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k path plugging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A study on transport and plugging of sodium aerosol in leak paths of concrete blocks

  • Sujatha Pavan Narayanam;Soubhadra Sen;Kalpana Kumari;Amit Kumar;Usha Pujala;V. Subramanian;S. Chandrasekharan;R. Preetha;B. Venkatrama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6권1호
    • /
    • pp.132-140
    • /
    • 2024
  • In the event of a severe accident in Sodium Cooled Fast Reactors (SFR), the sodium combustion aerosols along with fission product aerosols would migrate to the environment through leak paths of the Reactor Containment Building (RCB) concrete wall under positive pressur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odium aerosol transport through concrete leak paths is important as it governs the environmental source term. In this context,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study the influence of various parameters like pressure, initial mass concentration, leak path diameter, humidity etc., on the transport and deposition of sodium aerosols in straight leak paths of concrete. The leak paths in concrete specimens are prepared by casting and the diameter of the leak path is measured using thermography technique. Aerosol transport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measure the transported and plugged aerosol mass in the leak paths and corresponding plugging times. The values of differential pressure, aerosol concentration and relative humidity taken for the study are in the ranges 10-15 kPa, 0.65-3.04 g/m3 and 30-90% respectively. These observations are numerically simulated using 1-Dimensional transport equation. The simulated values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reasonable agreement among them is observed. From the safety assessment view of reactor, the approach presented here is conservative as it is with straight leak paths.

소듐 분위기에서 물누출에 의한 5Cr-1Mo Ferrite강 구멍의 막힘과 재개방 현상 (Plugging and Re-opening Phenomena of the 5Cr-1Mo Steel Leak Hole by Water Leakage in Sodium Atmosphere)

  • 정경채;김태준;최종현;박진호;황성태
    • 공업화학
    • /
    • 제9권5호
    • /
    • pp.674-679
    • /
    • 1998
  • 액체금속로 증기발생기 전열관 재질로 사용이 예상되는 ferrite steel 시편을 사용해서 소듐분위기에서 미량의 물 누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누출경로는 소듐-물 반응생성물 및 부식생성물에 의한 self-plugging 현상과 열적인 transient 및 전열관의 vibration에 의한 re-opening 메카니즘으로 설명이 가능하였다. 실험결과, 600 Psig의 injection 압력으로 5 g $H_2O$를 소듐분위기 속의 시편으로 누출시킨 경우, 누출초기와 약 70분 경과 후에 약간의 누출 흔적이 보였으나, self-plugging되었던 누출경로는 129분이 경과되자 완전 re-opening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누출시편의 re-opening shape은 2중으로 되어 있었으며, 소듐부위에서 시편 표면에 나타난 re-opening size 약 2 mm의 직경을 나타내었다.

  • PDF

소듐분위기에서 물 누출로 인한 Ferrite Steel에서의 반응현상 (Reaction Phenomena of the Ferrite Steel by Water Leakage into Liquid Sodium)

  • 정경채;김병호;권상운;김광락;황성태
    • 공업화학
    • /
    • 제9권2호
    • /
    • pp.268-272
    • /
    • 1998
  • 액체금속로 냉각재인 액체 소듐에서 시편의 누출특성을 소듐-물 반응 실험에 의해 조사하였다. 소듐-물 반응 현상의 확인은 물 누출 실험 전후에 Fe, Cr 및 Ni 등과 같은 시편의 조성 변화로 확인하였다. $100kg/cm^2$의 누출 압력으로 4시간 동안 시편의 누출 경로를 통해 물을 누출시킨 결과, 누출경로에서 소듐-물 반응생성물들이 침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부식에 의해 누출경로가 완전 파열되어 다량의 수증기가 액체 소듐속으로 빠져나가는 re-openning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시편의 누출경로가 막히는 self-plugging 현상은 소듐-물 반응에 의한 반응생성물과 시편의 부식에 의한 부식 생성물이 주 원인으로 추정되고, re-openning 현상은 시편의 누출경로에서 열적인 transient로 추정되었다.

  • PDF

Self-wastage에 의한 2.25Cr-1Mo Steel 시편의 Re-open 현상 (Reopening Phenomena of the 2.25Cr-1Mo Steel Specimen by Self-wastage)

  • 정경채;권상운;최종현;박진호;황성태
    • 공업화학
    • /
    • 제10권4호
    • /
    • pp.531-536
    • /
    • 1999
  • 누출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미량 물 누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2.25Cr-1Mo 시편의 누출경로는 나트륨-물 반응 생성물에 의해 plugging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나, 대부분 re-open상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누출 경로가 완전 re-open된 후 나트륨 부위에서 시편의 self-wastage pattern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누출경로가 re-open 되면서 나타나는 defected 크기는 대략 5 mm 이내임을 알 수 있었다. 누출 경로가 완전 re-open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나트륨 온도가 높을수록 짧게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 $450^{\circ}C$에서 143분, $475^{\circ}C$의 경우 40.7분, $510^{\circ}C$의 경우 34.7분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