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Discoloration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1초

인삼 논재배에서 황증이 발생한 토양과 식물체의 무기성분 함량 특성 (Soil Chemical Property and Leaf Mineral Nutrient of Ginseng Cultivated in Paddy Field Occurring Leaf Discoloration)

  • 이성우;박기춘;이승호;박진면;장인복;김기홍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9-295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ause of leaf discoloration occurring frequently in paddy cultivation. Chemical property of soil and inorganic nutrient component of leaf were analyzed on abnormal fields of 7 regions where leaf discoloration occurred severely and normal fields of 7 regions among ginseng garden. The pH of abnormal fields was strong acidic condition (pH 5.51) compare to normal fields of slightly acid condition (pH 6.42).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in abnormal fields were lower distinctly than that of normal fields, while EC, organic matter, phosphate, and potassium content showed not distinct difference between abnormal and normal fields. Whereas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were distinctly high in normal fields, both of potassium and iron content of ginseng leaf were distinctly high in abnormal fields. In particular, iron content of abnormal fields was more 1.94 times in soil, and 3.03 times in leaf than that of normal fields. In soil chemical property,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eaf discoloration ratio and soil pH, a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f discoloration ratio and iron content. In ginseng leaf,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eaf discoloration ratio and calcium content, and there were also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f discoloration ratio and iron content.

아황산에 의한 상치 잎구조의 변색패턴 (Discoloration Pattern of Lettuce Leaf Disks as Influenced by Sulfur Dioxide)

  • 이미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8권1호
    • /
    • pp.1-10
    • /
    • 1975
  • Development of a model system for mode of action studies of $SO_2$ was attempted with a plant tissue. Leaf disks, 1.0cm diameter, cut from the lamina of lettuce leaves, were floated on the testing medium and placed in light or dark condition to investigate the discoloration pattern with various sources of $SO_2$. Discoloration of leaf disks tended to be more serious with higher concentrations of $SO_2$ and on exposure to the light. Leaf disks were more severely discolored at lower pH with constant SO2 concentration. These discoloration patterns were highly reproducible and similar in all sources of $SO_2$. Spectrophotometric evidence suggested that light-mediated discoloration of leaf disks in the presence of $SO_2$ might occur mainly through chlorophyll ${\alpha}$ degradation.

  • PDF

화본과 관상용그래스 3종의 봄철 그린업과 겨울철 엽색 퇴화 (Spring Green-up and Winter Leaf Discoloration of Three Ornamental Grasses (Gramineae spp.))

  • 김기동;이정호;주영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1호
    • /
    • pp.49-57
    • /
    • 2015
  • 연구는 화본과 관상용그래스 중 국내 적용 가능성이 크고, 종자파종 공법에 적용이 가능한 새(Arundinella hirta var. ciliata Koidz), 수크령(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switchgrass (Panicum virgatum L.) 3종을 선정하여 봄철 그린업, 겨울 엽색 및 퇴화 흐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파종은 2009년 4월 1일에 실시하였고 파종 후 1년간 생육 시킨 후 2010년 4월 1일부터 봄철 그린업(spring green-up) 평가를 실시하였다. 봄철 그린업은 새 > 수크령 > switchgrass의 순서로 시작되었고, 새 > 수크령 switchgrass의 순서로 완료되었다. 새는 5월 13-20일 사이 그린업 피크 기간 중 초기에 green-up의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으나 수크령과 switchgrass는 5월 20-27일 사이로 그린업이 상대적으로 늦었으며 중기 이후에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2010년 겨울 엽색 퇴화는 switchgrass ${\fallingdotseq}$ 수크령 > 새의 순서로 시작되었고 switchgrass > 새 ${\fallingdotseq}$ 수크령의 순서로 완료 되었다. Switchgrass는 10월 8-15일 사이가 엽색 퇴화 피크 기간으로 초형의 하부에서 상부로 변색이 진행되었다. 수크령은 10월 22-29일 사이가 엽색 퇴화 피크 기간으로 초형의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되었다. 새는 10월 29일~11월 5일 사이로 상대적으로 엽색 퇴화 피크 기간이 느렸고 초형의 상부에서 하부로 변색이 진행되었다. 연중 녹색이 완전히 유지되는 기간은 새가 125일 전 후, 수크령과 switchgrass는 각각 105일 전 후로 나타났으며 새의 녹색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녹화용 관상가치가 높았다.

