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appearance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1초

차광이 반입맥문동(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forma variegata Hort.)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on the growth of variegated liriope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forma variegata Hort))

  • 최상태;김지은;박인환;안형근;김성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7-86
    • /
    • 2001
  •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 of shading rare on variegata appearance and leaf growth of variegated liriope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variegata Hort.) The plant was grown under four different light intensities such as 0(natural light intensity), 25, 50 and 75% shading conditions. Leaf variegata appearance was better in the light than in the shade. Leaf showed good growth at 0, 25% shading treatment, average leaf width and area of yellow part were highest at 0% shading treatment. As increased shading rate, number of stomate per unit area decreased. Total chlorophyll of the whole leaf and green part were reduced by increasing shading rate, while yellow part showed oppositely. In the epidermis, cell size of 75% shading treatment showed larger than those of 0% shading treatment.

  • PDF

11종 패모(貝母)의 기원별 자연·약재상태 감별 (Identification of 11 species of Paemo through each original plant and medicines)

  • 이승호;주영승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33-140
    • /
    • 2014
  • Objectives : Paemo is a phlegm-resolving drug with cold properties and classified 5 kinds which come from 11 species of original plant. All the more, according to literature record, 20 species of original plant were used. As a natural result, these are easily to confuse and there are a lot of counterfeit product. So we are to present a differential standard of Paemo. Methods : It was planed a differential standard form through outer appearance of the original plant and outer appearance in the form of each medicines which was collected local market or field for 11 species which is listed in Korea or China pharmacopeia. Results : It wa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orignal plant between Fritillaria and Bolbostemma through its stem shape. In Fritillaria of original plant, it was possible to distinguish through its width of leaf, number of leafy bracts, color and position of flower and shape of leaf apex. In outer appearance in the form of each medicines, there are difference in color and texture of medicine between Fritillaria and Bolbostemma and there are difference in size, shape, size of inner and outter fleshy leaf of bulb, pattern of surface and apex of fleshy leaf of bulb among 10 Fritillaria species. Conclusions : This study presents various differences in the outer appearance of the original plant and the outer appearance in the form of each medicines among Paemo. It will be helpful to further applied research.

벼 파종기에 따른 출수기 및 최종 엽수 변화와 출엽 모델에 의한 출수기 예측 (Heading date and final Leaf Number as Affected by Sowing Date and Prediction of Heading Date Based on Leaf Appearance Model in Rice)

  • 이충근;이변우;신진철;윤영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95-201
    • /
    • 2001
  • 본 연구는 광안벼를 공시하여 지연일장의 인공기상실(21$^{\circ}C$ 및 24$^{\circ}C$)과 포장 조건에서 파종기(최초 파종 일 4월25일, 최종 파종일 6월 5일) 이동에 따른 온도와 일장 변화가 출엽 및 출수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일장에 따른 최종엽수 추정모델을 설정하였으며, 이 모델과 온도에 따른 출엽속도 모델을 결합하여 출수기 예측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출수기 추정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1. 포장에서는 4월 25일 이후 파종기가 늦을수록 생육기간 중 평균기온은 높아진 반면, 포장과 인공기상실 양 조건에서 일장감응기간(6엽기부터 유수분화기)중의 평균일장은 짧아졌다. 이에 따라 일장만 관여한 인공기상실에 비해 온도와 일장이 함께 관여한 포장에서 파종시기에 따른 출수소요일수 단축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2. 일장감응기간의 일장이 길어짐에 따라 최종엽수(FNL)가 증가하였으며, 이 관계는 다음과 같은 Rational 함수로 잘 표현이 되었고($R^2$=0.98),이를 광안벼의 최종엽수 추정모델로 설정하였다. 여기서 D는 일장이며, a,b,c는 상수로서 각각 14.694, -0.992, -0.068로 추정되었다. 3.온도에 따른 출엽속도 모델과 일장에 따른 최종엽수 모델로 구성된 출수기 예측 모델을 구성하였으며, 모델 설정에 이용되지 않은 포장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추정된 출수기는 예측오차가 1-2일로 추정 정확도가 높았다.

