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stability

검색결과 835건 처리시간 0.026초

차량사고 위험도를 고려한 방풍벽 설치기준 (Decision Making Process for Wind Barrier Installation Considering Car Accident Risk)

  • 김동현;이일근;권순덕;조병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7-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강풍에 의한 차량의 주행안정성 확보를 위해 설치하는 방풍벽의 설치기준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차량전용해석 수단인 CarSim 및 TruckSim을 사용하여 풍속 및 차량속도에 따른 횡방향 이탈량을 계산하고, 이로부터 차종별 위험 풍속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방풍벽 설치 여부의 판단을 위해 방풍벽 설치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사고위험과 주행편익 등을 생애주기 동안의 비용으로 환산하였다. 사고위험 계산을 위해 해당지역의 풍속확률분포, 일평균통행량, 차종별 혼입율 및 구간풍속 지속시간 등을 이용하였다. 방풍벽 설치 전과 후의 총 비용과 편익을 비교하여 방풍벽 설치로 인한 편익이 설치 비용보다 큰 경우 방풍벽을 설치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해 고속도로 상의 두 곳을 대상으로 방풍벽 설치 여부에 대한 판정을 수행하였다.

상악동저 거상술 후 상악 구치부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대한 연구 (Survival analysis of implants placed in the sinus floor elevated maxilla)

  • 박종연;김옥수;류경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151-164
    • /
    • 2007
  • Objective: The sinus floor elevation procedures have been used to facilitate implant placement in the severely atrophic posterior maxilla. Many variables may have an influence on the outcomes of the sinus floor elevation in combination with implant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rvival rate of implants placed in the edentulous maxillae of patients in whom sinus floor elevation was undertaken according to variables. Materials and Methods: It consisted of 96 patients(50 male and 46 female), ranging in age from 31 to 70 years(mean 49 years), who underwent sinus floor elevation procedure(94 implants in left side and 106 implants in right side) from 2001 to 2002. A total of 200 implants were placed in the grafted sinus(73 implants in lateral approach and 127 implants in crestal approach). All implants were restored by fixed prosthesis. All patients were healthy. Follow-up periods for implants were between 48 to 60 months. Results: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implants was 91.5%. Gender, age and operation site did not have an influence on the survival rat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implants which placed in less than 4 or 5 rom residual bone height, the survival rate was 60%, 81.4% respectively (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implants survival rate ac- cording to approach technique. The survival rate for 100% autogenous bone grafts was lower with respect to composite grafts containing autogenous bone and 100% substitutes. The survival rate for hydroxyapatite-coated impla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than other textured group (p<0.05). Conclusion: Residual bone height, surface texture and graft materials have an influence on the survival rate. To use autogenous bone as a part of a composite bone replacement, implant texture which leads to more favorable implant-bone interface were necessary. To determine residual bone height for initial implant stability was important.

보강옹벽개발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유용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2권3호
    • /
    • pp.51-66
    • /
    • 1986
  • 본 연구는 재래식 옹벽의 단점을 보완하여 skin element로써 간단한 L-type concrete block을 사용하고 reinforcing strip재로써 plastic fabric strip를 이용하며, back fill재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접하는 나강암풍화토를 사용하여 만든 보강벽체를 통하여 몇가지 실험을 한 결과 이들 서반재료의 특성을 발안하여 개발된 이론식에 의하여 결정한 벽체의 보강은 삽입한 strip의 간격, 층수, 뒷채움 재의 입도분포, 다짐상태 및 strip의 인장강맥에 좌우되며 본보강옹벽체는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함이 확인되었으며 우리나라 특히 강원도와 같은 유간지역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지진시 중력식 안벽에 작용하는 하중성분의 모델링 (Modeling of Force Components Acting on Quay Walls During Earthquakes)

