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isozym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6초

Effect of Plant Hormones on the Invertase Activity in the Senescing Leaves of Phaseoius radiatus

  • Dong Hee Lee;Chi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7-48
    • /
    • 1993
  • Effect of plant hormones on the leaf senescence of mung bean (Phseoln radiatus)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changes of reducing sugar contents and invertase isozyme activities in detached leaves treated with NAA, $GA_3$ or BA. During dark-induced senescence, reducing sugar contents in the detached leaves increased temporarily at 4 6, thereafter decreased rapidly and reached minimum values within 7-14 6. The pattern of soluble acid invertase activity in the senescing leaves kept in the dark was similar to that of reducing sugar accumulation, whereas the activities of alkaline and extracellular invertas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leaf senescence.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luble acid invertase, but not alkaline and extracellular invertases, induces the accumulation of reducing sugar during leaf senescence of Rung bean plants. Exogenous NAA application had little or no effect In the increase of soluble acid invertase activity during dark-induced senescence compared to the control. However, exogenous applications of $GA_3$ and BA led to the increase of soluble acid invertase activity in the senescing leaves. Particularly, BA application was very effective In enhancing the activity of soluble acid invertase as well as in delaying chlorophyll breakdown during dark-induced senescence. These results suggest, therefore, that BA regulates the activity of soluble acid invertase, which leads to the accumulation of reducing sugar, and the stability of photosynthetic apparatus to delay leaf senescence.

  • PDF

연초의 생육에 미치는 수분의 영향 (The Effects of Water Status on the Growth in Nicotiana tabacum L. (var. Samsun).)

  • 김남원;윤경은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10
    • /
    • 198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soil water potenial on the growth and internal changes of stressed plants. The experimental imposition of soil water potential ( $\Psi$soil) were -0.1 to -0.2, -0.2 to -0.5, -0.5 to -3.0, -3.0 to -10.0 bar respectively. During water stress all growth rates were depressed, and the most sensitive period to water stress was found to be 10 to 25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water potential of leaf was declined rapidly within 12 hours after with holding of water. Nitrate reductase activity was decreased progressively as water deficit was built up in tobacco leaves, but the activity of alpha- amylase and super contents were increased.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oxidase isozyme patterns between tile control and water stressed plant. New isozymes started to appear as tobacco leaf water potential decreased.

  • PDF

콩 생육시기별 Lipoxygenase활성의 변화 (Change of Lipoxygenase Activity during Soybean Growth)

  • 김용호;김석동;홍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1-215
    • /
    • 1994
  • Lipoxygenase는 콩 비린내 유발의 주원인이 된다. 따라서 lipoxygenase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콩 생육시기별로 재료를 채취하여 lipoxygenase activity를 측정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V_3$$V_5$시기에 콩 잎에서의 lipoxygenase activity는 유전자형에 상관없이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2. $R_6$시기의 /pod wall에서도 유전자형에 따른 lipoxygenase activity의 일정한 경향은 없었으나 종자 lipoxygenase는 lipoxygenase 결핍계통의 activity가 일반품종에 비해 낮았으며 lipoxygenase 결핍계통간에도 isozyme 결핍정도에 따라 activity도 다르게 나타났다. 3. 종자를 종피, 배, 자엽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lipoxygenase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종피에서는 유전자형에 따른 경향을 찾을 수 없었으나 배와 자엽에서는 lipoxygenase isozyme 결핍 정도에 따라 activity도 다르게 나타났다.

  • PDF

Ethephon과 Gibberellin 처리(處理)가 오이의 성발현(性發現)과 이에 따른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Peroxidase 활성(活性) 및 Isoperoxidase Pattern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Ethephon and Gibberellin on Sex Expression, and Subsequent Changes in Protein Contents, Peroxidase Activities, and Isoperoxidase Isoperoxidase Patterns of Cucumis sativus L.)