  • PDF

온도와 일장에 따른 국화의 식물계절과 출엽 예측 모델 개발 (Modelling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Phenology and Leaf Appearance in Chrysanthemum)

  • 서범석;박하승;이규종;최덕환;이변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3-263
    • /
    • 2016
  • 단일식물인 국화의 생육은 온도, 일장, 일사량 등 기상 환경과 재배관리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기상환경과 재배관리를 고려한 국화의 생육예측모델은 국화 재배 시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화 생육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온도와 일장뿐만 아니라 에세폰 처리, 야간 전조처리리 등 재배관리 정보를 입력변수로 하여 국화 품종 백선의 출엽과 식물계절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국화의 생육시기를 유약기(Juvenile phase), 유약기 이후 발뢰기까지 기간, 발뢰기부터 개화기까지의 기간의 기간으로 구분하여 계산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유약기는 출엽속도의 온도 반응 곡선과 유약기의 종료를 결정하는 기준 엽수를 이용하여 추정하도록 구성 하였다. 한편 모주와 이식 후 식물체에 대한 에세폰 처리가 유약기 종료시점의 엽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가정하여 모델에 반영하였다. 유약기 이후에는 온도와 일장에 관한 함수를 이용하여 발육속도를 계산하여 발뢰기와 개화기를 예측하도록 하였는데 야간전조 처리는 임계일장 이상의 장일로 가정하여 모델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최종 엽수는 잎의 출엽이 발뢰 직전까지 진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예측하였다. 위와 같이 구성된 모델의 계수는 온도반응 실험과 정식시기 실험 등을 이용하여 추정하였고 프로그램 언어인 Java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모델의 계수 추정에 이용한 자료(calibration 자료)뿐만 아니라 이와는 별개의 자료(validation 자료) 모두에 대하여 모델이 비교적 정확하게 발뢰기와 개화기를 예측할 뿐만 calibration에 비하여 validation의 정확도가 떨어지지 않았다. 한편 생육시기에 따른 출엽수와 최종엽수를 모델이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였으나 생육시기에 따라 다소 과소 또는 과대 예측을 하여는 경향을 보여, 온도 이외의 요인을 반영할 수 있는 실험을 통해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솔잎 가루 첨가 냉동 쿠키의 제조 배합비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Iced cookiess with the Addition of Pine leaf Powder)

  • 진소연;주나미;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4-17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optimal mixing condition of three different amounts of pine leaf powder, butter and sugar for preparation of pine leaf cookies. The optimum mixing condition for pine leaf cookies was optimiz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optimum mixing rates of pine leaf powder, butter and sugar were 8.6 g, 252.8 g and 154.1 g for color, 8.4 g, 240.7 g and 149.8 g for appearance, 8.8 g, 246.5 g and 154.7 g for flavor and 10.9 g, 277.1 g and 134.6 g for texture respectively. The optimum mixture ratio which fulfilled all items was pine leaf powder 9.4 g, butter 270.5 g and sugar 141 g.

열풍 건조 들깻잎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Noodles With Hot-air-dried Perilla Leaf powder)

  • 김정수;안종성;안광열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3-8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되고 섭취량이 많은 들깻잎을 생면에 첨가를 하여 식품으로서의 이용가치와 최적의 생면 레시피를 도출하고자 열풍건조 들깻잎을 제조하여 밀가루 대비 0%, 3%, 6%, 9%, 12%를 각각 첨가하였다. 반죽의 수분은 0%첨가한 대조군이 34.41%로 가장 높게 나타냈으며, pH는 12%를 첨가한 반죽이 5.59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반죽의 L값과 a값은 0% 첨가군이 가장 큰 값을 보였으며,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반죽의 WRC 분석결과는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수분흡수력이 증가하였다. 생면의 수분함량은 0%첨가한 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며, pH는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면의 L, a, b값은 0% 첨가군이 각각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중량과 부피는 0% 첨가군이 가장 큰 값을 나타났고, 탁도의 경우 열풍건조한 들깻잎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탁도가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경도(Hardness)와 응집성(Cohesiveness)은 는 0% 첨가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탄력성(Springiness)은 열풍건조 들깻잎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면의 미생물 변화는 저장 2일과 3일째에는 시료의 첨가량에 따라서 월등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의 결과에서 외관(Appearance), 향(Flavor), 색(Color), 맛(Taste), 조직감(Texture) 모든 항목에서 6%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역시 6% 첨가군이 7.20로 가장 높았고, 12% 첨가가 3.2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허여 볼 때 열풍건조한 깻잎 분말을 첨가를 하여 생면을 제조시에는 저장성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미생물 억제작용이 증가하나, 관능적 측면에서는 6% 첨가시에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몇가지 낙엽에서의 궐련벌레, Lasioderma serricorne F.(Coleoptera : Anobiidae),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igarette beetle, Lasioderma serricorne F., on several leaf litters)