  • 김성렬;권오순;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07-121
    • /
    • 2003
  • 중력식 안벽의 내진 안정성을 분석할 때, 중력식 안벽에 발생하는 하중성분의 크기와 위상관계를 명확히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안벽에 발생하는 하중성분은 안벽 관성력, 토압 그리고 수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하중성분들의 크기와 위상관계는 배면지반에 발생하는 과잉간극수압의 크기에 따라 변한다. 벽체배면과 뒤채움 토체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동적작용력은 이러한 힘들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벽체 작용하중 산정식들로부터 구한 각 하중성분들의 크기를 조합하여 배면 동적작용력의 크기와 위상변화를 배면 과잉간극수압의 함수로써 산정하는 간단한 하중산정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진동대 실험결과와 이 모델의 예측결과를 비교하여 모델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달리기시 쿠션형과 모션컨트롤형 런닝화 착용에 따른 생체역학적 비교 (A Biomechanical Comparison of Cushioning and Motion Control Shoes During Running)

  • 이기광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
    • /
    • 2005
  • Excessive pronation and impact force during running are related to various running injuries. To prevent these injuries, three type of running shoes are used, such as cushioning, stability, and motion control. Although there were may studies about the effect of midsole hardness on impact force, no study to investigate biomechanical effect of motion control running sho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biomechanical difference between cushioning and motion control shoes during treadmill running. Specifically, plantar and rearfoot motion, impact force and loading rate, and insole pressure distribution were quantified and compared. Twenty male healthy runners experienced at treadmill running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en they ran on treadmill at 3.83 m/s. Kinematic data were collected using a Motion Analysis eight video camera system at 240 Hz. Impact force and pressure distribution data under the heel of right foot were collected with a Pedar pressure insole system with 26 sensors at 360 Hz. Mean value of ten consecutive steps was calculated for kinematics and kinetics. A dependent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running shoes effect (p=0.05). For most kinematics, motion control running shoes reduced the range of rearfoot motion compared to cushioning shoes. Runners wearing motion control shoe showed less eversion angle during standing less inversion angle at heel strike, and slower eversion velocity. For kinetics, cushioning shoes has the effect to reduce impact on foot obviously. Runners wearing cushioning shoes showed less impact force and loading rate, and less peak insole pressure. For both shoes, there was greater load on the medial part of heel compared to lateral part. For pressure distribution, runners with cushioning shoes showed lower, especially on the medial heel.

춤이 큰 웨브 변단면 H형 보의 휨내력에 대한 실험적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of Flex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Tapered H-Section Beams with Slender Web)

  • 심현주;이성희;김진호;이은택;최성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483-492
    • /
    • 2007
  • 최근 대형 장스팬 규모에 많이 적용되는 PEB 시스템은 휨모멘트의 크기에 따라 부재형상을 최적화 한 변단면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인 경쟁력을 갖는 구조시스템이다. 그러나 PEB 시스템의 관련기술은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된 것으로 구조거동에 관한 연구 및 국내 설계규준이 미비하다. 특히 PEB 시스템에서의 변단면부재(래프터)들은 비조밀단면(noncompact section) 또는 세장단면(slender section)을 갖는 경우가 많으므로 좌굴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웨브의 판폭두께비, 스티프너 유무, 횡비지지길이 등을 변수로 하여 총 4개의 실대형 실험체를 제작 휨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에 대하여 세장한 웨브 변단면 부재의 구조 안정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PEB 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정지수체로 방류된 연직다중\ulcorner㈏\ulcorner최소희석률 (Minimum Dilution of Vertical Multijet Discharging into Stagnant Water)

  • 김홍식;서일원;유대영;서용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53-16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정지수체에서 다공확산관을 통해 방류된 연직다중의 혼합 및 희석 특성에 대해 규명하였다. 3차원 실험수조에서 실험을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다공확산관의 병합과정을 살펴보면 흐름의 안정조건에 따라 병합거리가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 { z}_{ } }}}}/{{{{ {l}_{ } }}}}가 대략 3인 지점부터 병합이 시작되어 그 이후에는 평면부력?의 거동에 서서히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최소희석률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방류운동량이 지배적인 영역, 천이영역, 그리고 부력이 지배적인 부력류영역으로 나누어 희석률 특성을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 다공확산관의 경우 부력류영역의 희석률 상수가 평면확산관에 비해 15% 더 높게 나왔다. 그 이유는 다공확산관의 경우 병합 이전에는 개별의 경계면에서 주변수의 포획이 발생하여 희석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 PDF

