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ching

검색결과 1,634건 처리시간 0.026초

황산용액에 의한 황동광으로부터 구리 침출 시 첨가제(과산화수소와 에틸렌글리콜) 및 온도의 영향 (Effects of Additives (Hydrogen Peroxide and Ethylene Glycol) and Temperature on the Leaching of Copper from Chalcopyrite by Sulfuric Acid Solution)

  • 김소현;안종관;신선명;정경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5권5호
    • /
    • pp.36-43
    • /
    • 2016
  • 본 연구는 황동광의 황산침출에 관한 연구로 황산 농도, 침출온도, 첨가제로 과산화수소 및 에틸렌글리콜 첨가에 따른 구리 침출거동을 조사하였다. 침출용액에 과산화수소 및 황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구리 침출률이 증가하였다. 침출온도에 따른 구리 침출률은 $30 -60^{\circ}C$에서 상승하였으나, $70 -80^{\circ}C$에서는 감소하였다. 침출된 구리의 양이 감소하는 결과는 $7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용액 중에 함유된 과산화수소의 분해에 의한 것이었다. $80^{\circ}C$에서 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였을 경우 과산화수소의 분해가 억제되어 구리 침출률이 증가하였다. 침출 잔사의 SEM 분석 결과, 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할 경우 침출 잔사가 다공성의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에틸렌글리콜 첨가 시 $60^{\circ}C$ 이하에서도 구리 침출률이 증가하였다.

VTM 정광 염배소 산물에 대한 바나듐 수침출 거동 분석 및 고농도 바나듐 용액 제조 (The Water Leaching Behavior of Vanadium from a Salt-roasted VTM Concentrate and the Preparation of High-concentration Vanadium Solution)

  • 박유진;김리나;김민석;전호석;정경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1권2호
    • /
    • pp.56-6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탄산나트륨(Na2CO3)을 사용하여 염배소한 함바나듐 티탄철광(VTM)으로부터 바나듐의 수침출 거동을 고찰하였다. 자력선별 된 정광과 Na2CO3를 질량비 4:1로 혼합한 후 1050 ℃, 3시간 조건에서 염배소하고 로드밀을 사용해 D50=48.79 ㎛로 분쇄하여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침출 온도와 광액 농도를 수침출 영향인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온도가 25, 55, 85 ℃로 증가할수록 바나듐의 침출율은 90.4, 88.2, 83.8%로 감소하였으며 광액 농도 10, 50, 100 w/v%에 따른 바나듐 침출율은 각각 90.4, 87.0, 87.0%로 변화가 크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25 ℃, 100 w/v%, 300 rpm, 1시간의 조건에서 다단 침출을 수행한 결과, 총 4단 침출 후 최종 침출액의 바나듐 농도는 16.20 g/L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다단 침출을 통해 고농도 소듐바나데이트 용액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Microbial leaching

  • 이홍금
    • 미생물과산업
    • /
    • 제16권3호
    • /
    • pp.40-43
    • /
    • 1990
  • 미생물을 이용하여 광석더미에서 광물을 침출하고 금속을 선광하는 방법(microbial leaching)은 자원고갈현상에 대한 대비책으로 1950년 이후 각광을 받고 있다. Microbial leaching은 hydrometallurgy의 한 분야로 저렴한 비용및 간단한 기술로도 순도가 낮은 광석에서 금속을 여과해낼 수 있고 또 recycling system이라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등의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현재에는 생물공학의 발달과 함께 금속선광에 중요한 미생물의 유전자를 전이시켜 다양한 광석및 금속에 대한 선광능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고에서는 선광에 적합한 미생물의 생태, 생리학적 특이성과 leaching에 있어서의 생물공학의 상업적 중요성에 대해 간단히 논의하고자 한다.

  • PDF

소각재 사용 모르타르중의 중금속 이온 용출에 대한 연구 (Leaching of Heavy Metal Ions in Mortar Using Municipal Waste Incinerator)

  • 문대중;임남웅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16권1호
    • /
    • pp.564-567
    • /
    • 2004
  • FAs and BAs indicated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s and physical properties. Leaching of Pb in FAl and Cu in FA2 were 33.2mg/L and 5.92mg/L, these were high concentration above 30 and 2 times respectively in compared to permit level. Leaching of Hg and Cr were about 1/2 of permit level. When diatom was complexly mixed with portland cement, the 28 days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with FA2 was similar with that of control mortar. Furtherfore, leaching of heavy metal ions like as Pb, Cu, Hg, Cr was highly reduced.