  • 구우서;김영래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6
    • /
    • 1985
  • 오이의 성발현(性發現) 기구(機構)에 관(關)한 기초(基礎) 자료(資料)를 얻고저 비절성(飛節成) 품종(品種)인 사엽(四葉), 절성(節成) 품종(品種)인 신록다다기, 그 중간형(中間型)인 성호원(聖護院)을 공시(供試)하여 종자(種子)와 최아종자(催芽種子)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의 품종간(品種間) 차이(差異)와 2엽기(葉期)와 4엽기(葉期)의 ethephon(250 ppm)과 gibberellin(100ppm) 처리(處理)에 의한 성발현(性發現) 양상(樣相)과 식물체내(植物體內)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peroxidase 활성(活性) 및 disc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電氣泳動)에 의한 단백질(蛋白質) banding pattern과 peroxidase isozyme banding pattern의 소장관계(消長關係)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Ethephon 처리(處理)는 자화(雌花)의 착생(着生)을 약간 증가(增加)시키고, 웅화(雄花)의 착생(着生)을 현저(顯著)히 감소(減少)시켰으며 gibberellin 처리(處理)는 절성종(節成種)인 신록다다기와 성호원(聖護院)의 웅화수(雄花數)를 현저(顯著)히 증가(增加)시켰으나 비절성(飛節成)일 사엽(四葉)의 웅화수(雄花數)는 증가(增加)시키지 못하였다. 2. 종자(種子)와 최아종자(催芽種子)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단백질(蛋白質) 및 peroxidase의 banding pattern은 품종간(品種間)에는 약간의 차이(差異)가 있었으나 절성(節成)과 비절성간(飛節成間)에는 뚜렷한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3. 2 엽기(葉期)와 4 엽기(葉期)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은 잎과 생장점(生長點)에서 모두 처리후(處理後) 일수(日數)가 경과(經過)함에 따라 2엽기(葉期)에는 증가(增加)하으나 4엽기(葉期)에는 오히려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그리고 4 엽기(葉期) 생장점(生長點)에 있어서 비절성(飛節成)인 사엽(四葉)은 ethephon 처리(處理)에 의해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이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해 높아졌으나 신록다다기와 성호원(聖護院)은 오히려 낮아졌다. 4. Peroxidase 활성(活性)은 2 엽기(葉期)에는 잎이나 생장점(生長點)에서 모두 일수(日數)가 경과(經過)함에 따라 감소(減少)하였으나 4엽기(葉期)에는 오히려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특(特)히 ethephon 처리구(處理區)는 4엽기(葉期) 생장점(生長點)에서 그 활성(活性)이 현저(顯著)히 높아져 5일(日)째에는 타처리구(他處理區)에 비(比)해 월등(越等)히 높았다. 5. 단백질(蛋白質)의 banding pattern은 2엽기(葉期)에는 잎과 생장점(生長點) 공(共)히 처리후(處理後) 일수(日數)가 경과(經過)함에 따라 3품종(品種)모두 band 수(數)가 감소(減少)되었으나 4엽기(葉期)에는 오히려 band수(數)가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4엽기(葉期) 생장점(生長點)의 단백질(蛋白質) pattern은 비절성(飛節成)인 사엽(四葉)의 ethephon 처리구(處理區)가 절성(節成)인 신록다다기의 무처리구(無處理區)와 같은 양상(樣相)으로 변화(變化)되어 갔다. 6. Peroxidase isozyme banding pattern은 2엽기(葉期) 잎에서 비절성(飛節成)인 사엽(四葉)의 ethephon 처리구(處理區) pattern이 성호원(性護院) 및 신록다닥기의 ethephon 처리ㅜ(處理區) pattern으로 닮아 감을 볼 수 있었고 4엽기(葉期) 생장점(生長點)에서는 처리후(處理後) 일수(日數)가 경과(經過)함에 따라 사엽(四葉) ethephon 처리구(處理區)의 pattern이 성호원(聖護院) 및 신록다다기의 무처리구(無處理區) pattern으로 닮아 감을 볼 수 있었다. 7.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볼 때 비절성종(飛節成種)은 ethephon에 의해 식물체내(植物體內)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peroxidase 활성(活性) 및 단백질(蛋白質)과 peroxidase isozyme의 pattern이 절성종(節成種)에 가깝게 변화(變化)되어 절성화(節成化)되며, 따라서 이들의 변화(變化)가 오이의 성발현(性發現)에 깊이 관여(關與)하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양배추 protoclone의 변이 (Protoclonal variation in cabbage (Brassica oleracea ssp. capitata))

