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let width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년생 및 재배조건이 인삼의 엽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Age and Cultural Conditions on Leaf Shape of Korean Ginseng)

  • 이종철;최창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178-183
    • /
    • 198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influence of plant age and cultural conditions such as plant population density and light intensity under the shading on the leaf shape of panax ginseng.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1) Leaf length(L)/maximum width(W) was no difference with different age of over 3-over 3year old plant, but that of 1 or 2-yearold was smaller than those of over 3-year old. The values of L/W showed in the order of 2 or 4,3, 1 or 5 leaflet. 2) Ratios of leaflet area to leaf area were 32.0% in leaflet 3, from 209.% to 27.9% in leaflet 2 or 4, and from 6.5% to 7.1% in leaflet 1 or 5. 3) The coefficients of variability for L/W and ratio of leaflet area to leaf area of leaflet 3 were smallest among leaflets.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argest and smallest leaflet 3, leaf areas and ratio of leaflet 3 area to leaf area in same plant. 5) LW and ratio of leaflet 3 area to leaf area were not affected by plant population density. 6) It showed a tendency that the L/W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light transmittance rate (LTR). The ratio of leaflet 3 area to leaf area of ginseng grown under 20% LTR was not different comparing to that of plant grown under 5% LTR, but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lant grown at 100% LTR.

  • PDF

콩 유전자원의 소엽형질 변이와 농업형질과의 관계 (Variation of Leaflet Traits and Their Association with Agronomic Traits of Soybean Germplasm)

  • 이영호;황영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40-646
    • /
    • 1997
  • 엽장, 엽폭, 엽의 크기와 엽형지수 등 소엽(leaflet) 형질의 변이와 8개 농업형질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도 대만에서 가을에 재배된 콩 유전자원 884 품종의 특성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던 바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 유전자원들의 소엽 형질들의 변이를 보면 엽장은 4.3~14.7cm, 엽폭은 2.8~9.7cm에 분포하였으며, 엽의 크기(엽장$\times$엽폭)는 12.1~124.6$\textrm{cm}^2$ 였다. 2. 엽장, 엽폭과 엽의 크기의 절대적 변이는 단일에 따른 영양생장량의 제한 때문에 크지 않았다. 또한 국제식물유전자원위원회(IBPGR)의 기준에 따른 분류시 엽의 크기가 대에 속하는 것은 없었다. 3. 엽형지수는 1.21~3.06의 변이를 보였으며 3품종은 피침형에 속하였고 나머지는 모두 난형 또는 중간형에 속하였다. 4. 엽장, 엽폭, 엽의 크기, 엽형지수의 범위와 평균은 온대품종군과 열대품종군간과 품종군내에서 차이가 있었다. 5. 엽장, 엽폭, 엽의 크기와 엽형지수는 100립중을 제외한 7개 형질과 고도로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고 100립중과는 엽장, 엽의 크기 및 엽형지수와 고도로 유의한 부상관을 보였다. 6. 소엽 형질들의 농업형질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소엽 형질간에 변이가 컸으며 엽장, 엽폭과 엽의 크기는 개화일수, $R_1$기 와 $R_8$기의 경장, 개체당협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고 엽형지수는 다른 형질보다 100립중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 PDF

인삼의 엽장, 엽폭을 이용한 엽면적 추정 (Estimating Leaf Area from Length and Width for Panax ginseng)

  • 이종철;안수봉;최창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19
    • /
    • 1985
  • 인삼의 소엽, 장엽, 식물체 전엽면적의 간역추정방법을 1, 2, 3, 4, 5, 6년생 인삼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면적과 엽장(L)$\times$엽폭(W)이 소엽위치 및 년생에 관계없이 모든 소엽에서 상관계수가 가장 컸다. 2. 1매의 중앙소엽으로 장엽면적, 식물체 전엽면적 추정이 가능하였으며 추정식은 1년생과 2년생이상과 달랐으나 2연생이상에서는 그들간에 차이가 없었다. 3. 엽면적계산식은 1년생에서 중앙소엽면적 A=0.64LW, 장엽면적 A'=A/0.38, 2년이상에서 A=0.60LW. A'=A/0.32, 주당엽면적 A"=A'$\times$장엽수였다. 4. 20% 투광하에서 생육한 인삼의 엽면적 추정도 관행일복하(투광량 5%)에서 자란 인삼엽에서 유도된 식으로 가능하였다.능하였다.