  • PDF

토양증기추출공정 중 오염물의 거동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 조현정;권태순;양중석;양지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354-355
    • /
    • 2003
  • In this study, a risk-based cleanup approach using the leaching potential was suggested for the soil vapor extraction (SVE) process. A multi-component model was adopted with local equilibrium assumption (LEA), and Raoult's law was applied to estimate the leaching potential for BTEX. Finally, a risk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leaching pontential calculated. To complete the feasibility of this approach, more investigations and discussions will be required in future.

  • PDF

염산(鹽酸)에 의한 CMSX-4 초내열합금(超耐熱合金)의 침출(浸出) (Leaching of CMSX-4 Superalloy in Hydrochloric Acid Solutions)

  • 김민석;이재천;김은영;유영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9권5호
    • /
    • pp.25-30
    • /
    • 2010
  • CMSX-4 초내열합금의 순환활용을 위한 습식제련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영신에서의 니켈, 코벨트, 크롬, 알루미늄 등 주요 구성 금속성분들의 침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염산농도에 따른 합금시료 내 주요 금속성분들의 침출율은 염산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3 M 이상에서는 둔화되었다 염산농도 4 M, 고액비 10 g/L, 침출시간 60 분 조건에서 침출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침출율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90^{\circ}C$에서 니켈 93.2%, 알루미늄 89.9%, 코발트 80.4%, 크롬 79.1%의 침출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침출 초기에는 니켈과 알루미늄의 침출속도가 빠르고 60 분 이후 급격히 둔화되는 형태를 보인 반면 코발트와 크롬은 침출이 느리고 60 분 이후의 감소율만 상대적으로 적었다. 120 분 경과 시 주요 금속원소들의 침출율은 모두 99% 수준에 도달하였다. 고액비가 높아지면 침출율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니켈과 알루미늄이 코발트와 크롬에 비하여 침출율 감소가 적었다. 염산농도 4 M, 침출온도 $90^{\circ}C$, 침출시간 120 분의 조건에서 고액비 125 g/L 이하의 조건이 주요 금속 성분의 침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CMSX-4 합금의 금속학적 조직구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산침출에 의한 광미중 비소성분의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Arsenic 1mm Closed-Mine Tailings by Acid-Leaching Process)

  • 오종기;이화영;김성규;이재령;박재구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1-31
    • /
    • 1998
  • 폐광산 광미로부터 비소를 제거하기 위한 산침출 및 침전실험을 수행하였다. 다덕광산의 광미시료를 대상으로 염산 및 황산농도, 침출시간, 슬러리 농도에 따른 침출율의 변화를 조사함과 동시에 침출액 중의 비소성분을 침전시키기 위하여 pH조절과 Sodium Sulfide를 첨가하여 비소의 침전율을 관찰하였다. 염산침출의 경우 1시간 침출 후 산농도 및 슬러리 농도에 따라 40%에서 86%까지 비소침출율을 보였으며, 황산의 경우 47%∼77%의 침출율을 나타냈다. 침출시간에 따른 침출율의 변화는 10분이내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이지만, 그후에는 침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침출액중의 산농도가 높아지면 침출율이 증가하나 2N이상에서는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침출액을 반복사용할 경우 5회까지 꾸준히 침출이 일어나지만 그 증가폭은 점차 감소하였으며, 산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추세가 보다 완만한 경향을 보였다. 침출액 중의 비소성분은 단순한 pH조절을 통하여 약 84%까지의 침전율을 보였으며, 침전제로 Sodium Sulfide 를 사용하였을 경우 99%이상의 침전율을 나타냈다.

