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patellofemoral angl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s of quadriceps angle on patellofemoral contact pressure

  • Yoo, Yoon-Hyeong;Lee, Sung-Jun;Jeong, Soon-wuk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5호
    • /
    • pp.69.1-69.11
    • /
    • 2020
  • Background: An inappropriate Q angle may affect the biomechanics of the canine patellofemoral join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hanges in quadriceps angle (Q angle) on patellofemoral joint pressure distribution in dogs. Methods: Eight stifles were positioned at 45, 60, 75, 90, 105, and 120° of flexion in vitro, and 30% body weight was applied through the quadriceps. Patellofemoral contact pressure distribution was mapped and quantified using pressure-sensitive film. For the pressure area, mean pressure, peak pressure, medial peak pressure, and lateral peak pressu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conditions for changing the Q angle were statistically compared. Results: Increases of 10° of the Q angle result in increases in the pressure area (P = 0.04), mean pressure (P = 0.003), peak pressure, and medial peak pressure (P ≤ 0.01). Increasing the Q angle by 20° increases the pressure area (P = 0.021), mean pressure (P ≤ 0.001), peak pressure (P ≤ 0.01), and medial peak pressure (P ≤ 0.01) significantly, and shows higher mean (P ≤ 0.001) and peak pressures than increasing by 10°. Decreasing the Q angle increases the mean pressure (P = 0.013), peak pressure, and lateral peak pressure (P ≤ 0.001). Conclusions: Both increases and decreases in the Q angle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peak patellofemoral pressure, which could contribute to the overloading of the cartilage. Therefore, the abnormal Q angle should be corrected to the physiologically normal value during patellar luxation repair and overcorrection should be avoided.

재발성 슬개골 탈구의 경피적 외측부 유리술 및 내측부 중첩술 (Percutaneous Lateral Release and Medial Reefing for Recurrent Patellar Dislocation)

  • 최종혁;오경수;김형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3-38
    • /
    • 2006
  • 목적: 슬개골 재발성 탈구 환자에 있어 경피적 외측부 유리술 및 내측부 중첩술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2월부터 2005년 5월까지 8년 6개월간 재발성 슬개골 탈구로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5 명의 환자 2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1 명, 여자가 14 명이었고 평균연령 22.2세였다. 발생 부위는 우측이 18례이고 좌측이 9례였으며 모든 환자가 외상의 병력이 있었고 평균 추시기간은 1년이상이었다. 수술 전 평균 탈구 횟수는 11.5회이며 수상 후 수술기간까지의 기간은 평균 33개월이었다. 결과: 단순 방사선 사진 상 슬개골 이상고위 1례(3 %), sulcus angle은 평균 141도였다. 술 전 congruence angle은 평균 23.3도 였으며 lateral patellofemoral angle은 평균 -5.7도였고 Lysholm score는 평균 76점이었다. 술 후 congruence angle은 평균 -2.4도(p<0.01), lateral patellofemoral angle은 11.5도(p<0.01)로 정상범위를 회복하였으며 Lysholm score는 93점(p<0.01)이었다. 재발성 탈구는 총 4례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 2례에서는 술 전 lateral patellofemoral angle이 각각 -35도, -12도였으며 congruence angle은 59도, 14도였다. 술 후 관절 내 혈종으로 3례에서 aspiration을 시행하였고 내측 중첩술 시행부위에서 표재감염 2례가 발생하여 봉합사를 조기 제거한 1례에서 재발된 소견을 보였으며 지연성 심부감염이 2례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경피적 외측부 유리술은 대퇴사두근의 손상없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혈관손상 등의 합병증이 적어 내측부 중첩술과 함께 사용 시 재발성 슬개골 탈구의 치료에 대한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무릎뼈의 변형된 접선방향 검사 시 최적의 입사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Angle as Modified Tangential Projection of Knee Bones)