  • PDF

Utility of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as an Alternative to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m for Preoperative Transcatheter Mitral Valve Repair Planning

  • Craig Basman;Caroline Ong;Tikal Kansara;Zain Kassam;Caleb Wutawunashe;Jennifer Conroy;Arber Kodra;Biana Trost;Priti Mehla;Luigi Pirelli;Jacob Scheinerman;Varinder P Singh;Chad A Kliger
    •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 /
    • 제31권1호
    • /
    • pp.18-23
    • /
    • 2023
  • BACKGROUND: Three-dimensional (3D)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m (TEE) is the gold standard for the diagnosis of degenerative mitral regurgitation (dMR) and preoperative planning for transcatheter mitral valve repair (TMVr). TEE is an invasive modality requiring anesthesia and esophageal intubation.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pandemic has limited the number of elective invasive procedures.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MDCT) provides high-resolution images and 3D reconstructions to assess complex mitral anatomy. We hypothesized that MDCT would reveal similar information to TEE relevant to TMVr, thus deferring the need for a preoperative TEE in certain situations like during a pandemic.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data on patients who underwent or were evaluated for TMVr for dMR with preoperative MDCT and TEE between 2017 and 2019. Two TEE and 2 MDCT readers, blinded to patient outcome, analyzed: leaflet pathology (flail, degenerative, mixed), leaflet location, mitral valve area (MVA), flail width/gap, anterior-posterior (AP) and commissural diameters, posterior leaflet length, leaflet thickness, presence of mitral valve cleft and degree of mitral annular calcification (MAC). RESULTS: A total of 22 (out of 87) patients had preoperative MDCT. MDCT correctly identified the leaflet pathology in 77% (17/22), flail leaflet in 91% (10/11), MAC degree in 91% (10/11) and the dysfunctional leaflet location in 95% (21/22) of patien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s for MVA, flail width, commissural or AP diameter, posterior leaflet length, and leaflet thickness. MDCT overestimated the measurements of flail gap. CONCLUSIONS: For preoperative TMVr planning, MDCT provided similar measurements to TEE in our study.

한국 콩 품종의 초형관련 형질의 특성 (Canopy-Related Characteristics of Korean Soybean Cultivars)

  • 김홍식;이구환;송항림;김성진;허건;우선희;정승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3-152
    • /
    • 2008
  • 1913년부터 2000년까지 국내에서 육성된 70품종에 대한 초형형질에 관련된 주경, 분지 및 엽형질의 특성을 파악하여 다수성 콩 품종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하였다. 1. 초형형질의 변이는 주경과 분지관련형질의 12개 형질 중에서 초형폭, 분지장 및 초형폭/장 비율이 컸으며, 엽관련 8개형질 중에서는 엽병각, 엽장폭비 및 엽건물중이 컸다. 2. 용도별로 초형폭/장 비율은 밥밑콩이 장류 및 두부용콩과 나물콩에 비하여 높았고 장류 및 두부용콩과 나물콩은 큰 차이가 없었다.총분지장/주경장 비율은 나물콩과 밥밑콩이 높았고 장류 및 두부용콩이 낮았다. 3. 주경과 분지형질은 초형폭/장 비율과 총분지장/ 주경장 비율에 의하여 각각 그룹으로 분류되어졌고, 협초폭형이며 주경의존형은 단원콩, 금강콩, 셀비 및 신팔달콩이었고, 협초폭형이며 분지의존형은 소명콩이었다. 광초폭형이면서 주경의존형은 강림, 금강대립 및 진율콩이었으며, 광초폭형이면서 분지의존형은 검정콩 2호이었다. 4. 용도별로 소엽장/폭 비율은 밥밑콩이 작았고 장류 및 두부용콩과 나물콩과는 큰차이가 없었으며, 복엽의 엽면적은 밥밑콩이 가장 컸고 나물콩이 가장 작았다. 엽병장은 나물콩이 작았으며 장류 및 두부용콩과 밥밑콩은 큰 차이가 없었고, 엽병각은 밥밑콩이 가장 컸고 나물콩이 가장 작았다. 5. 엽형태는 엽장폭비와 엽면적에 의하여 각각 4그룹으로 분류 되어졌고, 소엽장폭비가 큰 원엽이면서 엽면적이 큰 대형엽은 부석과 대황콩이었고, 엽장폭비가 극세엽이면서 엽면적이 작은 소형엽은 은하콩과 소호콩이었다. 6. 엽병의 특성은 엽병장과 엽병각에 의하여 각각 3그룹과 4그룹으로 분류 되어졌고, 엽병장이 짧고 엽병각이 작은 품종은 은하콩이었고, 엽병장이 짧고 엽병각이 큰 품종은 알찬콩, 무한콩 및 푸른콩이었으며, 엽병장이 길고 엽병각이 작은 품종은 신팔달콩 2호이었다. 7. 은하콩은 전 시험품종 중에서 엽장폭비가 가장 큰 극세엽이면서 엽면적이 가장 작은 소형엽이었고, 엽병장이 가장 짧으며 엽병각이 가장 작은 품종이었다.