저온에 의한 수도의 Discoloration 발생에 관한 연구-온도에 의한 가용성단백질구성 변화에 관하여- (Studies on the leaf discoloration caused by low temperature-Change of soluble protein components by temperature -)

  • 박경배;전중효행;원전이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
    • /
    • 1978
  • 단백질구성 변화를 여러가지 온도조건에서 Japonica형인 진흥, Indica$\times$Japonica교잡품종인 통일, 밀양 2003, 영남조생, 유신등을 공시하여 'Growth Cabinet'를 사용하여 검토 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저온하에서 엽록소함양감소는 Japonica형 품종보다 Indica형 품종에서 심하였다. 2. 단백질구성비(저분자가용성단백질에 대한 고분자가용성단백질의 비)는 고온하에서 높았고, 저온하에서 낮았다. 3. 품종간 단백질구성비는 저온하에서 Japonica형 품종보다 Indica형 품종이 낮았다. 4. 엽신의 엽록소함양과 가용성단백질구성비와는 정의 유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Physiological Responses of Soybean Cultivars to Fusarium solani f. sp. glycines Causing Sudden Death Syndrome

  • Joon Hyeong, C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73-381
    • /
    • 1999
  • Six soybean cultivars having different SDS susceptibility were planted with sorghum seedinoculum infested with F. solani isolate 171 in the greenhouse. First leaf symptoms appeared on unifoliar leaves at 9 days after inoculation and all cultivars showed the typical leaf symptoms at 13 days after inoculation, when trifoliar leaves emerged. Leaf symptoms development in susceptible cultivars was faster than in resistant cultivars. Leaf symptom severities during the period of 25 to 29 days after inocul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which had SDS resistance and sus ceptibility. In this period, area under the diseaseprogress curve (AUDPC) of Hartz 6686 was the highest and that of PI 520733 was the lowest. SDS caused serious damage to the growth of soybean in all cultivars. Average reductions of growth rate of roo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greater than those of plant tops. Duyu-kong showed less severe leaf symptoms than that of SDS suscetible cultivars; however, average growth rate of plants top and roots of this cultivar was less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ose of SDS susceptible cultivars. In all cultivars, as severity of leaf symptoms increased, plant top weight decreased. Root rot symptoms were observed in all cultivars before leaf symptoms appeared. Average proportions of tap root reddish-brown discoloration of all cultivars was up to 75 % at 15 days after inoculati 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 between cultivars at each rating date. Appearances of leaf symptoms on leaves varied in each cultivar. SDS resistant cultiva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rinkling than susceptible cultivars and SDS susceptible cultiva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necrosis than resistant cultivars.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hysiological growth rate and SDS severities in soybeans.

  • PDF

벼먼지응애 발생이 등숙 및 미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ust Mite Incidence on Grain Filling and Quality in Rice)

  • 김덕수;이문희;임대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80-183
    • /
    • 2001
  • 벼먼지응애는 벼 잎집 속에서 가해하기 때문에 발생 초기에는 육안으로 잎집의 변색을 판단하기 쉽지 않고, 밀도가 높아져 잎집이 변색 한 후에 발생을 알 수 있어, 수량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벼먼지응애 방제방법 확립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피해정도도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1997년 10월 22일 파종하여 1997년 12월 2일 이앙 후 작물시험장 인공기상실에서 주간 26$^{\circ}C$, 야간 22$^{\circ}C$의 조건에서 생육한 벼를 피해정도에 따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먼지응애 발생 정도에 따라 초장 및 수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영화수는 감소되었다. 2.정조 변색비율은 입집의 변색정도(1-9)가 7.3인 수원 441호는 81%, 2.8인 일품벼는 18% 이었다. 3. 등숙비율은 수원 441호에서는 피해정도가 심한 IV에서는 20.4% III은 30.8%, II는 37.6% 였으며, 일품벼는 IV는 38.9%, III은 59.7%, II는 69.5% 이었다. 4. 현미 완전미율은 무피해와 대비하여 피해정도가 IV일 때 수원 441호와 일품벼의 완전미율은 비슷하였으나, III과 II에서는 수원 441호가 일품벼보다 21.0%, 15.9%가 적었다. 5. 잎집의 변색 정도와 정조의 변색 정도는 정의 상관(r=0.892), 정조의 변색 비율에 대한 등숙율과 현미수량은 부의 상관(r=-0.929, r=-0.858)이 있었다.

  • PDF

논토양에서 두둑높이에 따른 6년생 인삼의 생육 및 수량성 (Effect of Ridge Height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6 Year Old Panax ginseng in Cultivation of Paddy Soil)

  • 이성우;이승호;장인복;;박경훈;김기홍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51-356
    • /
    • 2015
  • Background : Ginseng is mainly grown as a break crop in paddy fields after rice has been cultured for approximately 4 - 5 years, because it reduces the negative effects of continuous rice cropping. However, physiological disorders, such as leaf discoloration, occur in ginseng grown in paddy fields with poor drainage and excessive levels of inorganic components. Methods and Result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ridge height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6 year old Panax ginseng. Ridge height was varied by making 20, 30, and 40 cm high ridges in a pooly drained paddy field. Soil moisture content decreased, while electrical conductivity (EC) as the ridge height increased. The $NO_3$, K, Ca, Mg, and Na levels also rose as ridge height increased, but organic matter and $P_2O_4$ levels did not. The leaf discoloration ratio rose as the ridge height increased, and root yield reached a peak when the ridge height was 30 cm. Conclusion : A ridge height of 30 cm in poorly drained paddy field improved ginseng growth by reducing leaf discoloration and increasing root survival, owing to more suitable soil moisture and EC levels.