  • 오왕균;김상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919-926
    • /
    • 2021
  • 본 연구는 무릎뼈의 변형된 접선 방향 검사 시 최적의 입사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Kyoto Kagaku사의 PBU-50 phantom을 이용하여 바로 누운 자세에서 넙다리뼈-정강뼈 각도(Femur-tibia angle, F-T angle)를 95°, 105°, 115°, 125°, 135°, 145°로 각각에서 X선 중심선과 정강뼈가 이루는 각도가 5~20° 되도록 5°씩 변경하여(62.5°, 67.5°, 72.5°, 77.5°, 82.5°, 87°, 87.5°) 무릎뼈 접선 방향 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분석을 위해 Image J를 이용하여 Congruence angl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 Patellofemoral index, 대조도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CNR)를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2를 이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과 대응표본 t-검정으로 Merchant method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Congruence angle의 경우 무릎 각도-X선 중심선의 입사각도가 105°-72.5°(20° 접선조사), 115°-72.5°, 77.5°(15, 20° 접선조사), 125°-82.5°(20° 접선조사), Lateral patellofemoral angle은 115°-72.5°, 77.5°(15, 20° 접선조사), 125°-72.5°(10° 접선조사), Patellofemoral index는 115°-72.5°(15° 접선조사), 125°-72.5°(10° 접선조사)에서 Merchant method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CNR의 경우 105°-67.5°, 72.5°(15, 20° 접선조사), 115°-67.5°, 72.5°, 77.5°(10, 15, 20°접선 조사)일 때 Merchant method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무릎뼈의 변형된 접선방향 검사 시 무릎 각도와 X선관의 입사각도를 각각 115°-72.5°(15° 접선 조사)로 설정함으로써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atellofemoral Instability in Children: Imaging Findings and Therapeutic Approaches

  • Hee Kyung Kim;Shital Parikh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6호
    • /
    • pp.674-687
    • /
    • 2022
  • Patellofemoral instability (PFI) is common in pediatric knee injuries. PFI results from loss of balance in the dynamic relationship of the patella in the femoral trochlear groove. Patellar lateral dislocation, which is at the extreme of the PFI, results from medial stabilizer injury and leads to the patella hitting the lateral femoral condyle. Multiple contributing factors to PFI have been described, including anatomical variants and altered biomechanics. Femoral condyle dysplasia is a major risk factor for PFI. Medial stabilizer injury contributes to PFI by creating an imbalance in dynamic vectors of the patella. Increased Q angle, femoral anteversion, and lateral insertion of the patellar tendon are additional contributing factors that affect dynamic vectors on the patella. An imbalance in the dynamics results in patellofemoral malalignment, which can be recognized by the presence of patella alta, patellar lateral tilt, and lateral subluxation. Dynamic cross-sectional images are useful for in vivo tracking of the patella in patients with PFI. Therapeutic approaches aim to restore normal patellofemoral dynamics and prevent persistent PFI. In this article, the imaging findings of PFI, including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 findings of acute lateral patellar dislocation, are reviewed. Non-surgical and surgical approaches to PFI in pediatric patients are discussed.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슬개-대퇴 관절 선열의 변화 (The Changes of Patellofemoral Alignment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한성호;양보규;이승림;정선욱;권기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8-133
    • /
    • 2000
  • 목적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슬개-대퇴 관절의 문제중 슬개건의 길이 변화, 슬개-대퇴 관절의 선열의 변화 및 환자의 주관적 증상으로 비교 하였고 슬개건의 침습이 없는 동종 이식술과 슬개건을 침습한 자가 이식술을 비교하여 슬개건의 침습이 슬개-대퇴 관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했던 환자 8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해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52예를 제 1군, 동종 골-슬개건-골과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해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35예를 제 2군으로 하였다. 수술 전, 후 단순 방사선 사진상에서 Blackburne-Peel 방법, 일치각(Congruence angle), 외측 슬개-대퇴 각(Lateral patellofemoral angle), 환자의 주관적 증상에 기초를 두어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 시상면에서 슬개골 위치는 제 1군에서 술전 0.86에서 술후 0.80으로 유의할 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제2군에서 술전 0.87에서 술후 0.83로 감소하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외측 슬개-대퇴 각은 양군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는 없었으며, 일치각은 제 1군에서 술전 $-1.43^{\circ}$에서 술후 $-5.43^{\circ}$$4^{\circ}$내측으로 전위되었고 제2군에서 술전 $-1.53^{\circ}$에서 술후 -3.65로 약 $2.12^{\circ}$내측으로 전위되었다. 결론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슬개-대퇴 관절의 선열은 변하며 이러한 변화는 자가 이식건의 채취, 십자 인대 재건술 자체, 대퇴 사두근 약화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내·외측 Wedge와 넙다리네갈래근 각의 차이가 안쪽빗넓은근/가쪽넓은근 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al, Lateral Wedge and Difference of Quadriceps Angle on Vastus Medialis Oblique/Vastus Lateralis Muscle Activity Ratios)