콩의 잎 크기와 종실 무게와의 상관 (Correlation between Leaf Size and Seed Weight of Soybean)

  • 박규환;백인열;한원영;강성택;정명근;고종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83-387
    • /
    • 2013
  • 콩 품종육성에 있어 잎의 크기가 종실무게와 관련된 형질의 초기 분리세대에서 조기선발 지표로서 활용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재래종, 도입종 및 야생종 등 229개 품종 및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단엽과 제1본엽 및 제3본엽과 종실 무게와의 상관관계를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재료 229개 품종 및 유전자원의 단엽 면적은 $3.2{\sim}33.8cm^2$, 제1본엽 면적은 $9.2{\sim}29.5cm^2$, 제3본엽 면적은 $7.2{\sim}58.9cm^2$, 종실의 100립 무게는 2.7~39.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2. 엽 면적과 종실 무게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고, 상관의 크기는 단엽(r=$0.80^{**}$), 제1본엽($0.75^{**}$), 제3본엽($0.67^{**}$) 순으로 나타났다. 3. 엽의 장폭과 종실무게 사이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고 단엽의 길이(0.71)와 폭(0.79)이 제1본엽, 제3본엽 보다 상관이 높았으며, 엽장보다는 엽폭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조사된 콩 잎의 장 폭비는 상위엽이 높았다. 4. 콩 종실크기와 관련된 생육 초기선발의 간접지표로서 단엽 크기와 단엽의 폭을 이용하는 것이 제일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협소 대동맥 판막륜이 있는 환자에서의 인공판막치환술 1례 (Aortic Valve Replacement in Patient with Small Aortic Annulus)

  • 최강주;이상권;이상진;정신현;이양행;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7호
    • /
    • pp.745-749
    • /
    • 1992
  • A 17-year-old male patient of aortic stenoinsufficiency with a small aortic annulus underwent aortic valve replacement[St. Jude Medical valve 21mm] with Rittenhouse-Man-ouguian procedure[patch enlargement of the area of the noncoronary sinus and anterior mitral leaflet] The used patch was made from tubular dacron graft[the longitudinal length was 35mm, the width 20mm]. The length of incision into anterior mitral leaflet was 10mm and the aortic annulus was enlarged in 10mm, The patient was evaluated with two-dimensional echocardiography at 4 month after operation and the result was excellent.

