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Load

검색결과 1,626건 처리시간 0.032초

점증하중에 의한 강성벽체에 작용하는 토압 (Earth Pressures Acting on the Rigid Wall under Incremental Load)

  • 전용백;권욱화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247-254
    • /
    • 2002
  •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to compare to the existing theory and to examine lateral earth pressure, which have measured to add incremental load on sandy soil, and were different in types of compaction by modeling earth pressure test. Lateral earth pressure by incremental load shows that it is increasing at depth forty four centimeters as 2/3H point for wall high, and under 2/3 H point the variation of earth pressure on incremental load is not conspicuous. Therefor, the more a position of surcharge load is close with fixed wall, the more a variation of lateral earth pressure marks considerably. According to relative compaction density of soil, lateral earth pressure turns up larger effective value for layer compaction test to a thickness of thirty three centimeters than layer compaction test to a thickness of twenty centimeters by the roller.

  • PDF

모래지반에서 반복수평하중을 받는 항타 말뚝의 수평거동 (Lateral Behavior of Driven Piles Subjected to Cyclic Lateral Loads in Sand)

  • 백규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12호
    • /
    • pp.41-50
    • /
    • 2010
  • 반복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의 거동은 정적하중을 받는 경우와 다르며, 지반 및 하중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지반에서 반복하중특성이 말뚝의 수평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가압토조를 이용한 모형말뚝 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반복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의 극한수평지지력은 하중의 반복재하횟수가 많아질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하였고 수평하중의 크기가 커질수록 조금씩 증가하였다. 그리고 수평하중의 반복재하횟수가 증가할수록 극한상태에서 말뚝에 발생하는 최대 휨모멘트는 감소했으나 그 발생위치는 말뚝 근입길이의 0.36배 되는 곳으로 일정하였다. 반면 반복수평하중의 크기가 증가하면 극한상태에서 말뚝의 최대 휨모멘트와 그 발생위치가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반복수평하중은 정적하중에 비해 말뚝의 극한수평지지력과 극한상태에서 말뚝의 최대 휨모멘트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형실험결과에 근거해서 조밀한 모래지반에서 반복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의 극한수평지지력을 산정할 수 있는 지지력산정식을 제안하였으며, 제안식으로부터 얻은 계산치를 실험치와 비교한 결과 제안식은 모형실험의 결과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수평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비탄성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nelastic Behavior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lumn Subject to Cyclic Lateral Loads)

  • 정세환;정하선;김상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5-50
    • /
    • 1991
  •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experimently to verify the structural efficiency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lumns subjected to cyclic lateral loadings in the inelastic range. Sixteen specimens have been used in the tests, the factors such as reinforcing bars, shear-span ratio, axial load level and loading history being taken differently. The load-carrying capacities and the stiffness degradation in the inelastic range by cycle lateral load application have been counted by observing the load-deformation relationship, the crack initiation and propagation and the energy dissipation phenomena.

  • PDF

들기 작업시 중량물의 비대칭 무게중심 및 상체 옆으로 기울임에 따른 허리근육의 Peak EMG 진폭 비교 (Comparison of Peak EMG Amplitude on Low Back Muscles according to Asymmetric Load Center of Gravity and Trunk Lateral Bending while Lifting)

  • 한승조;김선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629-463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량물 들기 작업시 비대칭 무게중심과 상체 옆으로 기울임 여부가 어떻게 L5/S1 주변 허리 근육의 Peak EMG 진폭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요통을 포함한 근골격계질환은 무겁지 않은 물체의 지속적인 반복 취급뿐만 아니라, 일회성의 커다란 부하도 신체 조직의 부담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11명의 20대 대학생 남성은 15.8kg의 물체를 들어올리는 Task를 3회 실행하였다. 이 때 대칭 무게중심의 물체를 상체를 기울이지 않고 들어 올리는 경우, 비대칭 무게중심의 물체를 상체를 기울이지 않고 들어 올리는 조건, 그리고 비대칭 무게중심의 물체를 상체를 기울여서 들어 올리는 경우에 따라 6개의 L5/S1 주변의 근육들로부터 Peak EMG 진폭이 수집되어 분석되었다. 결과는 비대칭 무게중심을 지닌 물체 취급시 무게중심에서 먼 쪽의 허리 근육에서 Peak EMG 진폭이 발생하고, 그 진폭의 크기는 대칭 무게중심 물체를 취급하는 경우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비대칭 무게중심의 물체를 취급할 경우 물체나 상체를 물체의 무게중심 방향으로 기울이는 것은 기울이지 않을 때보다 대측성 등근육에서 Peak EMG 진폭 증가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대칭 무게중심의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작업에서 요통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행정적인 조치로써 가능하면 상체를 전두면 기준으로 기울이지 않는 작업자 자세 조언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시공 중 풍하중에 의한 PSC 교량 거더의 횡방향 거동 해석 (Analysis of Lateral Behavior of PSC Bridge Girders under Wind Load During Construction)

  • 이종한;김경환;조백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377-385
    • /
    • 2015
  • PSC I 거더의 장경간화는 단면의 세장비와 자중의 영향 등을 증가시켜 거더의 횡적 불안정에 대한 위험성을 높였다. 특히 최근에는 시공 중 거더의 전도 붕괴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거더의 횡적 불안정성에 대한 평가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공 중 전도 붕괴의 한 원인으로 판단되어지고 있는 풍하중에 대하여 PSC I 거더의 횡방향 거동 특성과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거더의 횡방향 불안정성은 주로 거더의 길이와 받침의 강성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해석결과에 의하면 거더의 경간장이 증가함에 따라 거더의 횡적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는 임계 풍하중은 감소하고, 거더의 변형과 회전각, 받침의 회전각은 모두 증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시공 시 PSC I 거더의 임계 풍하중과 임계 횡변위량을 계산할 수 있는 해석식을 제시함으로써, 시공 시 거더의 횡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정량적 관리 수치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다층지반에 관입된 강성말뚝의 수평 거동 및 수평 지지력 특성 (The Behavior and Capacity of Lateral Loaded Rigid Pile Characteristics in Multi-layered Soil Conditions)