  • 유원규;이현주;이충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9
    • /
    • 2005
  •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 is often attributed to malalignment and maltracking of patella within the patellofemoral joint. Most exercise for PFPS has focused on selectively strengthening the vastus medialis oblique muscle (VMO).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 of medial, lateral wedge and difference of Quadriceps angle (Q-angle) on vastus medialis oblique/vastus lateralis muscle (VL) activity ratios. The subjects were twenty young adult males who had not experienced any knee injury. They were asked to perform isometric contraction exercises in three postures using medial and lateral wedge. The EMG activity of the VL and VMO were recorded in three postures by surface electrodes and normalized by %MVC values derived from seated, isometric knee extensions. The normalized EMG activity levels (%MVC) of the VL and VMO for the three postures of the lower extremities were compared using 2-way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1 between-subject factor (group), and 1 within-subject factor (wedge). Results of repeated measures of ANOVA's revealed that the medial wedge isometric contraction exercise produced significantly greater EMG activity of VMO/VL ratios in Group I (Q-angle $18^{\circ}$ or less) (p<.05). But, the medial wedge isometric contraction exercis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VMO/VL ratios in Group II (Q-angle $19^{\circ}$ or more) (p>.05).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selective VMO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in PFPS patients.

  • PDF

재발성 슬개골 탈구에서 관절경적 외측 유리술 및 내측부 중첩술 (Arthroscopically Assisted Lateral Release and Medial Imbrication for Recurrent Patella Dislocation)

  • 강성식;유재두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8-103
    • /
    • 2010
  • 목적: 슬개골 재발성 탈구 환자에 있어 관절경 보조하의 외측 유리술 및 내측부 중첩술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재발성 슬개골 탈구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0 명의 환자, 21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4 명, 여자가 16명이고 평균연령 20.2세였다. 모든 환자가 외상의 병력이 있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19개월이었다. 수술 결과의 평가는 Lysholm점수와 Kujala슬관절 점수를 이용하였고, 방사선 사진상 congruence angl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을 측정하였고,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tibial tuberosity-trochlear groove distance를 측정하였다. 결과: 단순 방사선 사진상 congruence angle은 술전 중위값 $16.5^{\circ}$ (범위, $0.0{\sim}+34^{\circ}$) 에서 추시 시 $-6.4^{\circ}$ (범위, $-19{\sim}10^{\circ}$), lateral patellofemoral angle은 술전 중간값 -4.5도(범위, $-8{\sim}+6^{\circ}$)에서 $4.0^{\circ}$ (범위, $2.0{\sim}10^{\circ}$)로 호전되었다(p=0.034). Lysholm 점수는 수술 전 중위값 70점(범위, 63~81점)에서 최종 추시 시 중위값 88점(범위, 80~95점)이었다(p=0.341). Kujala 슬관절 점수는 수술 전 중위값 72점(범위,65~80점)에서 수술 후 중위값 87점(범위, 80~92점)으로 호전되었다. (p=0.024). 재발성 탈구는 총 2례에서 발생하였으며 1례는 thumb to forearm검사 양성이었던 경우로 재탈구 되어 내측 슬개대퇴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관절경적 외측 유리술 및 내측부 중첩술은 대퇴슬개관절의 골성 부정정렬이 없는 경우에서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관절 이완이 심한 환자에서는 좀 더 주의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슬개골 재발성 탈구에 대한 외측부 유리술 및 내측 중첩술을 이용한 치료 (Treatment of Patella Recurrent Dislocation Through Percutaneous Lateral Release and Arthroscopic Medial Reefing)