Variations in lateral abdominal muscle thickness during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in three positions in a young healthy population

  • Ko, Young Jun;Ha, Hyun Geun;Jeong, Juri;Lee, Wan He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01-106
    • /
    • 2014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position for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DIM) exercise by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e.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wenty-eight young adults with no history of low back pai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ee positions compared were crook lying position with hip $60^{\circ}$ flexion, standing position with the feet hip width apart and knees straight, and saddle standing positionunsupported with the knees $20^{\circ}$ flexed. Once in the appropriate position, the subjects were verbally cued to draw in their abdominal wall, with the intention of pulling their navel inward toward their lower back. The thickness of each transversus abdominis (TrA), internal oblique (IO), and external oblique (EO) muscles were measured via ultrasound and recorded at the end of inspiration. Results: When compared to the TrA thickness of rest, the TrA thick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hree positions (crook lying, standing, and saddle standing) during the ADIM (p<0.05). IO thicknes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standing and saddle standing than in crook lying (p<0.05). EO thickness was constant in all the three position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standing and saddle standing positions could be recommended for the ADIM to maximize recruitment of the TrA and IO activation. Specifically, the saddle standing position with knees flexed to $20^{\circ}$ was observed to increase the TrA activation more than the standing position.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when core stability exercises such as the ADIM are conducted.

가돌리니움 이온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의 농도의존적 억제 (Dose-dependent suppression of tolaasin-induced hemolysis by gadolinium ion)

  • 허정훈;윤영배;김영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4호
    • /
    • pp.369-374
    • /
    • 2021
  • 느타리버섯의 갈반병은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생성된 톨라신 및 이의 유사 펩티드 독소에 의해 발생한다. 톨라신 펩티드들은 세포막에 pore를 형성하고 버섯의 자실체 구조를 파괴한다. 적혈구가 파괴되는 용혈은 톨라신의 세포독성에 의해 일어난다. 톨라신의 용혈활성은 Zn2+ 및 Ni2+과 같은 금속 이온에 의해 저해된다. 가돌리니움 이온을 첨가하였을 때, 톨라신에 의한 용혈작용에서 1 mM 이하의 농도에서는 용혈작용이 증가하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저해되는 이중 효과가 나타났다. 가돌리니움 이온에 의한 톨라신 활성저해 기작은 다른 양이온들에 의한 저해기작과 다른 것으로 보인다. 가돌리니움 이온은 음전하를 갖는 막지질들에 결합하여 지질막의 측압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톨라신 이온통로의 여닫힘에 직접 작용하기 보다는 막 구조의 단단함을 증가시켜 막에 대한 톨라신 이온통로의 안정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3층 전단벽 구조물의 지진응답에 관한 수치해석 (Numerical Study on Seismic Behavior of a Three-Story RC Shear Wall Structure)

  • 박다원;최영준;홍정욱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11-119
    • /
    • 2021
  • A shear wall is a structural member designed to effectively resist in-plane lateral forces, such as strong winds and earthquakes. Due to its efficiency and stability, shear walls are often installed in residential buildings and essential facilitie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In this research, to predict the results of the shaking table test of the three-story shear wall RC structure hosted by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three types of numerical modeling techniques are proposed: Preliminary, Calibrated 1, and Calibrated 2 models, in order of improvement. For the proposed models, an earthquake of the 2016 Gyeongju, South Korea (peak ground acceleration of 0.28 g) and its amplified earthquake (peak ground acceleration of 0.50 g) are input. The response spectra of the measuring points are obtained by numerical analysis. Good agreement is observed in the comparisons between the experiment results and the simulation conducted on the finally adopted numerical model, Calibrated 2.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model,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the mode shape, material properties, and boundary conditions on the structure's seismic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