  • 이연희;조현석;김호일;나종현;이인원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5-181
    • /
    • 1997
  • 양배추 F$_1$ 종자 그린 챌린저 배축으로부터 분리된 원형질체로부터 재분화된 protoclone들에 대한 형태적 특성, 배수성, 동위효소, RAPD 분석으로 변이 양상을 살펴보았다. 형태적 특성은 초자, 엽형, 엽색, 엽결각, savoy, wave등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형태적으로 원식물체와 같았으나 3개체는 잎의 결각이 뚜렷하고 1개체는 savoy와 wave가 심하게 나타났다. Flow cytometry system으로 종자에서 정상적으로 발아한 배축, 자엽과 잎의 배수성을 측정한 결과 배측과 자엽에서는 2배체와 4배체 세포가 혼합되어 있었으나 잎에서는 일정하게 정상적인 2배체로 측정되었다. 잎을 재료로 하여 125개체 protoclone들의 배수성을 본 결과 2배체 91개체(72.8%), 4배체 32개체(25.6%), 혼합배수체 2개체(1.6%)로 나타났다. 또한 4배체를 나타내는 R$_{0}$ protoclone 개체를 자가수분시켜 얻은 종자를 발아시켜 배축, 자엽과 잎의 배수성을 측정한 결과 잎에서 4배체, 배축과 자엽에서는 4배체, 8배체 세포가 혼합되어 있었다. PGM과 MDH 동위효소 분석 결과 R$_{0}$ 정상개체 그리고 변이를 나타낸 개체, 배수성이 다른 개체들간의 밴드양상은 같았으며 15종류의 random primer를 사용한 RAPD에서도 차이는 없었다.없었다.

  • PDF

한국 재래뽕의 생태 및 품종간 특이성에 관한 연구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Korean Landraces of Mulberry Tree, Morus)

  • 김현복;김남수;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81-92
    • /
    • 1996
  • 1. 우리나라 재래뽕과 육성종 30품종에 대한 재배 생태학적 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올뽕에 속한 것은 금상, 조상1호, 영변추우, 순천뽕, 당상3호, 대당상이고 당상6호, 황추우, 영변교, 당상4호, 당상5호는 늦뽕이었다. 가지끝마름률은 당상8호, 덕천뽕, 금상, 용천뽕, 영변추우, 수계뽕, 조선상, 강원3호, 조상1호이었다. 연간수량은 순천뽕, 당상7호, 황추우가 비교적 높았다. 그루당 가지수는 금상, 정선뽕, 순천뽕, 용천뽕이 많았고, 평균가지길이에서는 자산, 강원3호가 길었으며 절간장이 짧고 측지가 적은 품종으로서는 수원뽕, 영변교, 순청뽕, 당상5호, 당상6호이었다. 2. 우리나라 재래뽕 및 육성종 30품종과 장려뽕 15품종의 peroxidase, acid phosphatase, malate dehydrogenase, glutamate dehydrogenase isozymes을 분석한 결과 품종간 특이성이 나타난 효소종은 peroxidase 뿐이었으며, acid phosphatase는 희미한 band 출현상황만 확인할 수 있었을 뿐 품종간 특이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Malate dehydrogenase와 glutamate dehydrogenase isozyme에 있어서는 어떠한 band도 출현하지 않았다. 3. 뽕품종을 RAPD 분석한 결과 상당히 많은 유전적 변이를 찾을 수 있었다. 다섯개의 random decamer primer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PCR 증폭된 DNA의 단편은 5개에서부터 13개까지 primer에 따라 달랐으며, 이들간의 뚜렷한 구분은 없었다. 4. 가장 유연정도가 높은 품종들은 수원상 1호와 수원상 2호로서 이들의 유연정도는 90%정도였으며 여타 품종들과 가장 유연정도가 낮은 품종은 재래뽕들 중 은척뽕으로서 이는 60%정도에서 다른 품종들과 유연을 이루었다.