  • 황병윤;최종혁;양익환;박윤길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5-90
    • /
    • 2010
  • 목적: 재발성 슬개골 탈구에서 경피적 외측부 유리술 및 관절경적 내측부 중첩술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외상 후 발생한 재발성 슬개골 탈구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 관찰한 31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4.2세, 평균 추시 기간은 47.4개월이었다. 결과: 술 전 일치각은 평균 24.8도, 외측 슬개-대퇴골각은 평균 -6.2도, Lysholm score는 평균 75점이었다. 술 후 일치각은 평균 -2.8도, 외측 슬개-대퇴골각은 10.2도로 정상범위를 회복하였으며 Lysholm score도 95점으로 향상 되었다. 재발성 탈구는 총 5례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 3례에서 대퇴골 이형성증이 관찰되었다. 결론: 경피적 외측부 유리술 및 내측부 중첩술은 합병증이 드물고 임상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재발성 슬개골 탈구에 대한 치료에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대퇴골 활차의 선천성 변형이 있다면 다른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McConnell 테이핑과 Kinesio 테이핑이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 환자의 계단 올라가기 시 통증과 다리관절 각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cConnell Taping and Kinesio Taping on Pain and Lower Extremity Joint Angles During Stair Ascent in People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 윤삼원;손호희
    • PNF and Movement
    • /
    • 제20권2호
    • /
    • pp.189-201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cConnell taping and Kinesio taping on pain and lower extremity joint angles when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 ascend stairs. Methods: Fifty young adults who were experiencing anterior knee pain due to PFP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n, 25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McConnell taping group and 25 to the Kinesio taping group. Pain and lower extremity joint angle were measured while ascending stair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arameter values after the intervention within the groups,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groups. Results: In the within-group comparison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both groups between the anterior knee pain scale scores record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 < 0.05).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between the groups (p < 0.05). Comparison of the lower extremity joint angles at initial contact, loading response, terminal stance, and pre-swing within the group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ip, knee flexion, abduction, lateral rotation, and dorsiflexion angles in both the McConnell and Kinesio taping groups (p < 0.05).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ngles between the groups during the following events (p < 0.05): (1) at initial contact, (2) at loading response (except hip flexion angle), (3) at terminal stance (except hip flexion and lateral rotation angles), and (4) at pre-swing (except hip, knee abduction, and inversion angles). Conclusion: McConnell taping and Kinesio taping both effectively improved the occurrence of knee pain and the lower extremity joint angles during stair ascent in patients with PFPS. However, McConnell tap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ain reduction and lower extremity joint angles compared to Kinesio taping.

선택적 외측 슬개 지지대 이완술의 장점 (Advantage of Selective Release of Lateral Patellar Retinaculum)

  • 손정환;사공은성;권영호;장재호;김재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1-69
    • /
    • 2006
  • 목적: 슬개-대퇴간 부정 정렬 환자에서 외측 지지대를 이완시키는 수술에는 지금까지 관혈적 이완술(Open release), 고식적 관절경적 이완술(arthroscopic complete release)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왔으나 저자는 관절경적 선택적인 이완술(arthroscopic selective release)로 이환된 지지대만을 최소 절제하여 수술함으로써 수술 후 환자의 합병증 및 만족도 등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환자에게 가장 유용한 방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외측 지지대 이완술을 시행하고 추시 가능하였던 94명, 129예 중 관절경적 이완술의 경우 68명, 90예, 관혈적 이완술의 경우 26명, 39예였으며 관절경적 이완술의 경우 고식적인 방식에 의한 경우가 42명, 57예였으며 이환된 외측지지대만을 선택적으로 이완시킨 경우가 26명, 33예였다. 위 예를 대상으로 수술 전 계측과 수술 후 1년, 수술 후 5년 이상의 최종 추시를 시행하여 슬개골 경사, 전위, 수렴 각, O-angle을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으로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임상적 평가는 슬관절 평가 지수 및 변형 슬개골 지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슬개골 경사와 전이는 고식적인 방법에 의한 관절경적 이완시$13.4^{\circ}$, 12.1 mm에서 $3.6^{\circ}$, 3.8 mm로, 관절경하 선택적 이완시 $12.3^{\circ}$, 11.2 mm에서 $4.8^{\circ}$, 5.2 mm로, 관혈적 이완시 $13.6^{\circ}$, 12.3mm에서 $3.3^{\circ}$, 3.4 mm로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슬관절 평가 지수는 각각 84.2%(48/57), 81.8%(27/33), 82.1%(32/39)에서, 변형 슬개골 지수는 82.5%(47/57), 81.8%(27/33), 82.1%(32/39)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고 서로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슬개-대퇴 부정 정렬을 가진 환자의 수술방법 중 하나인 관절경적 선택적 이완술은 적은 수술범위에서 이환된 지지대를 이완시킴으로써 유착등의 합병증 없이 환자의 재활 및 만족도를 높이는 하나의 치료 방법으로서 관혈적 방법과 고식적 관절경적 수술보다 좋은 치료라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