  • PDF

황화광물정광으로부터 Bi, As 제거를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용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wave Leaching for the Removal of Bi, As from the Sulfide Mineral Concentrate)

  • 온현성;톡토흐마;박천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37-147
    • /
    • 2018
  • 본 연구 목적은 페널티원소가 포함된 정광을 질산용액으로 마이크로웨이브 용출하여 Bi와 As를 효과적으로 용출하고자 하였다. 정광시료에 대한 페널티원소와 유용금속들의 용출특성을 마이크로웨이브 용출시간, 질산농도 및 정광 첨가량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페널티원소인 Bi와 As의 용출률은 마이크로웨이브 용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질산농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정광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정광과 광석광물을 마이크로웨이브 가열하자, Bi가 90% 이상 제거되었고, 황비철석은 자류철석-적철석으로 상변환 되었다. 고체-잔류물에 대하여 XRD분석한 결과, 단체 황과 anglesite가 나타났다. 단체 황과 anglesite의 XRD peak는 1분에서보다 12분에서, 0.5 M보다 4 M에서 그리고 5 g보다 30 g에서 intensity가 더 증가하였고 예리해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용출효율이 증가할수록 더 많은 단체 황과 anglesite가 생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정광을 마이크로웨이브 가열하면 Bi와 As가 대기 중으로 손실되지만, 질산용액으로 마이크로웨이브 용출하면 Bi와 같은 유용금속이 용출되어 회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화학적 분해법을 이용한 난용성 자원으로부터 희토류 회수 특성 연구 (Strategy to Recover Rare Earth Elements from a Low Grade Resource via a Chemical Decomposition Method)

  • 김리나;조희찬;정진안;김지혜;이수경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1호
    • /
    • pp.17-24
    • /
    • 2020
  • 침철석을 주요 맥석광물로 하는 난용성 자원으로부터 희토류를 회수하기 위해 화학적 분해-산 침출의 2단계 방법을 이용한 맥석광물 분해 및 희토류 침출율 향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화학적 분해에는 알칼리인 NaOH를 사용하였으며 NaOH 용액 농도 20-50 wt%, 광액 농도 10% (w/w), 온도는 각 농도에서 NaOH 용액이 끓지 않는 최대 온도로 하여 분해 반응을 진행하였다. NaOH 농도가 높아질수록 경희토류 (Ce, La, Nd) 와 철은 고체상의 분해 산물 내에 농축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알루미늄과 인은 용액상으로 제거되어 50 wt% NaOH로 분해 시 고체상에 각각 0.96%, 0.17% 만이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 맥석광물인 침철석의 결정성이 분해 과정 후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0 wt% NaOH 분해 산물을 3.0 M 염산, 80 ℃ 조건에서 3시간 동안 침출했을 때, 94% 이상의 희토류 침출율을 달성하였으며 (Ce 80%), 불순물 중 알루미늄 침출율이 12%, 인 침출율이 0%로 감소하여 본 광석에 대한 최적 분해 및 침출 조건으로 선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로부터 희토류와 철의 침출율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따라서 침철석의 결정성 감소가 희토류 침출율 향상에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 용출물질에서의 내분비계장애물질 Bisphenol-A의 정량과 용출특성 파악 (A Study on the Quantification and Chracterization of Endocrine Disruptor Bisphenoi-A Leaching from Epoxy Resin)

  • 배범한;최명수;임남웅;정재훈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69-477
    • /
    • 2000
  • Bisphenol-A (BPA), a known endocrine disruptor, is a main building block of epoxy resin which is widely used as a coating agent in residential water storage tanks. Therefore, BPA leaching from the epoxy resin may have adverse effects on human health. The possibility of BPA leaching from three epoxy resins were tested with a modified KS D 8502 method at 20, 50, 75 and $100^{\circ}C$ in deionized water and the specified test water, respectively. BPA leached to the test water was identified using GC-MS and quantified with GC-FID after a sequential extraction and concent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BPA leaching has occurred in all three samples tested. The quantify of BPA leaching from unit area of epoxy resin coating was in the range of $10.677{\sim}273.120{\mu}g/m^2$ for sample A, 29.737~1734.045 for sample B and 52.857~548.778 for sample C depending on the test temperature, respectively. In general, the amount of BPA leaching increased as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s. This result implies a higher risk of BPA leaching to drinking water during a hot summer season. In addition, microbial growth, measured by colony forming units, in epoxy coated water tanks was higher than that in a stainless steel tank suggesting that compounds leaching from epoxy resin may suppor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a residential water holding tan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