  • 오명희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1-57
    • /
    • 2000
  • The feeding preference of cigarette beetles, Lasioderma serricorne F., was tested using various leaf litters. The number of the trapped L. serricome was 45.25$\pm$10.44 at flue-cured leaf tobacco, Nicotiana tabacum L., 23.50$\pm$6.0 at chinese juniper, Juniperus chinensis L., 1l.75$\pm$4.99 at oak, Qqercus acutissiuma C., and 1l.50$\pm$2.52 at rice-straw, (Oryza. sativa L.). The response of oviposition was 93.20$\pm$26.22 at flue-cured leaf tobacco, 53.60$\pm$11.82 at chinese juniper, 48.20$\pm$20.90 at oriental arborvitae, Thuja orientalis L., 31.80$\pm$18.10 at cherry-tree,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M., and 29.40$\pm$13.7 at rice-straw. However, the oviposition was respectively low at gingko, Ginkgo biloba L.,(5.40$\pm$2.97), turf grass, Zoysia japonica S., (5.20$\pm$13.7), and oak (3.00$\pm$l.41). The augmentation was maximum at chinese juniper (27.33$\pm$19.44 of emerged adults) followed by Magnolia obovata (8.50$\pm$9.33). Fifty percent of the tested species leaf litters including cherry-tree did not show any augmentation. The adult activities after hibernation were primarily found in May and June at Kwangju and Suwon, and in April at Chungju. The field activity of L. serricome at Suwon was mostly lower than that at other places, except in August at Chungju. The first appearance of L. serricome was observed earlier at Chungju and Kwangju than at Suwon, and the frequency of insect appearance was high in July, August, and September. L. serricome could hibernate by feeding on many kinds of plant leaf litters and it's population could be maintained in the open field in Korea.

  • PDF

대잎 분말을 첨가한 모닝롤의 품질 특성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rning-Rolls with Bamboo Leaf Powder)

  • 김미경;송병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39-645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rning-rolls containing various levels (0, 4, 8, and 12%) of bamboo leaf powder.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morning-roll volume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bamboo leaf powder, and as the bamboo leaf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Hunter's color 'L', 'a' and 'b' valu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p<0.05). For the amylogram characteristics, the addition of bamboo leaf powder to the flour reduced peak viscosity, holding strength, final viscosity, and setback.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demonstrated that control (0%) and 8% addition of bamboo leaf powder had the best scores in taste, color, flavor, texture, appearance, softness, wetness, residual mouth feel, and overall acceptability. Thus, it appears that by using 8% additions of bamboo leaf powder, the functionality, nutritional composition, taste, color, and flavor of morning-rolls containing bamboo leaf powder can be developed. This result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of better quality bamboo-leaf morning-rolls.

구약감자 수집종의 생리생태적 특성 (Study on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Varieties on Elephant food ( Amorphophallus Konjac K.))

  • 이희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18-421
    • /
    • 1997
  • 구약감자 5개 수집종에 대한 생리 생태적 특성을 요약하면 경장, 경태는 일본 수집종이 가장 컸고 분지수는 국내수집종인 제천종이 각각 3.1개 3.6개로 가장 많았다. 출하일수는 일본수집종 및 중국수집종이 60일로 제천수집종에 비해 3-5일 빨랐다. 출하율은 일본종이 90%로 금산, 제천종보다 5-10% 높았다. 엽면적은 일본수집종이 가장 넓었으며, 광합성 능력도 엽면적이 넓은 일본수집종이 전기간에 걸쳐 가장 높았다. 엽록소 함량은 관행(자연광) 대비보다 차광율이 높을수록 엽록소 함량이 높았다.

  • PDF

Perennial Ryegrass 품종의 계절별 생육특성 IIV. 봄철 생육의 생장해석 (Seasonal Growth Patterns of Perennial Ryegrass Varieties IV. Growth analysis in spring growth)

  • 김성규;이주삼;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26-231
    • /
    • 1992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dry matter accumulation using growth analysis in spring growth of perennial ryegrass varieties grown under space planting conditions, based on the data of previous paper9'.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Growth parameters of leaf area ratio(LAR), specific leaf area(SLA) and leaf weight ratio(LWR) were recognized sigi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arieties. But, specific leaf area(SLA), leaf weight ratio (LWR) and relative tiller appearance rate(RTAR) were recogniz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wth stages. Specific leaf area(SLA) was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interaction of variety Xgrowth stage. 2. The relative growth rate of biological yields(BYRGR) indicat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lative growth rate of shoot(RGR) and root(RWGR), and net assimilation rate(NAR) as affected by the varieties and growth stages. 3. The relative growth rate of biological yields(BYRGR) indicat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ct assimilation rate(NAR) in all varieties. Leaf area ratio(LAR)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pecific leaf area(SLA) in all varieties, but show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eaf weight ratio(LWR) of Maprima variety. 4. The relative growth rate of biological yields(BYRGR) indicat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absolute growth rates of yield compon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