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va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36초

달 동굴의 잠재적 주거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otential Shelters in the Lunar Lava Tubes)

  • 오종우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1-4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달의 동굴에 대한 거주환경에 잠재적 요건이 될 수 있는 지질과 지형, 내부탐사, 안정성, 통신, 거주요건 등의 5분야에 대한 분석을 시도 하였다. 달 동굴관련 정성적 정량적인 자료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달 동굴의 지질과 지형환경에서는 지구의 용암동굴의 규모와 형상에서 큰 차이를 확인하였다. 달의 지질은 내인적인 분화나 지진 보다 외인적인 환경인 운석의 낙하와 방사선의 공격 및 급격한 온도차에 의한 영향이 크다. 달 동굴의 지형과 내부형상은 중력의 차로 인한 대규모의 위험한 동굴지형으로 함몰구(skylight)와 사행 열구(sinuous rilles)에 대한 접근과 내부 지형형상 취득에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다. 달 동굴의 안정성 분석에서는 대형의 동굴에 대한 지질과 지형적인 위험성에 두었다. 함몰에 대한 저 위험도 빈도, 저 중력, 동굴의 대규모와 두께 등의 안정성 인자 등으로 지구보다 상대적인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달 동굴내외의 통신환경은 동굴내부에서의 무선통신 운영의 경우 태양열 충전식에만 한계가 있을 것이나 전력의 무선전송기술로 이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달 동굴에 대한 거주 가능성에 대한 학설과 기술의 대비 중에서 학술적이고 기술적인 차별성이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특히 무중력, 우주방사선의 피폭과 먼지 등의 외인적인 한계와 거칠고 급경사인 함몰구 등의 접근기술에 대한 통신과 토목 및 GIS기술 등에 대한 내인적인 한계의 극복의 필요성으로 이에 대한 향후의 연구개발에 기대감이 증폭되었다.

제주용암해수의 피부 보습 효과 연구 (Skin Hydration Effect of Jeju Lava Sea Water)

  • 이성훈;배일홍;민대진;김형준;박녹현;최지예;신진섭;김은주;이해광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43-349
    • /
    • 2016
  • 제주용암해수는 미네랄과 영양염류가 풍부한 물로 제주만이 보유한 지하수자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용암해수의 피부 보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피부의 건조함을 막고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표피층의 장벽기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표피층 내 수분의 유지와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제주용암해수를 각질형성세포에 처리한 결과 표피층의 분화과정과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생성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필라그린과 caspase-14 유전자의 발현양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막관통 단백질로 수분의 이동을 조절하는 aquaporin 3 (AQP3) 유전자 발현양과 단백질 발현양도 제주용암해수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인공피부를 이용한 실험에서 제주용암해수를 배지에 처리하고 배양한 결과 hyaluronic acid (HA)의 수용체인 CD44의 발현양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용암해수는 피부 보습과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양을 증가시켜 피부의 보습기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제주도 애월읍 해안의 염기성 용암류에 발달한 동심원 구조와 방사상 절리 (Concentric Structure and Radial Joint System within Basic Lava Flow at the seashore of Aewol, Jeju Island, South Korea)

  • 안건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5-194
    • /
    • 2021
  • 제주도 북서부인 애월 해안에는 평탄하게 흐른(판상) 용암류와 둥근 모양(원통)의 용암류가 관찰된다. 원통형 용암류의 치밀한 내부에는 동심원 구조와 방사상 절리가 발달한다. 구엄리 돌염전 주변의 판상 용암류 내부에는 상하부의 굵기가 다른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주상절리 상부는 다각형의 형태가 고르지 않으며 직경은 120-150 cm이다. 주상절리 하부는 육각형과 오각형으로 형태가 일정하고, 크기도 60 cm 내외이다. 원통형 로브는 크기와 형태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메가로브인데, 최대 직경이 30 m인 반원형이다. 또 하나는 원형의 로브로 직경이 10 m 이하이다. 원통형 용암류의 방사상 절리의 기둥 단면은 육각형과 오각형이며, 기둥의 직경은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증가하는데 바깥쪽 경계부에서는 80-120 cm 정도이다. 원통형 용암에서 관찰되는 동심원 구조는 4가지 요인이 복합된 것이다. 첫째는 원형의 균열로, 원통형 용암류 내에서 안쪽과 바깥쪽 사이의 온도차와 밀도차로 발생한 수축으로 생긴 틈새이다. 둘째는 방사상 절리의 마디층이 동심원을 이룬 것으로, 이 마디층은 방사상 절리와 동시에 만들어진 것이다. 셋째는 유동띠로서, 용암이 흐를 때 둥근 통로에 남긴 흔적이다. 네 번째는 용암에서 빠져나온 가스가 동굴에 형성된 기공 띠이다.

