 요구한다. 현재 PC환경에서 이러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e-learning 콘텐츠 관리 도구의 개발은 아주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수자의 컴퓨터에 분산되어 저장된 다양한 콘텐츠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새로운 강의 코스를 쉽게 개발할 수 있는 e-learning콘텐츠 생성 및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PC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교수자들의 콘텐츠 개발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 평가를 위해 콘텐츠 키워드의 검색 시간에 따라 본 시스템을 이전 시스템과 비교하였으며, 실험 결과 이전 시스템보다 훨씬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 PDF

e러닝 성공 평가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Measurement of e-Learning Success)

  • 손맥;조은영;김희웅
    • 지식경영연구
    • /
    • 제15권2호
    • /
    • pp.67-88
    • /
    • 201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on measuring the success of e-Learning. For this purpose, we proposed a research model that consists of e-Learning contents quality, e-Learning system quality, e-Lecturing quality, sense of e-Learning community factors as independent factors and e-Learning and e-Learning satisfaction as mediators and tested it empirically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e-Learning contents quality, e-Learning system quality, sense of e-Learning community factors directly lead to e-Learning. The study also found that e-Learning contents quality, e-Lecturing quality, sense of e-Learning community factors bring about higher e-Learning satisfaction and that e-Learning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e-Learning. Furthermore, the research discovered that both e-Learning and e-Learning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Learning net benefits. This research renders its theoretical contribution to analyzing a positive influence of sense of e-Learning community, a newly suggested variable added to the existing IS success model in this study, on e-Learning. From a practical view,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lea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Learning in today's era where the growth of e-Learning industry is quite noticeable.

  • PDF

변형된 돌연변이를 가진 대화형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학습 콘텐츠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arning Contents Using Interactive Genetic Algorithms with Modified Mutation)

  • 김정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85-9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변형된 돌연변이 연산자를 적용한 대화형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웹-기반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대화형 유전자 알고리즘은 주로 상호 교환(reciprocal exchange) 돌연변이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돌연변이 연산자를 변형하였다. 그리고, 대화형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웹 기반 학습 콘텐츠는 동적인 학습 내용과 실시간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학습자가 자신의 특성과 흥미에 따라 대화형 유전자 알고리즘을 수행하면서 효율적인 학습 환경과 콘텐츠 배열 순서를 선택할 수 있다.

  • PDF

학습 효과 증진을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개방형 U-러닝 시스템 설계 및 프로토타입 제작 : 2009년 개정 과학과 교육 과정 중심으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droid-based Open U-Learning System for Improve Learning Effect : Focusing on 2009 revised science education courses)

  • 김윤수;이주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35-149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 교과목 학습에 대한 학생들이 가지는 학습적 어려움을 파악하고 기존 연구와 시중에 사용되는 학습 애플리케이션들을 분석하여 U-러닝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해 기존 대다수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가지는 동영상 기반으로 인한 긴 학습시간의 요구와 개방형 학습콘텐츠의 부족으로 인해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 수준을 파악할 수 없다는 점과 양방향 참여가 어렵다는 문제점, 그리고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교육 콘텐츠 제공과 같은 문제점들을 발견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단기학습 단위의 소규모 학습 콘텐츠, 개방형 학습 시스템, 강화된 계층적인 학습 콘텐츠 등의 설계요소들을 적용하여 새로운 U-러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시스템을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구현하여 학습 대상에게 유익한 과학 교육을 제공하였다. 제안한 U-러닝 시스템이 교육 효과가 있음을 보이기 위해 중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기존 학습 애플리케이션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U-러닝 시스템을 모두 이용하게 하였다. 분석 결과로서 일방적인 단방향 학습이 아닌 양방향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학습결과를 공유하여 피드백이 가능함으로써 학습효과가 얻어 질 수 있음을 t-검정으로 확인하였다.

대학 e-러닝 활성화를 위한 학습자 요구분석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Learners' Demand for the Universities e-learning Vitalization)

  • 김기석;박의준;유수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75-84
    • /
    • 2011
  • The e-learning contents offered in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does not appropriately reflect the needs of actual users in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phases. Considering this problem, this study sets the following four topics as its research: Stability of e-learning; Obstacles of the applications of e-learning; e-learning contents that users wants to be offered besides lectures; and methods of e-learning, and based on these goals, it aims at determining the 'needs of the users for the promotion of e-learning. As the target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0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aking e-learning classes in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Eastern Seoul, which have introduced an e-learning system.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nt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processes and were analyzed by year, major, and department using SAS 9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developing and offering services of e-learning contents that are customized to students based on their majors and year can become an effective plan for promoting e-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