  • PDF

대두 엽형에 관한 유전연구 제4보 엽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포상태 (Genetic Studies on Leaf Shapes in Soybeans IV. Diallel Cross Analysis on Gene Distributions Concerned with Some Characters of Soybean Leaf Parts)

  • 장권열;신두철;김석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2-336
    • /
    • 1981
  • 대두의 엽형에 관한 유전연구의 일환으로 엽장이 친 품종, 엽폭이 긴 품종, 엽장과 엽폭이 짧은 7품종들을 문배친으로 하여 이들 품종간의 이면문잡에 의한 21개잡종 F$_2$세대와 교배친을 재료로 엽병장, 주소엽병장, 주소엽장, 주소업폭, 측소엽장, 측소엽폭 등의 엽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포상태를 본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병장은 주소엽병장보다 길고 전체적으로 평균 5배정도였고, 주소엽장은 측소엽장보다 길며, 엽장은 엽폭보다 길었으나, 주소엽폭보다 측소엽폭이 도리어 긴 경향이었다. 2. 조사 측정된 6개형질 모두 부분우성으로 유전되고 회귀계수가 낮은 것으로 보아 비대립 유전자의 관여가 큰 것을 알 수 있였다. 3. 엽병장에는 A품종(선비잡이콩)과 B품종(동산6002)에, 엽장에는 A품종과 C품종(경남002), 엽폭에도 A품종과 B정종에 우성유전자가 많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고, G품종(D69-7816)과 F품종(D62-7816)에는 각 형질에 열성유전자가 많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대두엽면적의 간이측정법 (Measurement of Leaf Area of Soybeans)

  • 장권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3-95
    • /
    • 1968
  • 대두의 엽면적은 수량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그의 간이측정법은 매우 의의 깊은 일이므로 포장에서 생체대로엽면적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간이측정법을 고안하였다. 대두의 3개품종 감안, 동산 006, patten을 재료로 절위별로, 규소엽과 측소엽별로 엽면적과 엽장, 최대엽폭과의 관계를 조사, 실험하였으며 총공시엽수는 2246매이었다. 대두의 규소엽의 면적은 (엽장${\times}$ 최대엽폭)${\times}$0.658, 측소엽의 면적은 (엽장 ${\times}$ 최대엽폭)${\times}$ 0.683에 의해서 구할수 있음을 알았다. 즉, 규소엽장에 최대엽폭을 곱한 적에 수수 0.683를 곱합음로써 전처리구에서 planimeter에 의한 엽면적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때의 상관계수 r의 평균은 0.994이었다. 그리고 측소엽장에 최대엽폭을 곱한 적에 계수 0.683을 곱함으로써 전처리구에서 planimeter에 의하여 구한 엽면적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또한 상관계수 r의 평균은 0.996이였다. 이방법에 의하면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감시킬수 있을 뿐만아니라 생체대로 쉽게 엽면적을 구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 PDF

Inheritance of Agronomic Trait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in Mungbean(Vigna radiata(L.) Wilczek)

  • Sriphadet, Sukhumaporn;Lambrides, Christopher J.;Srinives, Peerasak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49-256
    • /
    • 2007
  • A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variation and inheritance of agronomic trait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in mungbean.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agronomic traits and hardseed percentage of 268 recombinant inbred lines(RIL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wild Vigna subspecies sublobata "ACC 41" with the mungbean cultivar "Berken". The RIL population and their parents were evaluated under controlled conditions in a glass house at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Brisbane, Australia.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RILs and among the parents in all traits under study. Berken had a longer flowering date and a higher seed weight per plant, but less total leaf number and pod number per plant than ACC 41. A germination test between papers revealed that ACC 41 was 100% hard-seeded and did not germinate at all, while Berken germinated up to 100%. Their RILs distributed well between 0 to 100% hardseed. Upon scarification, all hardseed germinated within seven days. Narrowsense heritability estimates of total leave number, hardseedness, pod length, and pod width were highly heritable at 89.9, 98.9, 93.7, and 93.2%, respectively. The heritability of seed weight per plant and number of seeds per plant were lower at 63.1 and 58.4%, respectively. Seed weight per plant showed positive transgressive segregation when compared with ACC 41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100 seed weight. While the number of seeds per pod showed a negative transgressive segregation when compared with Berke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od length and pod width. The RILs gave a 1:1 segregation ratio in leaflet shape, growth habit, and growth pattern, indicating that these traits were controlled by a single dominant ge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