제주도의 용암수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Lava tree-molds in Jeju Island)

  • 김병우
    • 동굴
    • /
    • 제87호
    • /
    • pp.1-7
    • /
    • 2008
  • 제주도는 동서로 73km 남북으로 31km에 걸쳐 형성된 긴 타원형의 화산섬이다. 섬의 중앙 부는 1,950m의 한라산이 솟아있고 섬의 중심을 이루며 완만한 경사로 해안선으로 흘러내려 오름과 들을 거쳐 바다에 이른다. 용암수형은 제주도 한라산 고도 300m이하에서 발견되며 군집지를 형성하고 있다. 북제주군 한림읍 월림리는 횡수형과 포획수형이 많이 발견되어 과거에 수림지대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에서 발견된 용암수형은 구조와 형태의 특성에 따라 나누어보면 횡수형, 포획수형, 고사목수형, 복합수형, 수직수형의 5개로 나눌수 있다.

한탄강 용암대지의 재인폭포와 개석곡의 지형 형성 (Geomorphological Processes of Jaein Waterfall and Dissection Valley in Hantangang Lava Plateau, Central Korea)

  • 이민부;이광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7-59
    • /
    • 2017
  • This study aims to analyze geomorphologically Jaein Falls in Hantangang Lava Plateau for the landform structure, landform classification, falls dissection and recession. The height and recession length of the Falls are approximately 18m and 340m. after dissection valley arrive at area of the Jijangbong Volcanic Rock Complex of Mesozoic era, the fall will disappear. The structure of the dissection valley shows totally well vertical columnar joint near falls and plunge pool, colluvial talus deposits toward lower reach by the freezing-thawing and wet-dry activities, and alluvial cone and delta in estuary to Hantangang River. The Falls' age date and recession rate in the valley maybe relate to the age of the lava plateau. The estimated recession rate of the fall should be 8.75m/ka to 2.3m/ka, depending on the age 500ka to 40ka in lava plateau.

3M LavaTM Esthetic monolithic zirconia를 이용한 전치부 심미 수복 증례 (Esthetic anterior restoration using 3M LavaTM Esthetic monolithic zirconia)

  • 김형준;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4호
    • /
    • pp.306-316
    • /
    • 2018
  •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는 높은 강도와 파괴 인성을 갖고 있어 고정성 보철 치료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지르코니아 자체의 불투과성으로 인한 심미적인 한계 때문에 전치부 사용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기존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보다 투과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착색법을 이용하여 심미성을 개선한 지르코니아 블록들이 개발되고 있다. 3M $Lava^{TM}$ Esthetic 지르코니아는 제조사에 따르면 육방정계 결정상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형광성 성분을 추가하여 기존 지르코니아보다 심미성이 우수하다고 소개되고 있다. 본 증례들에서는 심미성을 개선한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하여 전치부를 수복하였으며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제주도의 화산동굴 (Volcanic Caves in Jeju)

  • 최지석
    • 동굴
    • /
    • 제84호
    • /
    • pp.43-45
    • /
    • 2008
  • Jeju Island is formed by lava flow streams with the Mt. Halla in the center. The Mt. Halla‘s crater or other parasitic volcano produced lava flows creating lava plateau in this area. There are one thousand volcano caves in the world, and 50% of them are located in the west coast of United States. There are 186 volcano caves in Italy, 100 in Mt. Fuji, Japan, and 70 in Jeju Island. Jeju Island‘s east-west axis four sides are world-renown volcano zones with basalt strata that feature low viscosity and fluidity.

제주도 용암동굴의 성인과 특성

  • 박병수
    • 동굴
    • /
    • 제6권7호
    • /
    • pp.15-16
    • /
    • 1981
  • 우리나라의 용암동굴은 주로 화산지역인 제주도에 분포한다. 이 화산지역에서 화산이 분출할 때는 유동성 있는 현무암 용암에 의하여 이른바 용암동굴(Lava tunnel)이 형성 되는 것이다. 즉, 지하에 깊이 잠겨 있던 마그마가 그 분출의 위력에 부수되어 화구에서 지표로 밀려나온 것을 용암 또는 라바(Lava)라고 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