  • 경두현;강병준;홍정무;이준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77-9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다층지반에 관입된 현장타설말뚝 중 강성말뚝을 대상으로 다층지반의 조건에 따른 말뚝의 수평지지력과 수평거동에 대하여 실험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말뚝이 근입되는 지반에 상이한 상대밀도를 갖는 지반층을 구성하였으며, 수평하중-변위량 곡선을 통하여 극한수평지지력을 산정하고 기존의 방법을 적용시켜 산정된 극한수평지지력과 비교하였다. 또한, 말뚝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와 토압센서를 이용하여 다층지반에서의 말뚝의 수평거동에서 발생하는 휨모멘트분포와 극한단위수평지지력분포를 확인하였다. 수평재하시험결과 말뚝의 극한수평지지력은 지반의 상대밀도와 지반층의 구성에 따라 달라지며, 단일지반을 대상으로 제안된 다양한 방법으로 예측된 값에 비하여 상당부분 적게 측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뚝의 침모멘트 분포는 다층지반의 조건에 상관없이 유사한 분포 형상을 보였으며, 극한단위수평지지력 분포 형태는 최상층지반과 중간층지반이 동일하고 최하층지반이 상이한 지반에서 다소 달라지는 분포형상을 보였으나, 다른경우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Prasad and Chari(1999)의 극한단위수평지지력 분포형상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Influence of dual layer confinement on lateral load capacity of stone colum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 Akash Jaiswal;Rakesh Kumar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2권6호
    • /
    • pp.567-581
    • /
    • 2023
  • Enhanced vertical load capacity of the ground reinforced with the stone columns drew great attention by the researchers as it deals with many of the geotechnical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weak ground. Recent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stone columns are also prone to fail under the shear load when employed beneath the embankments or the foundations susceptible to lateral load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various encasement conditions on the lateral deflection of stone columns is investigated. A method of dual layers of encasement has been introduced and its the effect on lateral load capacity of the stone columns has be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single encased stone column and the un-encased stone columns. Large shear box tests were utilised to generate the shear deformation on the soil system under various normal pressure conditions. The stiffness of the soil-stone column combined system has been compared for various cases of encasement conditions with different diameters. When subjected to lateral deformation, the encased columns outperformed the un-encased stone columns installed in loose sand. Shear stress resistance is up to 1.7 times greater in dual-layered, encased columns than in unencased columns. Similarly, the secant modulus increases as the condition changes from an unencased stone column to single-layer encasement and then to dual-layer encasement, indicating an improvement in the overall soil-stone column system.

Behavior of Lateral Earth Pressure around the Underpass Constructed by the STS Construction Method

  • Jin, Kyu-Nam;Kim, Hyo-Jin;Sim, Young-Jong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4호
    • /
    • pp.271-279
    • /
    • 2016
  • Recently developed trenchless construction methods ensure stability for the ground settlement by inserting steel pipes along the underpass section and integrating steel pipes before ground excavation to form pipe-ro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inforcing effect of pipe-roof by measuring lateral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underpass constructed by the STS (Steel Tube Slab) construction method. For this purpose, lateral earth pressure was measured at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pipe-roof after installing earth pressure cells. As a result, lateral earth pressure was measured with considerable reduction because the integrated pipe-roof shared surcharge. Therefore, economic design for the underpass could be expected by sharing design load by pipe-roof. In addition, construction cos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esign-load sharing ratio by pipe-roof. As pipe-roof shares design load by 40%, the total construction cost can decrease by almost 10% in the case of four-lane underpass.

A new lateral load pattern for pushover analysis in structures

  • Pour, H. Gholi;Ansari, M.;Bayat, M.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6권4호
    • /
    • pp.437-455
    • /
    • 2014
  • Some conventional lateral load patterns for pushover analysis, and proposing a new accurate pattern was investigated in present research. The new proposed load pattern has load distribution according weight and stiffness variation in height and mode shape of structure. The assessment of pushover application with mentioned pattern in X type braced steel frames and steel moment resisting frames, with stiffness and mass variation in height, was studied completely and the obtain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nonlinear dynamic analysis method (including time history analysis). The methods were compared from standpoints of some basic parameters such as displacement, drift and shape of lateral load pattern. It is concluded that proposed load pattern results are closer to nonlinear dynamic analysis (NDA) compared to other pushover load patterns especially in tall and medium-rise buildings having different stiffness and mass during the height.

Enhancement of the buckling strength of glass beams by means of lateral restraints

  • Belis, J.;Impe, R. Van;Lagae, G.;Vanlaere, W.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15권5호
    • /
    • pp.495-511
    • /
    • 2003
  • New material applications and transparency are desired by contemporary architects. Its superb transparency and high strength make glass a very suitable building material -in spite of its brittleness- even for primary load bearing structures. Currently we will focus on load bearing glass beams, subjected to different loading types. Since glass beams have a very slender,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y are sensitive to lateral torsional buckling. Glass beams fail under a critical buckling load at stresses that lie far below the theoretical simple bending strength, due to the complex combination of torsion and out-of-plane bending, which characterises the instability phenomenon. The critical load can be increased considerably by preventing the upper rim from moving out of the beam's plane.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are examined for different loading types. The load carrying capacity of glass beams can be increased three times and more using relatively simple, cheap lateral restraints.