  • PDF

땅콩의 생화학성분에 미치는 Hexaconazole의 영향 (Influence of Hexaconazole on Biochemical Constituents of Groundnut)

  • ;;;차병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35-341
    • /
    • 2008
  • 인도에서 온실조건 하에 땅콩을 재배하면서 ergosterol 생합성 저해제인 hexaconazole 5% SC를 추천농도($500\;mL\;ha^{-1}$) 및 고농도($2,000\;mL\;ha^{-1}$)로 처리하고 그 영향을 관찰하였다. Phaeoisariopsis personata(Berk and Curt)에 의한 점무늬병 방제능력과는 별도로 땅콩식물체의 생화학적 구성성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hexaconazole 5% SC를 분무한 식물체에서 다양한 시간 간격으로 잎 표본을 채취하여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엽록소, 가용성 단백질, 총페놀함량 등 식물 구성성분과 질산환원효소의 역가에 심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방어관련 효소, 즉 peroxidase의 활성 유도 또한 관찰하였으나, isozyme 양상에는 차이가 없었다. 더욱이, 처리한 식물에서 수확한 토양의 땅콩에서도 탄수화물과 기타 구성성분들의 양적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도열병에 감염된 벼의 엽조직에서 Peroxidase의 활성 (Peroxidase Activity in Leaf Tissue of Rice Infected by Pyricularia oryzae)

  • 박원목;이용세;박상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78-183
    • /
    • 1985
  • 수도품종 농백, 진흥, 낙동, 태백 등 4품종과 도열병균 KJ-101과 KJ-301의 2race를 사용하여 peroxidase 활성증가와 저항성과의 관계를 관찰하였다. peroxidase 활성은 수도유균가 성장할수록 모든 품종에서 증가되는 경향은 있었으나 품종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도열병균을 접종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병 잎에서는 무접종 건전잎보다 효소활성이 높았고 접종된 균주에 비친화적인 품종보다 발병이 심한 친화적 품종에서 더욱 높았다. 전기영동법에 의한 peroxidase pattern은 이병잎에서는 도열병균의 peroxidase band를 관찰할 수 없었다. 질소시비량을 증가시켰을 지라도 peroxidase 활성은 변함이 없었다.

  • PDF

희귀수종(稀貴樹種) 모감주나무 자생집단(自生集團)의 잎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 식생특성(植生特性) 및 유전변이(遺傳變異) (Characteristics of Leaf Morphology, Vegetation and Genetic Variation in the Endemic Populations of a Rare Tree Species,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 이석우;김선창;김원우;한상돈;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167-176
    • /
    • 1997
  • 희귀수종인 모감주나무(Koelreuteria paniculata Laxm.) 6개 자생 집단에 대해서 잎의 형태적 특성 및 식생개황을 조사하였으며, 동위효소 분석에 의한 유전변이를 조사하였다. Nested design에 의한 분산분석 결과 8가지 잎의 형태적 특성 모두에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대부분 형질의 경우 총 분산 가운데 집단간 차지하는 비율이 집단내 개체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분석 결과 각 집단별로 출현한 수종 수는 많지 않았으며, 대부분 집단이 인위적 교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수종, 특히 지리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수종들과 비교할 때 유전변이는 매우 적고(A/L= 1.1, P=9.5%, $H_o=0.021$, $H_e=0.035$) 집단간 분화($F_{ST}=0.114$)는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전적 부동 및 근친교배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모감주나무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

화살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생물학적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Biological Properties in Extracts of Euonymus alatus (Thnub.) Sieb.)

  • 서경수;임종국;박재호;김충현;정규영;정형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03
  • 화살나무의 부위별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및 HL-60 세포를 이용한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화살나무 추출물의 부위별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은 잎, 날개, 뿌리, 종자, 줄기순으로,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은 잎, 뿌리, 날개, 종자, 줄기 순으로 높았다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한 정제 후의 DPPH 및 xanthine oxidase 억제활성은 잎과 줄기 추출물에서는 LH-4 분획이, 뿌리 추출물에서는 LH-5 분획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줄기 추출물에서 LH-4 분획물의 DPPH 및 xanthine oxidase 억제가는 각각 2.38 ${\mu}g$/$m\ell$, 5.32 ${\mu}g$/$m\ell$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제된 추출물들의 주된 화합물은 polyphenolic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생육시기간에 부위별 POD 활성은 5월의 뿌리 및 9월의 잎 조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SOD 활성은 5월과 9월의 줄기에서만 나타났다. POD 동위효소 패턴은 잎과 줄기간에는 비슷하였으나, 뿌리에서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SOD 동위효소 패턴은 POD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HL-60 세포의 증식에 대한 화살나무의 정제된 추출물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억제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