대사저해제에 의한 "통일"벼 적고현상 유발에 관하여 (Induction of Red Discoloration in Rice var. Tongil with Certain Metabolic Inhibitors)

  • 곽병화;김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5권
    • /
    • pp.115-121
    • /
    • 1974
  • 본시험은 통일(IR 667) 벼의 적고현상의 원인이 근본적으로는 질소 비료의 부족과 토양내에 존재하는 뿌리의 호흡억제조건(예를 들면 저온, 배수불량 등) 이 질소 흡수를 저해시키는 결과라고 보고 적고현상의 본질을 더욱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한 것이다. 수도품종 통일(수원 21004)과 풍광을 질소 비료와 호흡조지제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황화 또는 적고엽을 비교하였는데 대사 또는 호흡조지제로서는 2,4-dinitrophenol과 황화소다, 질소 급원으로서는 황산안몬을 사용했다. 본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통일벼는 재래종인 풍광에 비해서 질소에 보다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이는 통일이 풍과에 비하여 다량의 질소를 요구하는 품종이며 질소의 결핍시는 통일은 엽록소형성이 저해되어 풍광은 그렇지 않는데 소위 적고현상을 일으켰다. 2. 특히 2,4-dinitrophenol과 황화소다와 같은 호흡조지제가 뿌리의 질소흡수에 미치는 영향은 통일벼가 풍광 보다 현저하였으며 통일의 경우 적고현상의 전제인 심한 황화현상이 나타났다. 3. 위의 두가지 사실을 미루어 보아 통일벼의 잎에 나타나는 적고현상은 질소비료의 공급 또는 흡수부족과 엽내의 질소성분부족으로 일어나는 품종자체의 특성에서 오는 현상이라고 말할수 있다.

  • PDF

QTL Mapping of Cold Tolerance at the Seedling Stage using Introgression Lines Derived from an Intersubspecific Cross in Rice

  • Park, In-Kyu;Oh, Chang-Sik;Kim, Dong-Min;Yeo, Sang-Min;Ahn, Sang-Nag
    •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 /
    • 제1권1호
    • /
    • pp.1-8
    • /
    • 2013
  • Low-temperature stress is an important factor controll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rice (Oryza sativa L.) in temperate region. In this study, a molecular linkage map consisting of 136 SSR markers was employed to identify QTL associated with cold tolerance at the seedling stage. 80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from an intersubspecific cross between Milyang23 (O. sativa ssp. Indica) and Hapcheonaengmi3, a japonica weedy rice and the parents were evaluated for leaf discoloration and SAPD value of seedlings. Rice plants were grown for 15 days in the low-temperature condition (13/20℃ day/night) and the control condition (25/20℃ day/night) in the growth chamber. The degree of leaf discoloration showed a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PAD value in the low-temperature plot (r = -0.708, P < 0.0001). A total of four QTLs for SPAD were identified and the phenotypic variance explained by each QTL ranged from 5.4 to 16.0%. Two QTLs detected in the control condition were located on chromosomes 2 and 5, respectively. Two QTL on chromosomes 1 and 4 were detected at the low-temperature condition and Hapcheonaengmi3 alleles increased the SPAD values at these loci. Substitution mapping was conducted to delimit the position of qSPA-4 using introgression lines derived from the same cross. Results indicated that qSPA-4 was located in a 810-Kb region flanked by RM16333 and RM16368. The results indicated that Hapcheonaengmi3 contains QTL alleles that are likely to improve cold tolerance of Indica rice.

2011년 남부지방 차나무 저온 피해 조사 (A Survey Low Temperature Damage of Tea Tree at South Korea in 2011)

  • 황정규;김용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6-253
    • /
    • 2012
  • 수분부족과 지속적인 저온현상으로 우리나라 주요 차 생산 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는데, 이번 동해는 체내 수분부족으로 잎이 건조되어 퇴색된 녹색을 띄다가 고사하는 청고현상이 먼저 발견되었고, 대부분의 차(茶)재배지역에 피해를 입혔다. 이기간 동안 평균기온은 $0.2^{\circ}C$로 전년대비 $-2.7^{\circ}C$ 낮았고 2011년 01월과 02월의 최저기온의 평균기온은 $-5.6^{\circ}C$로 전년대비 $-4.5^{\circ}C$ 낮았으며, 가장 낮은 기온이 관측된 날은 01월 18일 06시 55분으로 $-11.8^{\circ}C$로 관측되었으며 전년 최저기온 보다 $-5.5^{\circ}C$ 낮게 관측되었다. 2010년 12월부터 2011년 02월까지 월동기간 동안 강우량은 104mm 밖에 되지 않아 전년보다 306mm 적게 내렸다. 색도 측정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2012년에 비해 2011년도에서 L, a, b값 모두 높게 나왔고 수분함량 또한 2012년보다 2011년 잎의 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Trypan blue분석에서는 저온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정상 차나무 잎에서는 세포사멸 현상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저온 스트레스를 받은 청고피해 잎은 부분 세포사멸이 되어 부분 염색이 일어났으며, 적고피해 잎에서는 대부분 세포사멸이 일어나 대부분 염색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